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로이 적응

미리보기 파일은 샘플 파일 입니다.
최초 생성일 2024.10.01
12,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로이 적응"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로이의 적응 이론
1.1. 이론가 소개
1.2. 이론발달의 배경
1.2.1. 이론적 배경
1.2.2. 철학적 배경
1.3. 적응이론 개요
1.3.1. 가정
1.3.2. 주요개념 정의
1.3.3. 명제
1.3.4. 적응체계로서의 인간
1.4. 간호적용
1.4.1. 교육
1.4.2. 연구
1.4.3. 실무
1.4.4. 행정
1.5. 문헌고찰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로이의 적응 이론
1.1. 이론가 소개

로이(Callista Roy)는 1939년 10월 14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엔젤레스에서 출생했다. 7남 7녀 중 둘째로 어머니가 간호사였으며 14살에 간호조무사로 시작하였다. 1963년 로스엔젤레스의 마운트 성 메리 대학(Mount Saint Mary's College)에서 간호학 학사학위를 받았다. 1964~1966년 대학원 재학시절 소아과 병동 간호사로 근무하면서 아동들이 육체적, 정신적 변화에 적응하는 능력에 주목하여 적응 모델의 기초적 개념을 개발했다. 1964년 행위모델 이론가인 Dorothy E. Johnson 교수가 대학원 강좌에서 간호의 개념모델을 촉구한 것이 계기가 되어 간호를 위한 개념 틀 개발에 도전하게 되었다. 심리, 생리학자인 Helson의 연구가 모델의 토대가 되었다. 1966년에는 UCLA에서 아동과 모성 간호학 석사학위를 취득했으며 뇌 척수염으로 한동안 학업을 진행하지 못했었다. 1968년에 마운트 성 메리대학이 간호교과과정의 철학적 기초로 적응 이론들을 채택하면서 자신의 모델을 발전시키기 시작했으며 1970년에 Nursing Outlook에서 " Adaptation: A Conceptual framework for Nursing" 이라는 제목의 article이 출판되면서 처음 알려졌다. 1971년 마운트 성 메리 대학에서 간호대학 학장을 역임하고 1973년 사회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1976년에는 " Introduction to Nursing: An Adaptation Model"초판이 발행되었으며 1977년 UCLA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간호교육과 실무,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치며 간호이론 발전에 기여했다.


1.2. 이론발달의 배경
1.2.1. 이론적 배경

로이의 적응이론은 체계이론과 헬슨의 적응이론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고 있다.

체계이론은 1960년대에 생물학자 루드비히 폰 버틀란피(Ludwig von Bertalanffy)가 개발한 이론으로, 모든 체계는 상호의존적인 부분들의 집합체이며 전체가 부분의 단순한 합 이상이라는 개념을 제시하였다. 이는 인간을 폐쇄적인 체계가 아닌 개방적이고 상호작용하는 체계로 보는 관점을 형성하였다.

또한 생리학자 해리 헬슨(Harry Helson)은 적응이론을 통해 개인이 환경 변화에 긍정적으로 반응하는 과정으로 적응을 정의하였다. 그는 자극을 초점자극, 상황관련자극, 잔여자극으로 구분하였는데, 로이는 이 개념을 간호학적 관점에서 재정의하여 인간의 적응수준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활용하였다.

즉, 로이의 적응이론은 인간을 변화하는 환경과 끊임없이 상호작용하며 자극에 적응하려는 개방체계로 보고, 헬슨의 적응 개념과 체계이론을 기반으로 간호학적 관점에서 재구성한 것이라 할 수 있다.


1.2.2. 철학적 배경

로이의 적응이론에는 인본주의와 진실성이라는 철학적 가정이 포함되어 있다.

첫째, 인본주의에 입각한 철학적 가정이다. 로이에 의하면 인본주의란 "앎과 가치가 중심이 되는 인간경험의 주관적 영역 및 인간을 존중하는 심리학과 철학의 광범위한 정신운동"이다. 로이의 인본주의의 신조에는 창조력, 목적성, 총체성, 주관성, 대인관계 등이 포함된다. 이를 바탕으로 한 인간에 대한 가정은 인간은 자기 고유의 창조력을 가지고 있으며, 원인과 결과의 순서로 행동하는 것이 아니라 목적을 가지고 능동적으로 행동한다는 것, 인간은 내부적인 총체성을 지니며 통합성을 유지하고 관계에 대한 욕구를 실현하려고 한다는 것이다.

