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황제내경의 전승 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의학의 개념과 역사
1.1. 의학의 정의
1.2. 서양의학의 발전사
1.2.1. 원시의료
1.2.2. 고대의학
1.2.3. 중세의학
1.2.4. 근대의학
1.2.5. 현대의학
1.3. 동양의학의 발전사
1.3.1. 동양의학의 개념
1.3.2. 각 나라별 동양의학의 역사
1.3.2.1. 한국
1.3.2.2. 중국
1.3.2.3. 인도
1.3.2.4. 일본
1.4. 서양의학과 동양의학의 비교
1.4.1. 서양의학의 우수한 점
1.4.2. 동양의학의 우수한 점
1.4.3. 동서양 의학의 차이
1.4.4. 동서양 의학의 공통점
1.5. 의학의 미래에 관한 전망
1.5.1. 보완대체의학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의학의 개념과 역사
1.1. 의학의 정의
의학은 인류의 역사와 더불어 경험의료로서 존재해 왔으며, 일반과학이 진보함에 따라서 독자성을 지닌 과학으로 발전하여 인체에 관한 연구와 질병의 예방 및 치료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의학에 대한 개념은 점차로 변화하여 현대에 있어서는 인간을 생리적·심리적·사회적으로 적극성을 띠게 만들고, 될 수 있는 한 쾌적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연구를 하는 학문으로 해석되고 있다. 다시 말하면, 기능적·사회적 개념에서 의학이 정의되고 있다.
1.2. 서양의학의 발전사
1.2.1. 원시의료
원시의료는 종교, 의학, 마법이 구분할 수 없게 섞여 있었다. 족장, 지도자, 학자, 무당, 마법사 등을 겸하였던 당시 의사들은 신 내림 상태, 뼈 던지기, 수정구 응시 등의 미신적 방법을 이용하여 질병을 진단하였다.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얼굴에 색칠이나 마스크를 하고 춤을 춘다거나, 제사를 지내고 최초의 제사음식을 같이 먹는다든가, 마법을 마법으로 막는 방법, 즉 나쁜 것을 막거나 행운을 부르는 부적들을 사용하였다. 원시의료에서는 일반적으로 주술적이며 비과학적인 치료를 시행하였지만 원시사회에서 경험적으로 전해 내려온 약초 중에는 현대에 와서도 효과적으로 쓰이는 예도 있으며, 이러한 예로는 토제로 쓰이는 에메틴이나 국소마취제인 코카인, 혈압강하제인 레절핀 등이 있다. 또한, 종교적 이유로 위생, 청결을 강조했지만, 이런 위생개선만으로도 여러 가지 병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이었을 것이라 추측된다.
1.2.2. 고대의학
고대의학은 메소포타미아 의학, 이집트 의학, 그리스 의학, 로마 의학으로 구분할 수 있다.
메소포타미아 의학은 가장 오래된 의학으로 알려져 있으며, B.C.5000~B.C.4000년경에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메소포타미아 의학은 점성설을 바탕으로 질병의 진단이나 예후를 별의 운행과 관련 지었다. 이는 신비의학의 범주를 벗어나지는 못했지만, 어느 정도 합리적인 면모를 지니고 있었다.
이집트 의학은 메소포타미아 의학보다 늦게 시작되었지만 오랫동안 계속되었다. 이집트 의학은 액체병리학설을 바탕으로 질병을 설명하였다. 즉, 사람의 건강과 질병은 체액과 관계가 있으며, 체액이 불순하면 질병이 발생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이집트 의사들은 토제나 하제를 사용하여 불순한 체액을 배출시키는 것을 질병 치료의 원칙으로 삼았다. 또한 외과, 안과, 산부인과 분야에서 상당한 지식을 보유하고 있었다.
그리스 의학은 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 의학의 영향을 받아 발전하였다. 그리스 의학의 대표적인 인물로는 아스클레피오스와 히포크라테스를 들 수 있다. 아스클레피오스는 의학의 신으로 여겨졌으며, 그의 신전에서는 환자들이 치료를 받았다. 히포크라테스는 서양 의학의 아버지로 불리는데, 그는 질병을 신의 저주나 주술적인 것이 아닌 자연적인 것으로 보았다. 그는 체액설을 주장하여 건강은 체액의 조화에 달려있다고 보았다. 또한 그는 질병의 관찰을 강조하였지만, 병의 원인에 대한 이론보다는 치료에 중점을 두었다.
로마 의학은 그리스 의학의 영향을 받아 발전하였다. 로마 의학을 대표하는 인물로는 아스클레피아데스와 갈렌을 들 수 있다. 아스클레피아데스는 체액설을 반대하고 원자론적 병인론을 주장하였다. 갈렌은 해부학자이자 생리학자로서 의학을 과학으로 발전시킨 인물이다. 그는 히포크라테스의 체액설을 받아들이면서도 다른 이론들을 절충하는 절충학파였다. 그는 실험을 통해 신경, 혈액순환 등 인체의 기능을 밝혀냈다.
