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대퇴경부골절(당뇨,고지혈증 과거력) 환자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사례대상자 선정의 이유
2. 문헌고찰
2.1. 골격, Bone
2.1.1. 구조
2.1.2. 기능
2.1.3. 성장과 대사
2.2. 골절, Fracture
2.2.1. 정의
2.2.2. 분류
2.2.3. 치유 과정
2.2.4. 임상증상
2.2.5. 진단검사
2.2.6. 치료
2.2.7. 간호
2.3. 대퇴골 골절, Femur fracture
2.3.1. 수술방법
3. 간호과정
3.1. 간호력
3.2. 진단검사 결과 정보
3.3. 대상자의 투약 정보
3.4. 치료 및 경과
4. 간호과정 적용
4.1. 간호진단 도출
4.2. 간호과정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사례대상자 선정의 이유
이전 학기의 성인간호학 실습과 이번 실습에서도 공통적으로 노인들의 대퇴골절로 인한 입원이 많아서 대퇴골절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고, 퇴원을 해도 집이나 일상으로의 복귀가 거의 불가능하고 요양원, 요양병원으로 향한다는 사실에 대퇴골절이 치명적인 이유에 대해 궁금증을 갖게 되었기 때문이다.
2. 문헌고찰
2.1. 골격, Bone
2.1.1. 구조
인간의 뼈는 총 206개이며, 관절로 연결되어 있다. 뼈는 배아기의 4주 때부터 출생 후 약 20년까지 성장한다. 뼈는 장골, 단골, 편평골, 불규칙뼈, 종자골 총 5가지 형태로 분류된다. 그 중 대퇴골은 장골에 속하며, 장골은 중력을 지탱하거나 근육의 지렛대 역할을 하는 사지의 골격을 이룬다. 뼈는 손상 후에도 흡수와 재생과정을 통해 스스로 회복된다. 뼈의 회복과정은 혈종형성, 골아세포 증식, 가골형성, 가골의 골화 및 골절부위의 재형성으로 이뤄진다. 뼈에는 많은 혈관들이 분포되어 순환혈류량이 200~400mL/분이다. 각 뼈에 영양을 공급하는 동맥은 뼈의 중간부위로 들어가 상행 및 하행으로 나뉘어 피질, 골수, 하버시안계에 혈액을 공급한다. 뼈에 분포된 교감신경은 혈관이완을 조절하고 감각신경은 병변 시 통증을 전달한다."
2.1.2. 기능
뼈는 신체의 형태를 제공하고 체중부하, 직립자세를 취하는 기능을 한다. 근육과 힘줄의 작용으로 주위 조직을 지지하며 자발적인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단단한 틀을 구성해 뇌, 심장, 폐와 같은 주요 내부 장기를 지지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적골수에서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의 혈액세포를 생산하며, 칼슘, 인 등의 무기질을 저장하고 방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처럼 뼈는 신체 형태 유지, 체중지지, 운동기능, 장기보호, 혈액세포 생산, 무기질 대사 등 다양한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2.1.3. 성장과 대사
뼈의 성장과 대사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뼈는 배아기의 4주 때부터 출생 후 약 20년까지 성장한다. 뼈는 성장하는 과정에서 활발한 무기질과 골기질 형성이 일어나며, 뼈의 크기와 모양이 변화한다. 뼈의 성장과 대사 과정은 크게 골화 과정, 골형성과 골흡수의 균형 등으로 설명할 수 있다.
골화 과정이란 연골 세포가 단단한 뼈 세포로 대치되는 것을 말한다. 골화 과정은 20~25세까지 진행되며, 이 시기에 골단판에서 활발한 골형성이 일어나 뼈가 자라난다. 골아세포는 새로운 뼈를 만들어 뼈를 두껍게 하며, 파골세포는 오래된 뼈를 파괴해 골수강을 넓힌다. 이와 같이 골형성과 골흡수의 균형이 잡혀야 정상적인 뼈의 성장과 대사가 이루어진다.
뼈의 형성과 재구성은 뼈에 적절한 자극이 가해질 때 활발해진다. 예를 들어 규칙적인 운동은 뼈에 기계적 자극을 주어 골형성을 촉진한다. 반면 장기간 침상 안정은 뼈에 자극이 줄어들어 뼈의 무게가 감소하고 쉽게 부서질 수 있다.