둘째, 진실성에 입각한 철학적 가정이다. 로이는 세상에는 절대적 진리가 존재한다고 확신하였으며, 인간존재의 기본원리로서 진리는 "인간존재의 공통적 목적성을 확인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에 따른 철학적 가정은 인간은 존재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인류는 단일한 목적을 갖고, 인간은 공통된 목적달성을 위한 활동성과 창의성을 지니며, 인간의 삶은 가치가 있고 의미가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인본주의와 진실성에 입각한 철학적 가정은 로이 적응이론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1.3. 적응이론 개요
1.3.1. 가정

로이의 적응이론에서 "과학적 가정"에 해당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인간은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존재이다. 인간은 변화하는 환경과 끊임없이 상호작용한다. 인간은 변화하는 환경에 대처하기 위해 선천적으로 타고나거나 후천적으로 습득한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인 기전을 사용한다. 건강과 질병은 인간의 삶에 있어서 하나의 불가피한 영역이다. 인간은 환경의 변화에 긍정적으로 반응하기 위해 적응해야 한다. 적응은 인간에게 노출된 자극과 이에 대한 그 사람의 적응 수준에 의해 결정된다. 인간의 적응 수준은 긍정적인 반응을 유도하는 자극의 범위를 나타내는 자극 영역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자극이 그 영역 내에 있으면 긍정적으로 반응하나 밖에 있으면 부정적으로 반응한다. 인간에게는 생리적 욕구, 자아 개념, 역할 기능, 상호 의존의 네 가지 적응 양식이 있다."


1.3.2. 주요개념 정의

적응(Adaptation)은 인간과 환경의 통합과 인식 작용을 사용하는 개인이나 집단의 감정과 사고와 관련된 과정과 결과이다.

적응수준(Adaptation level)은 통합, 보상, 손상으로 설명되는 삶의 과정으로, 3가지 적응수준이 있다.

적응적 반응(Adaptation responses)은 인간체계의 목표를 통합하고 증진시키는 반응이다.

인지기 하위체계(Cognator subsystem)는 개인의 인식과 정보처리과정, 학습, 판단 및 정서 등 4가지의 인지·정서경로가 관련된 중요한 대처과정이다.

보상과정(Compensatory process)은 삶의 통합과 도전에 의해 성취된 인지기와 조절기의 적응수준이다.

손상과정(Compromised process)은 부적절한 삶의 통합과 보상과정의 결과인 적응수준, 적응문제이다.

관련자극(Contextual stimuli)은 초점자극의 효과와 관련된 모든 다른 자극이다.

대처과정(Coping processes)은 변화하는 환경에 대한 선천적, 후천적 반응방법이다.

일관된 우주관(Cosmic unity)은 인간과 우주가 공통의 양상과 통합관계를 가진다는 원리로, 21세기에 대한 적응의 재정의에 기초를 둔 과학적, 철학적 가정이다.

환경(Environment)은 적응체계로서 인간행동과 발달에 미치는 모든 영향력과 상황, 상태와 결과이다.

초점자극(Focal stimuli)은 인간체계가 직접 직면하는 내·외적 자극이다.

간호목표(Goal of nursing)는 4가지 양식의 적응 및 증진이다.

건강(Health)은 총체성의 통합 또는 되어가는 과정과 상태이다.

인본주의(Humanism)는 앎과 가치가 중심이 되는 인간경험의 주관적 영역 및 인간을 존중하는 심리학과 철학의 광범위한 정신운동이다.

인간 적응체계(Human adaptive system)는 하나의 적응체계로서의 인간이 목적을 취한 통합된 기능을 하는 것이다.

비효과적 반응(Ineffective responses)은 인간체계의 목표통합과 관련되지 않는 반응이다.

혁신기 하위체계(Innovator subsystem)는 집단내의 인간의 성장과 변화를 위한 과정 및 구조와 관련된 내적 하위체계이다.

