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사회복지에서 보편주의와 선별주의
1.1. 보편주의
사회복지에서 말하는 보편주의란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복지를 평등하게 제공하겠다는 의미가 있다. 따라서 성별, 나이, 학력 등 개인이 가지고 있는 모든 조건과 관계없이 동등하게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국민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고 사회통합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편주의는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복지를 평등하게 제공하기 때문에 국가에 큰 재정적 부담이 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지만, 대상자 선정에 따른 시간과 비용이 들지 않고 낙인효과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국민의 복지 수준을 높이고 사회통합에 기여할 수 있다.
1.2. 선별주의
사회복지에서 말하는 선별주의란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복지를 제공하지 않고 선별적으로 선정하여 조건에 충족하는 대상에게만 복지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선별주의는 선별적으로 대상을 선정해야 하므로 대상을 선정하기 위한 대상자의 정보와 전수조사가 필요하다. 따라서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어간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그리고 선별적으로 선정되었다는 점으로 인해 소외계층이라는 낙인이 찍힐 수 있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하지만 선별주의 복지체계는 소득의 재분배를 통하여 사회통합 효과를 이루어 낼 수 있으며 불필요한 복지의 지출을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2. 노인의 심리적 특성
2.1. 노인의 정의
노인이란 인생의 최종 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