인천한림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상세정보

소개글

"인천한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보건사업 기획 보고서
1.1. 보건사업 기획의 일반적 목적
1.2. 보건사업 기획의 구체적 목적

2. 지역 보건 문제의 현황 분석
2.1. 지역의 건강 수준 평가
2.1.1. 지역 인구
2.1.2. 지역의 물리적, 사회경제적 특성
2.1.3. 지역의 날씨 변화
2.2. 지역사회의 관심과 장점
2.3. 지역 보건 체계의 평가
2.4. 건강 문제와 해결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의 변화

3. 우선순위 사업 결정
3.1. Basic Priority Rating Scale(BPRS) 평정법 적용
3.2. 사업 대상

4. 보건사업 목적 및 목표 설정
4.1. 사업 목적 및 구체적 목표

5. 보건사업의 전략 및 세부 계획
5.1. 사업 내용
5.2. 자원 투입 계획
5.3. 추진 일정

6. 보건사업의 평가 계획

7. 보건 사업 기획서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보건사업 기획 보고서
1.1. 보건사업 기획의 일반적 목적

보건사업 기획의 일반적 목적은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하나의 간호사업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사업선정의 배경으로 현황 및 원인분석을 실시하고, 우선순위를 정하고 목표설정, 전략 및 세부계획 수립 등의 절차를 거쳐 지역사회로서 보건사업 기획 능력을 기르고자 하는 것이다.


1.2. 보건사업 기획의 구체적 목적

대상 지역의 보건문제 중 우선순위 사업을 결정하고, 선정된 보건사업의 목표를 설정하며, 선정된 보건사업의 전략 및 세부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다.""


2. 지역 보건 문제의 현황 분석
2.1. 지역의 건강 수준 평가
2.1.1. 지역 인구

지역 인구 현황은 다음과 같다.

인천광역시 계양구의 전체 인구수는 290,559명으로, 남녀 성비가 균등한 편이다. 특히 유년 인구(0-14세)의 비율이 전년 대비 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전반적인 저출산 추세가 계양구에서도 관찰되고 있다. 반면 고령인구(65세 이상)의 비율은 9.8%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계양구 내 총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36,086명으로, 이 중 치매 유병률이 9.93%에 달한다. 즉, 계양구에는 약 3,585명의 치매 환자가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전국 평균 치매 유병률 10.30%보다는 약간 낮은 수준이지만, 인천시 평균 9.90%보다는 0.03%p 높은 수준이다.

또한 대상 지역 내 교육 수준별로는 고졸 이상이 81.2%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대졸 이상 34.1%, 중졸 8.3% 순이다. 직업별로는 기능단순노무직 28.5%, 군인/학생/주부/무직 35.2%, 판매/서비스직 13.6% 등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계양구는 전반적인 인구 감소 추세 속에서도 고령인구 비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치매 환자 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교육 및 직업 수준에 있어서도 다양한 특성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1.2. 지역의 물리적, 사회경제적 특성

인천광역시 계양구의 지리적 배경은 다음과 같다. 계양구의 날씨는 8월에 평균 25.9℃, 12월에 평균 0.2℃를 기록하고 있다. 거처의 종류로는 주택 108,747, 단독주택 10,756, 아파트 65,847, 연립주택 1,530, 다세대 주택 29,567, 비거주용 건물 내 주택 1,037, 주택 이외의 거처 4,885채가 있다. 가구원 수별로 보면 1명 가구 32,694, 2명 가구 33,689, 3명 가구 26,131, 4명 가구 19,332, 5명 가구 4,121, 6명 가구 689, 7명 이상 가구 162가구로 나타났으며, 평균 가구원 수는 2.4명이다. 자동차 등록으로는 관용 287대, 자가용 119,350대, 영업용 200,932대가 등록되었고, 자전거 전용도로는 2개소 3.0km, 자전거 보행자 겸용도로는 53개소 35.6km가 있다. 인천광역시에서 가장 서울 접근성이 좋은 지역 중 하나로 도시철도, 광역철도, 버스로 인천 시내와 서울, 경기 지역을 연결한다.