생의 통합과정(Integrated life process)은 인간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하나의 전체로서 작용하는 삶의 과정의 기능과 구조의 적응수준이다.

조절기 하위체계(Regulator subsystem)는 개인의 신경, 화학, 내분비 체계와 관련된 중요한 대처과정이다.

잔여자극(Residual stimuli)은 현 상황에서 불분명한 영향을 주는 인간체계의 내·외적 환경요인이다.

안정기 하위체계(Stabilizer subsystem)는 집단내의 참여자가 사회제도의 목적달성을 위한 확립된 구조, 가치, 일상 활동과 관련된 체계유지를 위한 하위체계이다.

자극(Stimulus)은 반응의 야기나 인간체계와 환경과의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지점이다.

체계(System)는 어떤 목적을 위한 각 부분들의 상호의존성과 효력의 하나가 전체로서 기능하는 연결된 일련의 부분들이다.

진실성(Veritivity)은 인간 실정의 공통 목적을 확립하는 인간의 본질적 원리이다.


1.3.3. 명제

'명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로이의 적응이론에서는 총 6가지의 명제가 제시되고 있다. 첫째, 개인이 받는 내적 및 외적 자극이 투입되면 이런 자극들은 인지기전(cognator)과 조절기전(regulator)이 기능하도록 촉구시키는 스트레스 상호작용을 유발한다는 것이다. 둘째, 만일 기전의 기능이 적응모드의 기본욕구와 그 적응모드 속에서 조절된다면, 개인의 행위는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기전기능의 표현이라는 것이다. 셋째, 만일 적응수준이 초점자극에 대한 대응능력의 지표라면 행위반응은 초점자극과 적응수준 사이의 반응정도에 따른다는 것이다. 넷째, 만일 적응이 과정으로서 일어난다면 인지기전과 조절기전이 기능하도록 촉구하는 스트레스 상호작용은 통합과 일반적 목표를 향상시키기 위한 행동반응으로 나타나야 한다는 것이다. 다섯째, 만일 적응이 결과로서 일어난다면 수행의 정도와 관련된 역동적 평형상태(a state of dynamic equilibrium)가 존재한다. 즉, 개인의 선점적 반응(predominant response)은 감소하고 보완적 반응의 (complementary response)은 증가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여섯째, 만일 적응적 과정이 일어나거나 바람직한 적응결과가 달성되면, 안녕은 건강-질병 연속선을 따라 증진된다는 것이다. 만일 대상자가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간호과정을 사용한다면 건강-질병 연속선을 다라 대상자의 적응이 향상하게 된다는 것이다.


1.3.4. 적응체계로서의 인간

인간은 변화하는 내·외적 환경과 끊임없이 상호작용하면서 전체로서 기능하는 개방적 적응체계 또는 생물심리사회적인 존재이다. 인간은 환경으로부터 끊임없이 자극을 받고 있으며, 이러한 자극에 대하여 내부의 대처기전을 활용하여 적응양상을 나타내고, 그 결과로써 반응을 나타낸다. 이 반응은 다시 자극의 형태로 투입원이 된다.

...


