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선천성 거대결장 간호과정

  • 1
  • 2
  • 3
  • 4
  • 5
  • 6
  • 7
  • 8
>

상세정보

소개글

"선천성 거대결장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필요성
1.2. 시나리오

2. 선천성 거대결장
2.1. 정의
2.2. 병태생리
2.3. 원인
2.4. 발병률
2.5. 임상증상
2.6. 합병증
2.7. 진단 및 검사
2.8. 치료
2.9. 간호

3. 간호과정
3.1. 사정
3.2. 진단
3.3. 간호중재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필요성

선천성 거대결장은 모든 신생아 장폐쇄증의 원인 중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며, 선천적으로 발생하지만, 질환의 발생 부위에 따라 출생 직후 발견되는 경우부터 2~3세가 되어야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신생아 5,000명 중 약 1명에게 나타나고, 남아가 80%를 차지하며, 우리나라에서는 1년에 100명 정도 발생한다. 또한 다운 증후군(Down syndrome) 아동에서 더 흔하게 발생한다.

선천성 거대결장은 신경절의 선천적 결여로 인하여 대장의 연동운동 장애, 괄약근의 과긴장 등으로 장폐쇄가 나타나며, 만성적인 변비가 특징으로 무신경절의 근위부 대장이 비후되며 이로 인해 변과 가스가 배출되지 못하고 고이게 된다. 신생아기에 이런 증상이 지속되고 악취를 동반한 대변, 발열, 복부팽만 등을 보이는 경우 선천성 거대결장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선천성 거대결장은 장염(enterocolitis)으로 진행하여 패혈증 등으로 사망할 수 있기 때문에 고위험신생아가 될 소지가 다분하고, Laurence Moon Bardet Biedl 증후군, Waardenbung 증후군, 심혈관 이상 등의 선천성 이상과 관련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이해와 진단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사례를 통해 선천성 거대결장에 대하여 정확하게 이해하고, 대상자에게 나타날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를 사정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제적인 진단을 내리고 대상자에게 적합한 간호를 제공하여 대상자의 신체적·정신적 안위를 도모하고자 한다.


1.2. 시나리오

2016년 12월 24일 본원에서 베트남 산모의 아기인 한ㅇㅇ(재태기간 38주 6일, 출생 시 체중 3.35kg, 남자)이 NSD(Normal Spontaneous Delivery, 자연분만)으로 태어났다. Apgar Score는 1분 8점, 5분 9점으로 활력징후뿐만 아니라 신체계측도 정상범위에 속했다. 분만 후 산모는 모유수유 금기 약물인 항생제를 투여받아, 아기는 포도당으로 수유를 시작하였으나 당일 새벽 구토를 한 차례 하였다. 생후 2일째 오전부터는 지속적으로 역류가 있었고 복부 팽만이 발견되었다. 즉시 주치의에게 보고하였고, 주치의는 환아 사정 후 X-ray를 진행하고 G-tube(위루관) 삽입과 금식을 처방하였다. 이후 복부팽만이 호전되면서 위루관 제거 후 수유를 시작하였으나 다시 복부 팽만이 aggressive하게 진행되어 다시 NPO(금식)을 유지하였다. 또한 관장을 시행한 결과 변은 나오지 않고, 한 차례 더 관장을 시행 후에야 소량의 태변을 보았다. 이후 주치의 처방으로 수유를 시작하려다가 다시 처방이 변경되어 NPO를 유지한 채로 위루관을 삽입하고 전해질이 혼합된 수액요법을 시작하였다. 베트남 산모와의 의사소통에 어려움으로 보호자는 불안과 두려움을 표현하였다. 출생 3일째부터 복부팽만이 조금 완회되었고, 출생 4일째부터는 복부가 soft하게 만져졌다. 출생 5일째에는 위루관을 제거하고 수유를 시작하였다. 출생 6일째에 복부는 soft하나 복부 팽만이 심해지면서 다시 위루관을 삽입하였다. R/O colon megaly 진단하에 검사 및 TPN 치료를 위해 타 병원으로 전원이 결정되었다."


