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컴퓨팅 사고력 기르기

미리보기 파일은 샘플 파일 입니다.
최초 생성일 2024.10.01
7,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컴퓨팅 사고력 기르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컴퓨팅 사고력 기르기
1.1. 문제 개발
1.1.1. 문제
1.1.2. 수학 분야를 선택한 이유
1.1.3. 문제의 개발 목적
1.2. 폴리아의 문제해결 4단계
1.2.1. 문제의 이해
1.2.2. 계획의 수립
1.2.2.1. 3가지 전략 선정 이유
1.2.2.2. 계획 수립
1.2.3. 계획의 실행
1.2.4. 문제 해결 과정의 재점검

2. 교통약자의 신호등 점등시간에 관한 문제 해결 방안 개발
2.1. 비 수학 분야를 선택한 목적
2.2. 문제의 이해
2.3. 계획의 수립
2.3.1. 예상과 확인
2.3.2. 순서리스트 작성
2.3.3. 가능성을 제거
2.3.4. 직접 추론 사용
2.3.5. 방정식을 세운다
2.3.6. 단순한 문제 해결 시도
2.3.7. 공식 사용
2.4. 계획의 실행
2.5. 문제해결 과정의 재점검

3. 컴퓨팅 사고력과 SW 교육
3.1. 컴퓨팅 사고력
3.1.1. 분해
3.1.2. 패턴 인식
3.1.3. 추상화
3.1.4. 알고리즘
3.2. 컴퓨팅 사고력 교육
3.2.1. 미국과 영국의 사례
3.2.2. 우리나라 초등학교 SW 교육의 과제
3.3. 컴퓨팅 사고력 수업 사례
3.3.1. 카훗(Kahoot)
3.3.2. 멘티닷컴(www.menti.com)
3.3.3. 스크래치
3.3.4. 햄스터 로봇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컴퓨팅 사고력 기르기
1.1. 문제 개발
1.1.1. 문제

상대방과 휴대폰 번호 뒤 4자리가 일치할 확률은 0.01%이다.

휴대폰 번호는 010-ABCD-EFGH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A, B, C, D, E, F, G, H에는 각각 0부터 9까지의 숫자가 올 수 있다. 따라서 휴대폰 번호의 경우의 수는 10^8=100,000,000개이다. 그중에서 뒤 4자리 EFGH가 일치하는 경우의 수는 10^4=10,000개이다. 이를 바탕으로 확률 공식을 적용하면 휴대폰 번호 뒤 4자리가 일치할 확률은 {10,000} / {100,000,000} = 0.01%이다.


1.1.2. 수학 분야를 선택한 이유

수학 분야를 선택한 이유는 폴리아의 문제해결 4단계를 적용하는 것에 있어서, 계산 과정을 통해 정확한 수치를 구하는 수학 분야의 문제가 더 용이할 것이라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문제에 대한 이해와 계획 수립, 계획의 실행, 문제 해결 과정의 재점검 등 폴리아의 4단계 방법론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수학 분야의 문제가 보다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하였다. 수학 문제의 경우 정확한 계산과 정량적인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기 때문에, 폴리아의 방법론을 더 잘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1.1.3. 문제의 개발 목적

문제의 개발 목적은 가지고 있던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서 문제를 개발하였다"이다. 일상생활 속에서 직접 접할 수 있는 것으로 문제를 만든다면 폴리아의 문제해결 4단계를 쉽게 이해하는 것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고, 마침 문제를 구상하는 도중에 모르는 사람에게서 전화가 걸려 왔었는데 내 휴대폰 번호와 뒤 4자리가 같아서 이런 경우에는 확률이 얼마나 될까 하는 궁금증을 가지게 되었다. 두 가지의 생각을 토대로 본 문제를 개발하였다.