참고 자료

박형숙 외 (2018). 간호철학과 간호이론, 수문사, 461-470.
이소우 외(2017).제 3판 간호이론의 이해, 수문사

강현숙 외 역(2008). 간호이론가와 이론. 대학서림.
이경식 외 역(2001). 로이적응모형. 현문사.
이선옥, 김영임(2005). 간호이론. 한국방송대학교 출판부.
이소우 등(2000). 간호이론의 이해, 서울. 수문사.
장선옥(1994). Roy적응모델의 가족건강사정에의 적용가능성. 한국보건간호학회지, 8(2), 35-56.
조정호(1993). Roy의 적응모델에 의한 제왕절개술 산모의 간호진단 사례연구. 대한간호,32(3), 45-51.
김경옥, 조복희(2001) 뇌졸중 환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희망과의 관계 .재활간호학회지,4(1).62
Ruby l. Wesley 저, 김명애, 고성희 공역(1995). 간호이론, 현문사
Brower, H. T., & Baker, B. J. (1976). The Roy adaptation model. Using the adaptation model in a practitioner curriculum. Nursing outlook, 24(11), 686-689.
Brydolf, M., & Segesten, K. (1996). Living with ulcerative colitis: experiences of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3(1), 39-47.
Camooso, C., Greene, M., & Reilly, P. (1981). Students' adaptation according to Roy. Nursing outlook, 29(2), 108.
Cannon, W. B. (1930).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The Lancet.
Dickoff, J., James, P., & Wiedenbach, E. (1968). THEORY IN A PRACTICE DISCIPLINE: PART I. PRACTICE ORIENTED THEORY.
Dohrenwend, B. S., & Dohrenwend, B. P. (1969). Social Status And Psychological Disorder A Casual Inquiry. Nursing Reaserch, 17, 413-415.
Erickson, R. (1982). A model of adaptation to the thermal environment. Advances in Nursing Science, 4(4), 1-12.
Fawcett, J. (1989). Analysis and evaluation of conceptual models of nursing (2nd ed.). Philadelphia: Fa Davis.
Fawcett, J., Tulman, L., & PERRY SPEDDEN, J. A. N. E. (1994). Responses to vaginal birth after cesarean section.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 Neonatal Nursing, 23(3), 253-259.
Frank, D. I., & Lang, A. R. (1990). Disturbances in sexual role performance of chronic alcoholics : An analysis using Roy's adaptation model. Issuesin Mental Health Nursing, 11, 243-254.
Galligan, A. C. (1979). Using Roy's Concept of Adaptation to Care for Young Children. MCN: The American Journal of Maternal/Child Nursing, 4(1), 24-28.
Helson, H., Kahane, J. P., Katznelson, Y., & Rudin, W. (1959). The functions which operate on Fourier transforms. Acta Mathematica, 102(1-2), 135-157.
Helson, H. (1964). Adaptation-level theory: an experimental and systematic approach to behavior.
Hill, B. J. & Roberts, C.S. (1981). Formal theory construction: An example of the process. In C. Roberts & S.L. Roberts(Eds). Theory Construction in Nursing : An adaptation model.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Lazarus, R. S. (1966). Psychological stress and the coping process.
Mastal, M. F., & Hammond, H. (1980). Analysis and expansion of the Roy adaptation model: a contribution to holistic nursing. Advances in Nursing Science, 2(4), 71-82.
Mechanic, D. (1962). The concept of illness behavior. Journal of chronic diseases, 15(2), 189-194.
Meleis, A. I. (1985). Theoretical Nursing: development and progress. AJN Th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85(12), 1350.
Mitchell, G. J., & Pilkington, B. (1990). Theoretical approaches in nursing practice: A comparison of Roy and Parse. Nursing Science Quarterly, 3(2), 81-87.
Phillips, K. D., Moneyham, L., & Tavakoli, A. (2011).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internalized stigma in those with HIV/AIDS. Issues in mental health nursing, 32(6), 359-366.
Pollock, S. E. (1993). Adaptation to chronic illness: A program of research for testing nursing theory. Nursing Science Quarterly, 6(2), 86-92.
Roy, C. (1970). Adaptation: a conceptual framework for nursing. Nursing Outlook, 18(3), 42-45.
Roy, C. (1971). Adaptation: basis for nursing practice. Nursing outlook, 19(4), 254-257.
Roy, C. (1973). Adaptation: Implications for curriculum change. Nursing outlook, 21(3), 163-168.
Roy, C. (1976). Introduction to nursing: An adaptation model. Prentice Hall.
Roy, C. (1979). Relating nuring theory to nursing education: A new era. Nurse Educator, 4, 16-21.