2. 선천성 거대결장
2.1. 정의

선천성 거대결장(congenital megacolon, Hirschsprung disease, HD)은 장의 운동을 담당하는 장관 신경절세포와 관련된 질환으로, 대장 원위부에 부교감 신경절 세포가 결손되어 장 팽만을 일으키므로 거대결장이라고 명명한다. 신생아나 소아에서 거대하게 확장된 결장을 동반하면서 배변 장애와 기능성 장폐쇄증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대부분의 경우 신생아기부터 증상이 나타나는 점과 확장된 결장 부위가 병소일 거라는 의미에서 선천성 거대결장증이라 불리어 왔다. 또한 Hirschsprung(1886)에 의해 보고되어 허쉬스프룽병 혹은 히르슈슈프룽병(Hirschsprung disease)이라고도 한다.""


2.2. 병태생리

선천성 거대결장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장관 신경절세포는 수태 후 5주 경에 식도에 도달한 후 항문 쪽으로 장벽을 따라 이동하며, 12주 경에는 하부 결장에 도달한다. 이때 어떠한 이유로 신경절세포의 이동이 멈추면 하부 장에는 신경절세포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장운동은 장근 및 점막하 신경총으로 구성된 내인성 신경계와 외인성 신경계가 균형을 이루면서 장관이 팽창하면 상부는 수축하고...


참고 자료

이수연 외(2019). 아동간호학 총론 개정판(pp. 337~339). 수문사.
원종순 외(2018).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제2판. 현문사.
차영남 외(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네이버 지식백과(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히르슈슈프룽병 [hirschsprung’s disease].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19758&cid=51007&categoryId=51007#TABLE_
OF_CONTENT1.
김순영, 서정기, 박귀원, 김우기, 지제근(1995). 선천성 거대 결장증의 임상 및 병리학적 고찰. 대한병리학회지 1995;29(1):40-51.
신진용, 문상은(1997). 선천성 거대결장증의 임상적 고찰. 대한외과학회 학술대회 초록집, (), 249-249.
정수진, 서정기(2003). 선천성 거대결장증이 의심되는 12개월 이하의 영아에서 직장-항문 억제반사 (Recto-anal inhibitory reflex) 의 진단적 유용성-선천성 거대결장증에서 직장-항문 억제반사의 진단적 유용성.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9(1), 42-46.
서울아산병원. 아프가점수(Apgar score).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
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430.
두산백과. 아프가 점수[ Apgar score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49281
&cid=40942&categoryId=32750
이명덕(2002). Hirschsprung's Disease: Etiology and Pathophysiolog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 JKAPS,8(1),41-47.
이남혁(2007). Hirschsprung’s Disease.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v.24 no.1 = no.44
National Institute of Diabetes and Digestive and Kidney Diseases (NIDDK). Hirschsprung Disease. https://www.niddk.nih.gov/health-information/digestive-diseases/hirschsprung-disea
se. 2022.05.05.
Mayo Clinic(2021). Hirschsprung Disease. https://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
/hirschsprungs-disease/symptoms-causes/syc-20351556.
Boston Children’s Hospital. Hirschsprung's Disease. https://www.childrenshospital.org/condI
tions/hirschsprungs-disease#undefined.
김영혜 외 공저, 『아동간호학 각론』, 현문사(2018)
신경림 외 공저,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2019)
양선희 외 공저, 『기본간호학Ⅰ』. 현문사(2020)
양선희 외 공저, 『기본간호학Ⅱ』. 현문사(2020)
황옥남 외 공저,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2018)
성미혜 외, 비판적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수문사(2020)
[『복부 마사지가 변비치료에 미치는 효과』, 정선진, 2013, 24-35p]
[『장배설의 변화 : 변비』, 권영숙, 1993, 22p]
M. Terese Verklan 저. 신생아 중환자 간호 5판. 서울 : ELSEVLER(2015).
Marilyn J. Hockenberry & David Wilson. (2012). 아동간호학(총론). 서울 : 현문사.
Marilyn J. Hockenberry & David Wilson. (2012). 아동간호학(각론). 서울 : 현문사.
차영남 외 13명 공저. (2013). 제3판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서울 : 현문사.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