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결장암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 필요성
1.2. 연구기간 및 방법
2. 문헌고찰
2.1. 질병의 정의
2.2. 원인 및 위험소인
2.2.1. 식생활 습관
2.2.2. 유전적 요인
2.2.3. 염증성 장 질환
2.2.4. 육체적 활동 수준
2.2.5. 50세 이상의 연령
2.2.6. 흡연
2.3. 병태 생리
2.4. 증상 및 징후
2.5. 진단 방법
2.6. 치료 및 간호
3. 간호과정
3.1. 간호사정
3.2. 의학적 치료 및 간호중재 내용
3.3. 간호과정 적용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 필요성
최근 서구적으로 변한 식이로 인해 동물성 지방과 육류, 튀김의 섭취가 증가하고 있어 이로 인해 우리나라에서도 결장암의 발병률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S자 결장암은 암 발생률 4위를 기록하고 있는 대장암의 종류 중 하나로 주 연령층은 50~60대이며, 원인으로는 연령, 가족력, 비만, 흡연, 결장 폴립이나 선종, 궤양성 대장염, 식생활, 생활환경의 변화와 발생률 간에 상관관계가 있다. 이에 대해 앞으로 예상되는 대장암의 발생 증가에 대비해 대장암의 종류 중 가장 높은 발병률을 가지고 있는 S자 결장암에 대해 간호사례 연구를 통하여 결장암 환자와 stoma care에 대해 공부하고자 하였다.
1.2. 연구기간 및 방법
2023년 9월11일부터 2023년 9월22일까지 000병원 000에서 성인간호학실습을 하였다. EMR과 성인간호 책, NANDA 간호진단 책, 약전, 실습지침서와 전문 기관의 사이트 등을 참고하였다."
2. 문헌고찰
2.1. 질병의 정의
결장에 생긴 암을 결장암이라고 하는데 그중에서 S상 결장에 생긴 암을 S상 결장암이라고 한다. 결장암은 어느 연령에서나 발생할 수 있으나 50대 이상의 연령층에서 가장 호발하고 남녀 발생률은 비슷하다. 상행 결장암은 5%, 횡행 결장암 10%, 하행 결장암 3%, S상 결장암 29%로 S상 결장암이 높은 발병률을 지니고 있다."
2.2. 원인 및 위험소인
2.2.1. 식생활 습관
식생활 습관은 결장암 발생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최근 서구화된 식생활로 인해 동물성 지방과 육류, 튀김 등의 섭취가 증가하면서 결장암의 발병률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동물성 지방과 정제된 탄수화물이 많은 식단은 결장암 발생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칼로리 고지방 식단은 대장 내 콜로레크탈 암 발생 위험을 증가시킨다. 이는 지방 섭취가 많은 경우 대장 내 암 전구물질이 생성되기 때문이다. 또한 적절한 섬유질 섭취가 부족하면 장 내 통과 시간이 지연되어 발암물질이 장 점막에 더 오래 접촉하게 되므로 암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
이와 같이 식생활의 서구화와 함께 증가하는 결장암의 발생률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결장암 예방을 위해서는 동물성 지방 섭취를 줄이고 섬유질이 풍부한 과일, 채소 섭취를 늘리는 등 건강한 식생활 습관 형성이 필요하다.
2.2.2. 유전적 요인
결장암이 포함된 전체 대장암의 약 15~20%는 유전적 소인과 관계가 있다"는 것이다. 즉, 결장암의 발생에는 유전적 요인이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중에서도 결장암의 발병 위험을 높이는 몇 가지 유전 질환들이 있다.
먼저, 가족성 선종성 용종증(Familial Adenomatous Polyposis, FAP)이 있다. FAP는 상염색체 우성 유전 질환으로, 수십~수백 개의 선종성 용종이 대장 전체에 걸쳐 발생하게 된다. FAP 환자의 경우 40세 이전에 거의 100%가 결장직장암으로 발전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유전성 비용종성 대장암(Hereditary Non-Polyposis Colorectal Cancer, HNPCC)도 중요한 결장암 관련 유전 질환이다. HNPCC는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되며, 대장암 외에도 자궁내막암, 난소암, 비뇨기암 등의 발생 위험이 높다.
이 밖에도 기타 유전 질환으로는 가족성 위장관 폴립증(Familial Gastrointestinal Polyposis), Lynch 증후군, 가족성 선암종증(Familial Adenomatous Polyposis) 등이 있다. 이러한 유전 질환들은 모두 결장암 발병 위험을 크게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요약하면, 결장암의 약 15~20%가량은 유전적 소인과 관...
참고 자료
유양숙 외(2022) 현문사 제 8판 성인간호학(하권)
원종순 외(2022) 현문사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제3판 부록1 간호진단 목록(NANDA-1 2021~2023)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_ N의학정보_
서울 아산병원 의학정보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2017.
국제간호진단협회,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2018-2020, 학지사메디컬, 2018.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약학 정보원, 약물정보
아산병원 질환백과, colon cancer
고자경 외(2017년),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홍정주 외(2017년), 성인간호학 실습지침서
네이버 지식백과, 의학품사전, 약학정보원
강북삼성병원 EM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