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정신병 약물 치료
1.1. 항정신병 약물
1.1.1. 적응증
항정신병 약물은 조현병, 조현정동장애, 양극성 장애, 정신증적 우울증 등의 정신질환에 적응증이 있다.
조현병은 망상, 환각, 와해된 언어와 행동, 정동둔마, 무쾌감증 등의 양성증상과 무의욕, 무언어, 정서적 둔마 등의 음성증상으로 특징지어지는 정신질환이다. 항정신병 약물은 특히 조현병의 양성증상 치료에 효과적이다.
조현정동장애는 조현병과 양극성 장애의 증상이 혼합되어 나타나는 질환으로, 양성증상과 우울, 조증상 등이 함께 관찰된다. 이러한 다양한 증상들의 관리를 위해 항정신병 약물이 사용된다.
양극성 장애는 우울증과 조증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이다. 항정신병 약물은 주로 양극성 장애의 조증 증상을 관리하는 데 사용된다.
정신증적 우울증은 우울증세와 더불어 망상, 환각 등의 정신증적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를 의미하며, 이러한 정신증적 증상의 관리를 위해 항정신병 약물이 처방된다.
그 외에도 조현양상장애, 단기 정신병적 장애 등 다양한 정신질환에서 항정신병 약물이 활용되고 있다.
1.1.2. 작용기전 및 효과
항정신병 약물은 도파민 수용체를 차단함으로써 양성 증상 조절에 효과적이다. 정형 항정신병 약물은 특정 유형의 도파민 수용체(D2)를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작용하는 반면,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은 도파민 수용체뿐만 아니라 세로토닌 수용체도 동시에 차단한다.
이로 인해 정형 약물에 비해 비정형 약물은 추체외로 부작용이 적고 음성 증상 개선 효과도 크다. 정형 약물의 도파민 수용체 차단은 양성 증상 개선에 효과적이지만 중뇌 변연계의 과도한 도파민 차단으로 인해 추체외로 부작용이 야기된다. 반면 비정형 약물은 세로토닌 수용체 차단으로 인해 도파민 차단을 보완하여 추체외로 부작용을 감소시킨다.
또한 비정형 약물은 도파민과 세로토닌 수용체의 동시 차단으로 인해 양성 증상뿐만 아니라 음성 증상 개선에도 효과적이다. 음성 증상은 보통 전두엽과 측두엽의 기능 장애와 관련되어 있는데, 이 부위의 세로토닌 수용체 차단이 음성 증상 개선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1.3. 부작용
항정신병 약물의 주요 부작용으로는 첫째, 항콜린성 효과로 인한 변비, 발한 감소, 동공 확대, 구강 건조, 방광과 장의 둔화 등이 있으며, 협우각 녹내장과 전립선 비대 악화, 부정맥 유발을 일으킬 수 있다.
둘째, 항아드레날린성 효과로 인한 저혈압 발생으로 낙상의 위험이 있다.
셋째, 심혈관계 부작용으로 지프라지돈에서 QTC 간격 연장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넷째, 추체외로 부작용으로 정좌불능, 운동불능/운동지연, 근긴장 이상, 약물 유발성 파킨슨증, 지연성 운동장애, 신경이완제 악성증후군(NMS), 피사 증후군 등이 나타날 수 있다. EPSE 유발을 방지하기 위해 약물 복용을 갑자기 중단하지 않고 처방된 대로 복용해야 한다.
다섯째, 내분비 부작용으로 정형 항정신병 약물에서 D2 수용체 차단으로 인해 프로락틴 수치가 상승하여 여성에서는 월경주기 변화, 무월경, 성욕 상실, 유즙분비증, 골다공증이, 남성에서는 발기부전, 성욕 상실, 여성화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여섯째, 대사증후군으로 클로자핀과 올란자핀 투여 시 인슐린 저항성과 포도당 대사 감소로 인해 복부둘레 증가, 트리글리세라이드 상승, HDL 감소, 고혈압, 당뇨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일곱째, 위장관계 영향으로 히스타민 H1, 5-HT2C 수용체 차단으로 인해 체중 증가가 발생한다.
그 외에도 황달, 혈액질환, 고열, 광과민성, 천명음, 기억상실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특히 클로자핀 투여 시 무과립증이 발생할 수 있어 매주 WBC 수치 검사가 필요하다.
이처럼 항정신병 약물은 다양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간호사는 환자의 증상을 면밀히 사정하고 부작용 발생 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
1.1.4. 분류
항정신병 약물은 크게 정형 항정신병 약물(typical neuroleptics)과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atypical neuroleptics)로 분류된다.
정형 항정신병 약물은 도파민 D2 수용체에 대한 차단 효과가 강하며, 추체외로계 부작용(extrapyramidal side effects, EPS)이 많이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이 계열에는 페놀치아진계(phenothiazines), 부티로페논계(butyrophenones), 치옥산텐계(thioxanthenes) 등이 포함된다.
페놀치아진계에는 클로르프로마진(chlorpromazine), 플루페나진(fluphenazine), 트리플루오페라진(trifluoperazine) 등이 있다. 부티로페논계에는 할로페리돌(haloperidol), 드로페리돌(droperidol) 등이 포함되며, 치옥산텐계에는 플루펜티졸(flupentixol), 콜펜티졸(clopenthixol) 등이 속한다.
반면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은 도파민 D2 수용체 차단 효과가 상대적으로 적고, 세로토닌 5-HT2 수용체 차단 효과가 있어 추체외로 부작용이 적은 것이 특징이다. 이 계열에는 디벤조디아제핀계의 클로자핀(clozapine), 올란자핀(olanzapine)과 벤자마이드계의 술피리드(sulpiride), 리스페리돈(risperidone) 등이 포함된다.
최근에는 부분 도파민 효능제(partial dopamine agonist)인 아리피프라졸(aripiprazole)과 같은 새로운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도 개발되었다. 이러한 분류에 따라 정형 항정신병 약물과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은 작용기전, 효과, 부작용 양상이 다르다.
1.2. 항우울제
1.2.1. 삼환계 항우울제
삼환계 항우울제는 퇴행과 초조를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