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방문건강관리사업과 관련된 겨울철 노인 건강관리에 대한 보건교육계획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자료수집 개요
1.2. 자료분석 필요성
2. 자료수집
2.1. 지리적 영역
2.2. 인구학적 특성
2.3. 건강수준
2.4. 환경 특성
2.5. 지역사회 자원
3. 자료분석
3.1. SWOT 분석
3.2. 전략 탐색
4. 우선순위 설정
5. 목표설정
5.1. 인과관계 목표설정
5.2. 목표달성을 위한 시간별 목표설정
5.3. 투입-산출-결과 모형 목표설정
6. 전략 및 세부계획 수립
6.1. 보건사업의 전략 수립
6.2. 실행계획 수립
6.3. 평가계획 수립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자료수집 개요
자료수집 개요는 다음과 같다.
남양주시는 경기도의 동북부에 자리하며, 수도 서울에서 동(東)으로 26㎞ 지점, 경기도청 소재지인 수원에서 동북방으로 65㎞ 지점에 위치한 사통팔달의 교통 요충지이다. 남양주시의 면적은 458.1㎢로 경기도 전체면적 10,185㎢의 4.5%를 차지하며, 남양주시 지역은 대륙성 기후의 영향으로 겨울철에는 한랭 건조하고 여름철은 고온다습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교통의 요충지로서 서울과 인접하여 시민의 다양한 서비스 요구도가 높은 편이며, 근교 시설채소의 주생산지로 알려져 있다.
남양주시의 인구는 709,307명으로 인구밀도는 1,548/km²이며, 2013년 이후 인구 증가율은 지속적으로 완만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0~14세의 인구 비율은 점차 감소하는 추세인 반면,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비율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유소년 부양비는 매년 감소하고 있는 반면 노년부양비는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남양주시의 건강수준을 살펴보면, 조출생률이 2013년부터 감소하는 추세이며 조사망률에는 큰 변화가 없어 자연증가율은 점차 감소하고 있다. 인구 10만 명당 사망률은 매년 감소하는 추세이며, 사망원인으로는 신생물(암), 심장질환, 폐렴, 뇌혈관질환, 고의적 자해(자살)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양주시의 주요 건강지표들은 경기도 평균에 비해 전반적으로 양호한 편이나, 일부 지표에서는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자료수집 결과를 바탕으로 남양주시의 지리적, 인구학적, 건강수준 및 환경특성, 그리고 지역사회 자원 등에 대한 전반적인 현황을 파악할 수 있었다.
1.2. 자료분석 필요성
자료분석의 필요성은 지역사회 건강문제를 파악하고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효과적인 보건사업을 기획하기 위함이다. 자료분석을 통해 지역의 지리적 특성, 인구학적 특성, 건강수준, 환경 특성, 지역사회 자원 등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SWOT 분석을 실시하여 지역의 강점, 약점, 기회, 위협 요인을 파악할 수 있으며, 전략 탐색을 통해 지역사회 건강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또한 우선순위 설정 과정을 거쳐 지역사회의 주요 건강문제를 선별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할 수 있다.
나아가 보건사업의 전략, 실행계획, 평가계획을 수립함으로써 지역주민의 건강증진을 위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보건사업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자료분석은 지역사회의 건강문제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효과적인 보건사업을 기획하는 데 필수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2. 자료수집
2.1. 지리적 영역
남양주시의 지리적 영역은 경기도의 동북부에 자리하며 수도 서울에서 동(東)으로 26㎞ 지점에, 그리고 도청 소재지인 수원에서 동북방으로 65㎞ 지점에 위치한 사통팔달의 교통 요충지이다. 남양주시의 면적은 458.1㎢로 경기도 전체면적 10,185㎢의 4.5%를 차지한다.
남양주시 지역은 대륙성 기후의 영향으로 겨울철에는 한랭 건조하고 여름철은 고온다습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서울과 인접하여 시민의 다양한 서비스 요구도가 높은 편이며, 교통의 요충지로서 근교 시설채소의 주생산지 역할을 하고 있다.
2.2. 인구학적 특성
인구학적 특성은 남양주시의 인구 구조와 변화 추이를 나타내는 것이다. 남양주시의 총인구수는 709,307명으로 인구밀도는 1,548/km²이다. 2013년 이후 지속적으로 완만한 인구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연령별로는 0~14세의 인구 비율이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나,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유소년 부양비는 매년 감소하고 있는 반면 노년부양비는 증가하고 있다. 이는 저출산으로 인한 노년층의 증가와 생산연령층의 감소가 진행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남양주시에서는 노인 및 소외계층 등 건강형평성 취약계층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3. 건강수준
남양주시의 전체적인 건강수준은 경기도 평균에 비해 양호한 편이다. 조출생률은 2013년부터 감소하는 추세이며 조사망률에는 큰 변화가 없어 자연증가율은 점차 감소하고 있다. 남양주시의 인구 10만 명당 사망률은 매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주요 사망원인은 신생물(암)...
참고 자료
나룻배- 광진노인종합복지관 https://youtu.be/g31gMjMhtpg
노인건강체조 앉아서 https://www.youtube.com/watch?v=XDHUSVsDMrU
[서울노인복지센터] 찔레꽃 체조 https://youtu.be/4zDk16TJUnk
안양희 외 7명 공저. 「보건교육학」. 메디컬사이언스. 2018.
남양주시, 제 8기 지역보건의료계획(2023~2026), 2023.01
• 남양주시 보건소, www.nyj.go.kr›health
장성옥, 이영휘, 공은숙, 김춘길, 김희경, 조명옥 and 채경숙. (2020).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치매선별검사 수행 영향요인. 성인간호학회지, 32(2), 134-144.
보건복지부,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치매센터, 국가치매정책동향 2022
경기도 광역치매센터, https://gyeonggi.nid.or.kr/information/status_dem/list.aspx
네덜란드 치매케어 정책 동향_국가치매전략 2021-2030을 중심으로, 국민건강보험공단, 2023
제7기(2019_2022년) 남양주시 지역보건의료계획
지역사회보건학(2022) 현문사, 안옥희 외
김진수, 신영석, 황도경, 김경하. (2011) 보건의료분야 인센티브제도 도입방안.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혜경. (2010). 건강행동 변화를 위한 보건 커뮤니케이션 전략 개발: 금연을 위한 생태학적 접근전략의 적용.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최슬기 외. (2021) 건강인센티브제도가 지역주민의 건강생활실천 제고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경기도공공보건의료지원단 (2022), 인구구조와 지역으로 보는 경기도 건강
경기도공공보건의료지원단(2022), 경기도 공공보건의료 모니터링을 위한 시군구 통계집
경기도공공보건의료지원단(2022), 지표뱅크 홈페이지 이용자 매뉴얼
경기도공공보건의료지원단(2021), 보건의료지표로 알아보는 경기도의 보건정책환경 변화
국립중앙의료원 헬스맵(2020), 지역별 의료이용 유출입
국민건강보험공단(2017)
지역별 의료 이용 통계(2017)
통계청, 사망원인통계(2017)
보건복지부(2019). 보건복지백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