Roy, C. (1984). Introduction to Nursing: An Adaptation Model (2nd Eds). Englewood Cliffs N.J. : Prentice hall.
Roy, S. C. (1988). An explication of the philosophical assumptions of the Roy Adaptation Model. Nursing science quarterly, 1(1), 26-34.
Roy, C. (1989). The Roy adaptation model. In J. Rihel-Sisca(3rd Eds) Conceptual models for nursing practice. Norwalk Appleton & Langep, 105-148.
Roy, C. (1991). The Roy adaptation model: The definitive statement. McGraw-Hill/Appleton & Lange.
Roy, C. (1997). Future of the Roy model: Challenge to redefine adaptation. Nursing Science Quarterly, 10(1), 42-48.
Roy, S. C., & Andrews, H. A. (1991). The Roy Adaptation Model: The Definitive Statemente. Appleton & Lange.
Roy, C., & Anway, J. (1989). Roy's adaptation model: Theories for nursing administration. B. Henry, C. Amdt, M. DiV'1ncenti, & A Marriner-Tomey (Eds.), Dimension of nursing administration: theogg, researcl_1., education, practice, 75-88.
Roy, S. C., & Corliss, C. P. (1993). The Roy Adaptation Model: theoretical update and knowledge for practice. NLN publications, (15-2548), 215.
Roy, C., & McLeod, D. (1981). Theory of the person as an adaptive system. Theory construction in nursing: An adaptation model, 49-69.
Roy, C., & Roberts, S. L. (1981). Theory Construction in Nursing An Adaptation Model. Englewood cliffs N.J.: Prantice-hall.
Schmitz, M. (1980). The Roy adaptation model: Application in a community setting. Conceptual models for nursing practice, 193-206.
Selye, H. (1946). The general adaptation syndrome and the diseases of adaptation 1.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6(2), 117-230.
Silva, M. C. (1987). Needs of spouses of surgical patients: A conceptualization within the Roy Adaptation Model. Scholarly inquiry for nursing practice, 1(1), 29-44.
Starr, S. L. (1980). Adaptation applied to the dying client. Conceptual models for nursing practice, 189-192.
Tulman, L., & Fawcett, J. (1988). Return of functional ability after childbirth. Nursing Research, 37(2), 77-81.
Tulman, L., Fawcett, J., & McEvoy, M. D. (1991). Development of the inventory of functional status-cancer. Cancer Nursing, 14(5), 254-260.
Von Bertalanffy, L. (1968). General system theory. New York, 41973(1968), 40.
Wagner, P. (1976). The Roy adaptation model. Testing the adaptation model in practice. Nursing outlook, 24(11), 682-685.
Weiss, M. E., & Teplick, F. (1993). Linking perinatal standards, documentation, and quality monitoring. The Journal of perinatal & neonatal nursing, 7(2), 18-27.
Wright, P. S. (1993). Parents' perceptions of their quality of life. Journal of Pediatric Oncology Nursing, 10(4), 139-145.
Zhan, L., & Shen, C. (1994).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self‐consistenc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3), 509-516.
Martha Raile Alligood, PhD, RN, ANFF. (2014) Nursing Theorist and their Work edition 8. Elsevier Health Sciences. 304.
Hammer, J. B. (1989). Applying the Roy adaptation model to the CCU. Critical Care Nurse, 9(3), 51-52.
Lutjens, L. R. J. (1991). Callista Roy: an adaptation model (Vol. 3). SAGE Publications, Incorporated.
김미예(2006). 이론: 로이 적응모형. 간호학탐구, 14(2), 49-69.
김선희(2009). 모유수유 적응 측정 도구 개발. J Korean Acad Nurs, 39(2), 259-269.
김선희(2010). 어머니의 모유수유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J Korean Acad Nurs, 40(2), 225-235.
김영구(2001). 미혼모의 임신, 분만, 산후건강에 대한 간호요구: Roy적응이론을 근거하 여. 한림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인자(1997).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적응 예측 모형 : Roy와 Lazarus & Folkman 이 론의 명제 합성. 서울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희경(1999). 불임 여성의 적응 예측 모형. 고려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노춘희(1997). 정신간호사정도구 개발 - 적응모형에 근거한. 정신간호학회지, 6(1), 44-58.
박광희(2008). 대학생 우울에 관한 예측모형 구축. 대한간호학회지, 38(6), 779-788.
서문자(1988). 편마비 환자의 퇴원후 적응상태와 관련요인에 대한 분석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송지은, 소향숙(2015). 다층모형을 적용한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삶의질 변화 영향요인. J Korean Acad Nurs, 45(5), 694-703.