1.2. 폴리아의 문제해결 4단계
1.2.1. 문제의 이해

휴대폰 번호는 010-ABCD-EFGH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A, B, C, D, E, F, G, H에는 각각 0부터 9까지의 숫자가 올 수 있다. 휴대폰 번호에서 010을 제외한 8자리 번호를 "-"를 기준으로 나눠서 앞자리 뒷자리라고 부른다. 따라서 문제에서는 8자리의 번호 ABCD-EFGH 중에서 뒤 4자리의 번호인 EFGH가 일치할 확률이 얼마인지 물어보고 있다. 다른 사람과 휴대폰 번호의 뒤 4자리가 같을 확률은 얼마인가?로 바꾸어 말할 수도 있다.


1.2.2. 계획의 수립
1.2.2.1. 3가지 전략 선정 이유

순서 리스트 작성 전략, 단순한 문제 해결 시도 전략, 공식 사용 전략을 선정하였다. 각각의 전략을 선정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순서 리스트 작성 전략은 확률을 구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경우의 수를 구하고 이를 통해 답을 구해야 하므로, 자료의 반복을 피하고 누락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선정하였다.

단순한 문제 해결 시도 전략은 휴대폰 번호 뒤 4자리가 일치할 확률을 구하기 위해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휴대폰 번호가 정확히 몇 개인지 알아야 정확한 확률을 구할 수 있는데 이를 알 수 없기 때문에, 값을 가정하여 풀고자 선정하였다.

공식 사용 전략은 문제의 목적이 확률을 구하는 것이기 때문에, 확률을 구하는 공식 및 경우의 수 공식을 사용하기 위해 선정하였다.


1.2.2.2. 계획 수립

순서리스트 작성(Make an orderly list) 전략에서는 휴대폰 번호의 모든 경우의 수를 구한 후, 뒤 4자리가 일치할 경우의 수를 파악하고 마지막으로 확률을 계산하는 순서로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를 통해 확률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단순한 문제 해결 시도(Solve a simpler problem) 전략에서는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휴대폰 번호의 개수를 알 수 없기 때문에 모든 번호가 사용되고 있다고 가정하여 계획을 수립하였다. 공식 사용(User a formula) 전략에서는 확률 계산을 위해 곱의 법칙과 확률 계산 공식을 활용하도록 계획하였다. 이처럼 각각의 전략을 선정한 이유에 따라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였다.


1.2.3. 계획의 실행

계획의 실행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계획의 실행 단계에서는 앞서 수립한 계획을 실제로 실행에 옮기는 단계이다. 첫 번째로는 휴대폰 번호의 모든 경우의 수를 구한다. 곱의 법칙을 이용하여 각 자리수에 0부터 9까지의 숫자가 들어갈 수 있는 경우의 수를 계산하면 휴대폰 번호의 총 경우의 수는 10^8=100,000,000이 된다.

두 번째로는 휴대폰 번호 뒤 4자리가 일치할 경우의 수를 구한다. 휴대폰 번호가 010-ABCD-EFGH라고 할 때, EFGH 부분만 일치하면 되므로 ABCD 부분만 달라지는 경우의 수인 10^4=10,000이 된다.

마지막으로 휴대폰 번호 뒤 4자리가 일치할 확률을 계산한다. 앞서 구한 경우의 수를 이용하여 확률 공식 P={a}/{n}을 적용하면, P={10,000}/{100,000,000}={1}/{10,000}=0.01%가 된다.

따라서 상대방과 휴대폰 번호 뒤 4자리가 일치할 확률은 0.01%라고 할 수 있다.""


1.2.4. 문제 해결 과정의 재점검

전략으로 공식 사용을 선정한 것은 효율적인 판단이었다"". 만일 다른 자리의 번호가 일치할 확률을 구하려고 한다면, 동일한 풀이 ...


참고 자료

무안신안뉴스(http://www.msonews.co.kr)
"26초만에 건너라니"…횡단보도에 갇혔다[남기자의 체헐리즘] - 머니투데이 (mt.co.kr) [이래도 되나요] 노인을 위한 횡단보도는 없다?…절반 건넜는데 벌써 빨간불 | 연합뉴스 (yna.co.kr)<접속일:2023.10.04.>
컴퓨테이셔널 저널리즘 > 사회과학 > 미디어백과 사이트 irobot
와이즈만 영재 교육 사이트 서울교육 봄
Google - Computational Thinking 민주연구원
최신 ICT 시사상식
NCIC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