이처럼 뼈는 출생부터 성인기까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변화하며, 이러한 과정은 골화, 골형성과 골흡수의 균형 등 복잡한 메커니즘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는 뼈가 단순히 신체의 지지 구조 이상의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2.2. 골절, Fracture
2.2.1. 정의
골절(fracture)은 "뼈가 부러진 상태"를 말한다. 대부분의 골절은 낙상, 자동차 사고 등 의부의 과도한 힘에 의해 발생하나, 종양이나 골다공증 등 골조직의 병리적 변화로 인해 정상적인 활동 중에도 발생할 수 있다. 골절은 대개 폐쇄성 골절과 개방성 골절로 구분되는데, 폐쇄성 골절은 피부의 창상이 없어서 골절편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이고, 개방성 골절은 골절부위의 피부가 손상되어 외부로 창상이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구분은 감염의 위험성을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2.2.2. 분류
골절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상처상태에 따라 폐쇄성 골절(closed fracture)과 개방성 골절(open fracture)로 나뉜다. 폐쇄성 골절은 피부의 창상이 없어 골절편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이며, 개방성 골절은 골절부위의 피부가 손상되어 외부로 창상이 난 상태이다. 개방성 골절의 경우 감염의 위험이 높다.
골절편의 수에 따라서는 단순골절(simple fracture)과 분쇄골절(comminuted fracture)로 구분된다. 단순골절은 한 개의 골절선에 의해 두 개의 골절편이 생기는 경우이고, 분쇄골절은 두 개 이상의 골절선에 의해 세 개 이상의 골절편이 발생하는 경우이다.
골절면의 방향에 따라서는 선상골절(linear fracture), 횡골절(transverse fracture), 사선골절(oblique fracture), 나선골절(spiral fracture), 종골절(longitudinal fracture) 등으로 나뉜다. 선상골절은 금이 간 형태이고, 횡골절은 골축에 수직한 골절, 사선골절은 약 45도로 경사진 골절, 나선골절은 뼈 둘레를 돌면서 나선을 이루는 골절, 종골절은 골장축과 평행한 골절이다.
또한 전위성 골절(displacement fracture)은 골절편이 골절선이나 관절 밖으로 분리된 경우이고, 압박골절(compression fracture)은 한 개의 골절편이 다른 골편이나 뼈 조직에 박히는 형태이다. 병리적 ...
참고 자료
Case 8. 대퇴골 경부 골절, Femur Neck Fracture|작성자 관절전문
(부천 예손병원) 의학정보 게시판
[자생한방병원 건강칼럼] 낙상 잦은 겨울 빙판길, 고관절 골절 예방하기
[가톨릭중앙의료원 건강칼럼] 겨울철 노인건강을 위협하는 고관절 골절
[네이버 지식백과] 넙다리뼈 [femur] (서울대학교병원 신체기관정보)
[네이버 지식백과] 대퇴골경부골절 [femur neck fracture, 大腿骨頸部骨折]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의약품 사전 (건강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X선 촬영 [X-ray]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병원 건강칼럼 (건강백과)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이은희, 김유정, 안지원, 최예숙, 고영지, 고정미, 김향동, 김현정, 조미희, 주영주 외 공저. ㈜고문사
제4판 기본간호학 Ⅰ. 양선희, 원종순, 백훈정, 강정희, 이정인, 김영주, 박진희, 신미경, 최정실 외 공저. 현문사
아홉번째판 성인간호학 Ⅰ. 윤은자 김숙영 소향숙 서연옥 이은남 이은자 석소현 박연환 류은정 박영미 백명화 손덕옥 외 공저. 수문사
http://www.mnc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57
조경숙 외 .(2016). 『성인간호학 상권』. 서울 : 현문사
김금순 외 .(2012). 『성인간호학 I』. 경기 파주 : 수문사
차영남 외 .(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제3판.』 서울 : 현문사
은재순 외 .(2014). 『임상약리학』. 서울 : 현문사
Susan W, Jean G.(2013) 『건강사정』 서울 : 현문사
송경애.(2016) 『최신 기본간호학Ⅰ』 경기 파주 : 수문사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pub/infomed/sub01/sub01/
서울아산병원 의학교육 http://www.amc.seoul.kr/asan/academy/main/academyMain.do
임상검사 결과: https://www.gclabs.co.kr/pr/live?divcode1=02
성인간호학 (상), 제8판, 현문사, 유양숙 외
기본간호학 Ⅰ, 현문사, 양선희 외
임상약리학, 현문사, 최명애 외
건강을 위한 영양과 식사요법, 고문사, 한정순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