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현재까지 한국기독교회사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었으며, 그 연구의 결과로서 수많은 저서들이 출간되었다. 하지만 한국기독교회사 전체를 범위로 다루고 있는 통사는 많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한국기독교회사의 연구 현실 가운데 박용규 교수는 독자들로 하여금 한국교회사 전체를 한 눈에 통전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기회를 본서를 통해 제공해 주고 있다. 그러나 한 눈에 볼 수 있다는 것은 저서가 가지고 있는 사상적 통일성에 기초한 내용적 흐름에 있어서이지, 각 권의 양이 둘 다 천 페이지를 넘는 방대한 분량이기에 결코 그 양에 있어서 한 눈에 볼 수 있다는 말은 아니다. 이러한 본서의 방대한 분량은 인용된 수많은 자료들을 통해 역사의 흐름을 변증하고자 한 저자의 역사 학자로서의 성실함을 대변해주는 하나의 증거로서 충분한 기능을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역사는 기록자인 사가(史家)가 어떤 관점 즉 사관(史觀)을 가졌느냐에 따라 그 내용이 좌우된다는 것을 부인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따라서 저자 박용규 교수는 「한국기독교회사」 1권의 '서론'에서 '한국교회사 이해와 연구 방법론'을 다루며, 한국교회사 연구의 특성을 사관에 따라 몇 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가장 먼저 백낙준의 '선교사관'을 소개하고 있었다. 백낙준의 「한국개신교사」는 그의 박사학위 논문으로서 1832년부터 1910년까지의 한국개신교사를 연구한 것이다. 이 논문에 나타난 선교사관은 백낙준의 제자이기도 한 민경배에 의해 비판되었다. 민경배 교수의 「한국기독교회사」는 1970년대에 나온 여러 형태의 한국교회사 연구서들 중 대표적인 것으로 '민족교회사관'을 제시하고 방대한 자료들을 통해 역사를 서술하고 있다. 그 다음은 1979년에 발표된 주재용 교수의 「한국기독교 백년사」이다. 이는 '민중사관'의 표출로서 '엘리트-지식계층'을 대상으로 한 민경배의 '민족교회사관'에 대한 비판에서 시작하고 있다. 1980년대에 와서는 이만열을 중심으로 한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의 '실증주의사관'이 등장하여 한국사와 기독교사의 접목을 시도하였다. 이와 같은 한국교회사 연구의 흐름 속에서 박용규 교수는 한국교회사의 복음주의적 해석이라는 새로운 시도를 하였고 그 연구 결과의 하나로서 본서가 저술된 것이다. 따라서 본서는 복음적 관점이라는 새로운 측면에서 한국교회사를 서술함으로, 이후 계속될 한국교회사 연구에 새로운 물고를 열었다는 면에서 가치가 크다고 생각한다.
2. 한국기독교회사 1권
2.1. 개신교 전래 이전 서양 종교와의 접촉
개신교 전래 이전 서양 종교와의 접촉은 한국 기독교회사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한국은 중국과 아랍, 몽골 등을 통해 서양 문화와 접촉할 기회가 있었으며, 임진왜란 이후에도 서양 문화와의 접촉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과정에서 조선 천주교의 전래 과정도 상세히 다루고 있다.
중국과 아랍, 몽골 등을 통한 접촉의 가능성은 한국이 서양 문화와 접촉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다는 점을 보여준다. 특히 중국을 통해 전래된 천주교는 서학(西學)으로 불리며 조선에 전파되었다. 임진왜란 이후에는 서양 문화와의 접촉이 보다 활발해졌는데, 포르투갈, 스페인, 네덜란드 등의 국가들과 교역이 이루어졌고 이를 통해 서양 문물이 유입되었다. 이 과정에서 서양 선교사들도 조선을 방문하여 천주교를 전파하였다.
조선 천주교의 전래 과정은 가톨릭 신자인 이승훈이 중국 베이징에서 프랑스 신부 그루몽으로부터 영세를 받은 것에서 시작된다. 이후 프랑스 선교사들이 조선에 입국하여 천주교를 전파하였고, 신자들이 늘어나면서 관헌들의 박해에 시달리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천주교는 조선 사회에 뿌리를 내리게 되었다.
이처럼 개신교 전래 이전부터 한국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서양 문화와 접촉할 기회가 있었으며, 그 과정에서 천주교가 전래되어 조선 사회에 자리 잡게 되었다. 이는 후에 개신교가 전래되었을 때 보다 유리한 환경을 만들어줄 수 있었다고 할 수 있다.
2.2. 한국 개신교전래의 준비
제공된 문서에 따르면 「한국기독교회사」 제1권 제2부에서는 '한국 개신교전래의 준비'로서 1832년부터 1884년까지 있었던 사건들을 역사적 흐름에 따라 조망하여 선교사들이 입국하기 이전의 준비과정을 심도 있게 기술하고 있다.
선교사가 들어와 복음을 전하고 교회를 개척하기도 전에 이미 자국어로 된 성경을 가지게 된 것은 세계 선교 역사상 유례를 찾기 힘든 역사적 사실이다. 이는 이미 한국에 복음이 전파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사실을 통해 필자는 한국에 복음이 전파된 것이 오직 하나님의 주권적인 섭리와 인도하심에 따른 것이었음을 고백하며 감사와 찬송을 드리게 된다. 역사 가운데 하나님의 일하심에 대해 배우고 깨닫는 것은 곧 하나님 자신에 대해 배우고 깨닫는 것이라는 점을 이 부분에서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선교사가 들어오기도 전에 성경이 전래되었다는 사실은 역사적으로 매우 독특한 사례이다. 저자는 이를 통해 하나님의 섭리가 한국에서 어떻게 드러났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한국 복음화의 배경에는 이러한 하나님의 인도하심이 자리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처럼 「한국기독교회사」 제1권 제2부에서는 1832년부터 1884년까지의 시기를 다루면서, 선교사들이 공식적으로 입국하기 이전에 한국에 복음이 어떻게 전래되고 준비되어 왔는지를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다. 이를 통해 한국 개신교전래의 역사적 과정을 깊이 있게 탐구할 수 있다.
2.3. 선교사 입국과 복음의 전래
1884년부터 1900년까지 있었던 '선교사 입국과 복음의 전래'에 대해서는 각국 선교사들의 입국, 선교사들의 신학적 특성, 선교정책, 수난과 갈등 등 초기 교회들이 겪었던 역사의 장면들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
한국에 입국한 초기 선교사들은 성경의 무오를 믿는 바른 성경관에 기초한 복음주의적 전통에 서 있는 자들이었으며, 이는 오늘날 한국교회의 복음주의적 전통을 형성하는 밑거름이 되었다. 이 모든 일들이 역사 가운데 간섭하신 하나님의 은혜였음을 감사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제3부에서는 선교사들이 들어와 복음을 전하고 교회를 개척하기도 전에 이미 자국어로 된 성경을 가지게 된 세계 선교 역사상 유례를 찾기 힘든 역사적 사실들을 다루고 있다. 이는 오직 하나님의 주권적인 섭리와 인도하심에 따른 것이었음을 보여준다. 이처럼 역사 가운데 하나님의 일하심에 대해 배우고 깨닫는 것이 곧 하나님 자신에 대해 배우고 깨닫는 것이라는 의미를 전달하고 있다.
특히 한국에 입국한 초기 선교사들이 성경의 무오를 믿는 바른 성경관에 기초한 복음주의적 전통에 서 있는 자들이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이로 인해 오늘날 한국교회의 복음주의적 전통이 형성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이는 하나님의 은혜로운 역사적 개입의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요컨대, 1884년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