이어서 사회적 배경을 살펴보면, 생활환경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3.51점으로 나타났다. 계양구의 생활환경 요인 중 '의료 보건 환경'(3.62점)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고, '대기 환경'(3.37점)에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일과 여가의 균형에 있어서는 '여가보다 일에 집중'(48.6%)하는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성별로는 남자(52.5%)가 여자(44.7%)보다 '여가보다 일에 집중'하는 비율이 높았다. 타 도시 대비 인천의 안전 인식은 3.33점으로 '범죄위험'(3.05점)에 대한 사회 안전 인식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2.1.3. 지역의 날씨 변화

인천광역시 계양구의 날씨는 여름철인 8월에 평균 25.9℃를 기록하고, 겨울철인 12월에는 평균 0.2℃를 기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월에는 최고기온이 21.9~33.9℃, 최저기온이 21.9~33.9℃로 나타났고, 12월에는 최고기온이 영하 11.9~10.2℃, 최저기온이 영하 11.9~1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계양구의 기후가 연중 큰 기온 차이를 보이는 대륙성 기후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2. 지역사회의 관심과 장점

대상 지역의 보건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관심과 장점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해당 지역의 자원과 강점을 활용함으로써 보건사업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제공된 문서에 따르면, 지역사회의 관심과 장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형마트, 공원, 체육관, 병원 등의 인프라가 잘 갖추어져 있다. 특히 대규모 병원과 공...


참고 자료

계양구청. 통계정보, 일반현황. 제26회 2021 인천광역시 계양구 기본통계. https://www.gyeyang.go.kr/open_content/main/bbs/bbsMsgDetail.do?msg_seq=13&bcd=basic. (22. 11. 22)
계양구청. 통계정보, 일반현황. 제7기 지역보건의료계획 3차년도(2021년) 시행계획. https://www.gyeyang.go.kr/open_content/clinic/bbs/bbsMsgDetail.do?msg_seq=9&bcd=board_114. (22. 11. 22)
인천광역시의회 의회운영위원회. 위원회 활동, 발의의안. 제7기 인천광역시 지역보건의료계획(2019~2022) 보고, https://www.icouncil.go.kr/council/council.do?act=billreportdetail&billno=7348&pgdiv=site2. (22. 11. 22)
통계청, e지방지표. https://kosis.kr/visual/eRegionJipyo/regionJipyo/eRegionJipyoRegionJipyoView.do. (22. 11. 22)
계양구청. 계양소개, 구정현황 책자로 보기. 2022 구정현황. https://www.gyeyang.go.kr/open_content/main/gyeyang/current/district.jsp. (22.11.22)
계양구청. 정보공개, 일반현황. 2021 인천의 사회지표(계양구) 결과보고서. https://www.gyeyang.go.kr/open_content/main/bbs/bbsMsgDetail.do?msg_seq=34&bcd=board_131. (22.11.22)
인천광역시 광역치매센터, 알림, 공지사항. 2020 연차보고서 인천광역치매센터(1)[2], https://incheon.nid.or.kr/community/notice/view.aspx?no=4200¢er_gubun=g&rNum=2&search=%EC%97%B0%EC%B0%A8%EB%B3%B4%EA%B3%A0%EC%84%9C. (22. 11. 22)
인천광역시 광역치매센터, 알림, 공지사항. 2020 연차보고서, 인천광역치매센터(2)[3], https://incheon.nid.or.kr/community/notice/view.aspx?no=4200¢er_gubun=g&rNum=2&search=%EC%97%B0%EC%B0%A8%EB%B3%B4%EA%B3%A0%EC%84%9C. (22. 11. 22)
계양구 보건소. 사업 안내, 지역사회건강조사. 인천광역시 계양구 2021 지역사회 건강통계. https://www.gyeyang.go.kr/open_content/clinic/bbs/bbsMsgDetail.do?msg_seq=16&bcd=board_112. (22. 11. 22)
질병관리청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실, 지역사회 건강통계. 2021년 지역사회 건강통계 통계표. https://chs.kdca.go.kr/chs/recsRoom/healthStatsMain.do. (22. 11. 22)

문현정, 2002, 지역사회복지관의 자원동원에 미치는 영향요인, 국내석사학위논문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p.6~7
김차순, 2014, 울산광역시 노인복지관 여가프로그램 분석, 국내석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 p.69~71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