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외국어 습득론의 개요
1.1. 대조분석가설의 등장
대조분석가설은 1950-1960년대에 성행했던 외국어 습득 이론으로, 언어의 표면적인 구조를 중시한 구조언어학과 행동을 자극과 반응의 관계로 설명한 행동주의를 근거로 하였다. 이 가설에 따르면 모국어와 외국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여 그 차이점을 언어 학습의 기반으로 삼았다. 즉, 모국어와 외국어 간의 상이성이 반드시 외국어 학습에 오류를 유발한다는 가정을 토대로 하였다. 그러나 이 가설은 언어의 창의성을 무시하고, 목표언어와 모국어 간의 차이가 반드시 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점을 증명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1.2. 크라센의 모니터 이론 5대 가설
크라센의 모니터 이론 5대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습득-학습 분리 가설(The Acquisition-Learning Distinction Hypothesis)은 언어를 '습득'하는 것과 '학습'하는 것은 다른 과정이라는 이론이다. 습득은 어린 아이가 모국어를 배우는 것과 같이 자연스럽게 언어를 배우는 무의식적 과정이며, 학습은 교실과 같은 인위적 환경에서 언어의 형식과 규칙을 의식적으로 공부하는 과정이다. 크라센은 외국어 학습에서 습득이 학습보다 훨씬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둘째, 모니터 가설(The Monitor Hypothesis)은 학습한 지식이 언어 산출 시 일종의 감시자(monitor) 역할을 한다는 이론이다. 학습자는 습득한 지식으로 문장을 만들고, 학습한 지식으로 그것이 맞는지 틀리는지를 점검하여 수정한다"".
셋째, 자연 순서 가설(The Natural Order Hypothesis)은 언어 규칙이 특정한 순서로 습득된다고 본다. 모든 언어에 대하여 언어 형태나 규칙에는 이미 자연적 순서가 정해져 있으며, 이 순서는 학습에 의해 바뀌지 않는다는 것이다"".
넷째, 입력 가설(The Input Hypothesis)은 언어습득이 이해 가능한 입력 상황에 노출됨으로써만 이루어진다는 이론이다. 여기서 '이해 가능한 입력'이란 학습자의 현재 언어 능력보다 한 단계 높은 수준('i+1')의 입력을 의미한다"".
다섯째, 정의적 필터 가설(The Affective Filter Hypothesis)은 학습자의 정서적 요인, 즉 동기, 자신감, 불안 등이 언어 습득에 영향을 준다는 이론이다. 이러한 정서적 요인이 낮을수록 언어 습득이 잘 이루어진다고 본다"".
2. 크라센의 5대 가설
2.1. 습득-학습 분리 가설
크라센의 습득-학습 분리 가설은 언어 습득 과정에서 '습득'과 '학습'을 구분하는 이론이다. 습득은 어린이가 모국어를 배울 때와 마찬가지로 학습자가 자연스럽게 대상언어가 쓰여 지는 환경에 노출됨으로써 언어를 배우게 되는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을 의미한다. 즉, 목표어와 의미 중심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무의식적 과정으로 자연스럽게 제1언어(모국어)를 흡수하는 과정과 유사하며, 이 과정에서 학습자의 연령은 상관없다. 반면 학습은 교실과 같은 인위적인 언어 학습 환경 속에서 의도적으로, 의식적인 노력에 의해 대상언어의 형식과 규칙을 공부함으로써 이루어는 과정으로, 학습자의 연령은 학습의 성취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전자가 언어의 의미 중심이라면 후자는 다분히 언어의 형식에 중점을 두고 언어 규칙 등을 배우는 과정에 해당한다. 크라센은 외국어 학습에서 습득이 학습보다 훨씬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습득된 언어는 자연스럽고 유창한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할뿐만 아니라 학습된 것은 결코 습득의 수준에 이를 수 없기 때문이다. 습득과 학습의 차이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습득은 내재적이고 무의식적이며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이루어지지만, 학습은 외현적이고 의식적이며 인위적인 상황에서 이루어진다. 또한 습득은 감정 문법을 사용하지만 학습은 규칙 문법을 사용한다. 그리고 습득은 의존적이지만 학습은 적성에 따라 달라진다. 이와 같이 크라센의 습득-학습 분리 가설은 외국어 학습에 있어 '습득'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볼 수 있다"이다.
2.2. 모니터 가설
모니터 가설은 "감시자 가설"이라고도 하는데, 학습한 지식이 언어를 생산하는 데 있어서 일종의 감시자(monitor) 역할을 한다는 이론이다. Monitor는 학습자가 의식적으로 자신의 발화를 교정하고 수정하는 하나의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즉, 학습자는 습득한(acquired knowledge) 지식으로 문장을 만들고, 학습한 지식(learnt knowledge)으로 그것이 맞는지 틀리는지를 생각해보고 수정(monitor)해서 발화한다.
예를 들어 모국어가 한국어인 사람이 영어로 말을 하려고 할 때 일단 한국어로(습득한 지식으로) 그 말을 만들어보고, 영어로(학습한 지식으로) 문장을 만들면서 자기가 아는 영어 문법과 비교 검증해 나가려고 한다. 이런 상황은 '말하기'보다는 '쓰기'에 더 적합하다고 할 수 있으며, 이 같은 모니터링이 일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