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 인적자원 관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간호인적자원관리의 중요성
1.2. 간호인적자원관리의 구성요소
2. 간호인적자원관리 현황 및 문제점
2.1. 간호인력 부족 현황
2.2. 열악한 근무환경
2.3. 간호사 이직률 문제
3. 간호인적자원관리 개선 방안
3.1. 간호사 1인당 환자 수 법제화
3.2. 독립적인 간호 수가 개설
3.3. 간호사 업무 범위 재정비
4. 간호사 인적자원관리 전략
4.1. 인력 확보 전략
4.2. 인력 개발 전략
4.3. 인력 유지 전략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간호인적자원관리의 중요성
의료조직에서 간호인력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기 때문에 간호인적자원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간호인적자원관리를 통해 간호의 질을 높일 뿐만 아니라 보건의료조직 전체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간호관리자의 의사결정은 환자간호제공, 조직목표 달성을 위한 계획, 조직운영과 관리, 자원배분 등 다양한 영역에서 이루어지므로 간호인적자원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간호관리자의 의사결정 상황을 중심으로 의사결정에서의 참여정도와 관련 변인들을 파악하여 간호인적자원관리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1.2. 간호인적자원관리의 구성요소
간호인적자원관리의 구성요소는 확보관리, 개발관리, 보상관리, 유지관리이다.
확보관리는 유능한 간호 인력을 조직 내부로 끌어들여 확보하는 것으로 간호인력의 예측 및 계획, 모집 및 선발, 인력배치에 관한 활동이 포함된다.
개발관리는 간호 인력의 역량을 개발하여 증대시키는 것으로 인사고과와 이동, 승진 및 전보, 경력개발, 직무수행평가에 관한 활동이 포함된다.
보상관리는 우수한 간호 인력을 유치하고 이들이 조직을 위해 헌신하도록 동기화하는 것으로, 임금관리, 복리후생 등에 관한 활동이 포함된다.
유지관리는 우수한 간호 인력이 조직 내에 장기간 근무하게 하고, 간호 인력이 조직 안에서 원만한 인간관계를 유지하고 업무역량을 확대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으로 인간관계, 직원훈육, 이직관리, 노사관계 및 협상에 관한 활동이 포함된다.
2. 간호인적자원관리 현황 및 문제점
2.1. 간호인력 부족 현황
현재 우리나라 간호조직의 구조적인 불균형은 심각한 상황이다. 면허를 소지한 간호사의 수는 부족하지 않지만, 의료기관에서 임상 간호사로 활동하는 간호사는 현저히 부족하다. 행정안전부에 의하면, 2022년 전체 면허소지자 48만 1천 명 중에서 의료기관 활동 간호사는 25만 4천 명으로 전체의 52.6% 수준이다. 이는 OECD 평균의 약 53.8% 수준에 불과하여, 의료현장 내 간호사가 수요공급의 불균형이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보건사회연구원에 따르면, 보건의료인력 중장기 수급 추계 결과 간호사의 업무강도를 지금의 80%로 완화한다고 가정할 경우, 2035년까지 간호사 5.6만 명이 부족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간호사의 인력 부족은 지역병원의 간호인력 수급에 문제를 주고 있으며, 지역의료 불균형에 영향을 주고 있다. 더불어 모든 병원 내 간호사의 절대적인 수가 부족한 상황이다. 현재 상급종합병원을 기준으로 간호사 1인당 담당하는 환자 수는 16명이며 종합병원은 1인당 43.6명의 환자를 담당하고 있다. 이는 OECD 기준의 약 7배 많은 수준이다.""
2.2. 열악한 근무환경
열악한 근무환경은 간호사의 이직률 증가와 직결되는 문제이다. 병원에서 간호사들은 장시간 근무, 과중한 업무량, 불규칙한 근무 패턴 등으로 인해 육체적 - 정신적 소진을 겪고 있다. 이는 간호의 질 저하와 환자안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리나라 상급종합병원의 경우 간호사 1인당 담당하는 환자 수가 16명에 달하며, 종합병원은 43.6명으로 OECD 기준의 7배에 달한다. 이는 간호사들에게 과도한 업무 부담을 주어 열악...
참고 자료
보건복지부. (2018). 간호사 근무환경 및 처우 개선대책
염영희 등. (2023). 학습성과기반 간호관리학 개정8판. 수문사
간호사 타임즈. (2020, 1월 2일). [사설]의사와 간호사 간 임금 격차 너무 지나치다.
보건사회연구원. (2020). 보건의료인력 종합계획 및 중장기 수급추계연구.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2024, 2월 8일). 2025학년도 간호대학 입학정원 전년도 대비 1,000명 증원 보도참고자료
김광점. (2012). 병원 내 간호사 인적자원관리시스템: 과제와 연구방향. 보건의료산업학회지, 6(1), 247-258
김주연. (2023, 2월 24일). “간협 내 회원 의견 전달 과정 전무, 직선제 도입하라”. 청년의사.
행동하는 간호사회. (2022, 7월 4일). [환자안전과 간호인력기준 법제화를 위한 시민행동] 환자안전과 간호인력기준 법제화를 위한 시민행동 출범 기자회견
전문희. (2023). 중소병원 인적자원관리 시스템 구축 [박사학위 논문, 가천대학교 대학원]. 인천
서문경애 외(2018), 「간호관리학」, 현문사.
http://guro.kumc.or.kr/introduction/status.do- 고대구로병원 홈페이지
유미(2007), 인적자원관리 상황에 대한 간호 관리자의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간호행정학회지 Vol.13 No.1, p.82-97, March, 2007
한성숙(2006), 간호와 경영, 군자출판사, Part Ⅳ 간호인적 자원관리, 제 5장 간호인적자원의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