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말라리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말라리아의 정의와 개요
1.1. 말라리아의 정의
1.2. 말라리아의 원인 및 감염경로
1.3. 말라리아의 유행지역
1.4. 우리나라의 말라리아 현황
2. 말라리아의 진단 및 증상
2.1. 말라리아의 잠복기 및 임상증상
2.2. 말라리아의 진단방법
2.3. 말라리아의 경과 및 합병증
3. 말라리아의 치료
3.1. 국내 삼일열 말라리아의 치료
3.2. 해외유입 말라리아의 치료
4. 말라리아의 예방
4.1. 개인적 예방 방법
4.2. 사회적 예방 활동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말라리아의 정의와 개요
1.1. 말라리아의 정의
말라리아는 Plasmodium(플라스모디움) 속에 속하는 기생원충이 적혈구와 간세포 내에 존재함으로써 일어나는 급성 열성 감염증이다.""
1.2. 말라리아의 원인 및 감염경로
말라리아의 원인은 플라스모디움(Plasmodium) 속에 속하는 열대열 원충(Plasmodium falciparum), 삼일열 원충(Plasmodium vivax), 난형열 원충(Plasmodium ovale), 사일열 원충(Plasmodium malariae), 원숭이열 원충(Plasmodium knowlesi)이다. 이 단세포 유핵 생물이 말라리아를 일으키는 주된 병원체이다.
말라리아는 암컷 얼룩날개모기(Anopheles species)가 매개한다. 이 모기가 병원체인 말라리아 원충을 운반하여 인간에게 전파시킨다. 모기가 감염된 사람을 물면 포자소체(sporozoite) 형태의 원충이 모기의 타액선을 통해 사람의 혈액 속으로 들어간다. 이 원충들은 간세포로 들어가서 성장하고 분열하여 수만 개의 분열소체(merozoite)를 생성한다. 이후 분열소체가 적혈구로 파고들어 증식하면서 적혈구를 파괴하고, 다시 새로운 적혈구를 감염시킨다. 이러한 순환이 반복되면서 질병이 진행된다.
또한 말라리아 원충은 혈액 내 적혈구에 기생하기 때문에 수혈, 장기이식, 오염된 주사 바늘 등의 경로로도 전파될 수 있다. 드물게는 모성에서 태아로 전달되는 선천성 감염도 있다. 그러나 사람 간 직접 전파는 되지 않고 성 접촉으로도 전염되지 않는다.
1.3. 말라리아의 유행지역
전 세계적으로 97개국 약 33억 인구가 말라리아 위험에 놓여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말라리아 발생이 가장 많은 지역은 아프리카로 말라리아 사망의 90%가 해당 지역에서 발생한다. 특히 아프리카와 인도의 도시 중심지역에서도 말라리아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남아메리카와 아시아, 지중해 연안지역 또한 말라리아 유행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주요 도시지역은 말라리아로부터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볼 수 있다. 감염의 위험은 계절에 따라 다양한데, 우기의 끝 무렵에 가장 위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도 1,500m 이상의 지역은 말라리아의 위험성이 적지만, 기후 조건이 좋은 상태에서는 거의 3,000m 이상의 고산지대에서도 발병이 가능하다. 특히 필리핀, 태국, 캄보디아, 중국, 인도네시아, 아프리카 지역의 숲이나 풀이 우거진 곳과 같은 지역이 말라리아 예방 권고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1.4. 우리나라의 말라리아 현황
우리나라에서 말라리아는 1970년대 후반 퇴치되었다가 1993년 DMZ 인접 지역에서 복무 중이던 군인에서 다시 발생하였다. 그 영향으로 1998~2000년에는 연간 약 4천명의 환자가 발생하며 정점을 보였으나 이후 현재 연 500명 이하로 발생...
참고 자료
질병관리본부-2022년도 말라리아 관리지침 https://www.kdca.go.kr/board/board.es?mid=a20507020000&bid=0019&act=view&list_no=719416#
네이버 지식백과-말라리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6590&cid=51007&categoryId=51007
김영권 외 13명. 소독 및 전염병학. 청구문화사. 2010.
박지영 외. 소독과 감염병학. 정담미디어 (주)학지사. 2012.
송미라 외 5명. 소독 및 전염병학. 광문각. 2012.
[네이버 지식백과] ‘세계 말라리아의 날’.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40310&cid=43667&categoryId=43667
[네이버 지식백과] 말라리아 [malaria]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6590&mobile&cid=51007&categoryId=51007
말라리아 진단키트 이미지. http://blog.naver.com/auraeun/220511329882
“말라리아도 백신 나왔다... 케냐•가나•말라위에 내년 보급”, KBS 뉴스, 2017.04.25. http://mn.kbs.co.kr/mobile/news/view.do?ncd=3469914&dable=30.1.6
“인천시, 말라리아 퇴치 종합방역 대책 추진”, 서울신문, 2017.04.04. http://www.ilyoseoul.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9348
질병관리본부. http://cdc.go.kr/CDC/main.jsp
WHO. World Malaria Day. http://www.who.int/campaigns/malaria-day/2014/event/en/).
전염병 관리 권승혁 / 동명사 / 1989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 서울대학교병원
임상 기생충학 / 채종일, 홍성종, 서민, 한은택, 이순형, 2011. 1. 25./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