이와 같이 고대의학은 경험의료로서 점차 발전하였으며, 특히 그리스와 로마에서 체계적인 의학 이론이 정립되었다. 이후 중세를 거쳐 근대의학이 발전하게 되었다.
1.2.3. 중세의학
중세의학은 비잔틴 의학, 아라비아 의학, 서유럽 의학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비잔틴 의학은 알렉산드리아를 중심으로 7세기 중반까지 지속되었지만, 그리스 의학을 벗어나지 못하였다. 아라비아 의학은 7세기 후반 사라센 문화를 구축한 아라비아인에 의해 시작되었다. 아라비아 의학을 대표하는 인물로는 라제스와 이븐 시나가 있으며, 아라비아 의학 역시 그리스 의학을 벗어나지 못하였다.
서유럽 의학은 라틴 의학이라고도 불리며, 서유럽 여러 나라 사이에서 그리스도교 전도와 함께 퍼졌다. 이를 수도원 의학이라고도 하며, 수도사가 고의서의 등사번역을 하고 환자의 진료까지 하였다. 이러한 경향이 있던 중세 말기에 이탈리아 살레르노에 의학교가 설립되어 수도사로부터 민간 의학자로 의학을 넘기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중세의 외과학과 해부학 분야에서는 진전이 있었다. 프랑스의 A.파레에 의해 외과가 큰 진보를 이루었으며, 스위스 태생의 파라셀수스는 자연 관찰과 실험에 기반을 두는 의학적 방향을 주장하였고, 화학요법의 시조로 불리기도 한다. 한편 해부학 분야에서는 몬디노, A.베살리우스, 유스타키우스, 팔로피우스 등이 두드러진 업적을 남겼다. 특히 베살리우스는 '근대 해부학의 아버지'로 불리며, 근대적 의학의 출발점이 되었다. 또한 영국의 W.하비는 혈액순환설을 발견하여 현대 생리학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1.2.4. 근대의학
근대의학은 16세기부터 19세기까지 크게 발전하였다. 먼저 해부학과 생리학에서 많은 진보가 이루어졌다. 브뤼셀 태생의 A.베살리우스(1514~1564)는 인체 해부에 기초한 새로운 해부학을 정립하였다. 그는 갈렌의 오류를 지적하고 직접 관찰한 해부 결과를 토대로 저술한 "인체구조론(De Humani Corporis Fabrica)"을 통해 근대 해부학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또한 유스타키우스, 팔로피우스, 파브리키우스 등의 해부학자들이 새로운 발견들을 이루어냈다.
이와 더불어 생리학 분야에서도 큰 발전이 있었다. 영국의 W.하비(1578~1657)는 실험과 관찰을 통해 혈액순환설을 발견하여 발표함으로써 생리학의 기초를 확립하였다. 하비의 혈액순환설은 현재까지도 수...
참고 자료
(증보)중국의학사, 서울, 일중사, 2001.
신편중국의학사, 대전, 주민출판사, 2004.
<내경의 역대 주석가와 주석서에 관한 연구(I)>, 조학준․윤창렬, 대전대학교 한의학 연구소 론문집 제7권 2호, 1999.
<왕빙에 대한 연구>, 김중한․홍원식, 경희한의대론문집, 1981.
<황제내경개론>, 용백견 저, 백정의․최일범공역, 논장출판사, 1990.
<동서의학과 동서 미술치료>, 전세일·김선현, 2009
<현대의학의 역사>, 제임스 르 파누 ,아침이슬, 2005
<의학의 역사>, 이재담, 위드, 2000
<한의학특강>, 박찬국, 집문당, 2000
<내 체질에 잘 걸리는 병, 잘 낫는 병>, 배철환, 국일 미디어, 2000
<(알면 재미있는)한의학 상식>, 김선호, 周珉出版社, 1999
<한의학은 부흥할 것인가>, 박계조, 학민사, 1997
<한의학이야기>, 최승훈, 푸른나무, 1997
<현대의학의 불편한 진실>, 김종수, 2008
<항암제로 살해당하다>, 후나세 슌스케, 중앙생활사, 2008
<한방의료기관의 진료체계와 철학적 배경에 대한 연구>, 이상용, 경희대학교 한의철학과 한의학전공, 2012
<동·서양의 질병관에 대한 고찰>, 김주신,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0
<일본 전통의학의 유파에 관한 연구>, 김재철, 동국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2007
<동양의학에서의 인간 이해> (한류 한국사랑 한국의 향기) |작성자 한사랑
http://blog.naver.com/eekky?Redirect=Log&logNo=10003111681
http://cafe.naver.com/sciencen.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61
http://www.healthis.org/~n_book/data/hp004000.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