신계영(2001). 암환자 가족 중 주간호제공자의 적응모형 구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오재연(2013).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7(1), 137-162.
유경애(2000). 치매노인 가족의 적응모형 구축. 연세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윤경이(1993). 적응모델에 의한 Reye 중후 환아의 간호 진단사례(NANDA에 의거한). 대한간호, 32(1), P. 43-46.
이경희(1993). 장애 아동의 가족 스트레스와 적응의 구조 모형. 서울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임소연(2014). 천식관리 교육 프로그램이 학령전기 아동의 천식치료 적응에미치는 효과. J Korean Acad Nurs, 44(2), 189-197.
장선옥(1994). 로이적응모델의 가족건강사정에의 적용가능성. 한국보건간호학회지, 8(2), 35-56.
조정호(1993). Roy의 적응모델에 의한 제왕절개술 산모의 간호진단 사례연구. 대한간호, 32(3), P. 45-51.
Artinian, N.T., & Roy, C. (1990). Strengthening the Roy adaptation model through conceptual clarification. Commentary [Artinian] and response [Roy]. Nursing Science Qualrtely, 3, 60-66.
Barone, S. H., Roy, C. L., & Frederickson, K. C. (2008). Instruments used in Roy Adaptation Model-based research: Review, critique, and future directions. Nursing Science Quarterly, 21(4), 353-362.
Brydolf, M., & Segesten, K.(1994). Physical health status in young subjects after colectomy: An application of the Roy model.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3), 500-508.
Chen, C. C. H., Chang, C. K., Chyun, D. A., & McCorkle, R. (2005). Dynamics of nutritional health in a community sample of american elders: a multidimensional approach using roy adaptation model. Advances in Nursing Science, 28(4), 376-389.
Dawson, S. (1998). Adult/elderly care nursing. Pre-amputation assessment using Roy's Adaptation Model. British Journal of Nursing,7(9): 536, 538-542.
DeSanto‐Madeya, S., & Fawcett, J. (2009). Toward understanding and measuring adaptation level in the context of the Roy adaptation model. Nursing science quarterly, 22(4), 355-359.
Dixon, E. L. (1999). Community health nursing practice and the Roy Adaptation Model. Public Health Nursing, 16(4), 290-300.
Dobratz, M. C. (2004). Life-closing spirituality and the philosophic assumptions of the Roy adaptation model. Nursing Science Quarterly, 17(4), 335-338.
Dobratz, M. C. (2008). Moving nursing science forward within the framework of the Roy adaptation model. Nursing science quarterly, 21(3), 255-259.
Ducharme, F., Ricard, N., Duquette, A., Levesque, L., & Lachance, L. (1998). Empirical testing of a longitudinal model derived from the Roy adaptation model. Nursing Science Quarterly, 11(4), 149-159.
Fawcett, J. (2002). The nurse theorists: 21st-century updates—Callista Roy. Nursing Science Quarterly, 15(4), 308-310.
Fawcett, J. (2003). Conceptual models of nursing: International in scope and substance? The case of the Roy adaptation model. Nursing Science Quarterly, 16(4), 315-318.
Fawcett, J. (2006). The Roy adaptation model and content analysis. Aquichan, 6(1), 34-37.
Fawcett, J. (2009). Using the Roy Adaptation Model to guide research and/or practice: construction of conceptual-theoretical-empirical systems of knowledge. Aquichan, 9(3), 297-306.
Fawcett, J., & Tulman, L. (1990). Building a programme of research from the Roy Adaptation Model of Nursi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5(6), 720-725.
Frederickson, K. (2000). Nursing knowledge development through research: Using the Roy adaptation model. Nursing science quarterly, 13(1), 12-16.
Frederickson, K., Jackson, B. S., Strauman, T., & Strauman, J. (1991). Testing hypotheses derived from the Roy Adaptation Model. Nursing Science Quarterly, 4(4), 168-174.
Gagliardi, B. A., Frederickson, K., & Shanley, D. A. (2002). Living with multiple sclerosis: a Roy adaptation model-based study. Nursing Science Quarterly, 15(3), 230-236.
Isbir, G.G., & Mete, S. (2010). Nursing care of nausea and vomiting in pregnancy: Roy adaptation model. Nursing Science Quarterly, 23 (2), 148-155.
Keighley,t.(1997).The interview;Callista Roy.Nursing Management (London); Nursing Standard Journal for Nurse Learders, 4(5), 16-19.
Limandri, B. J. (1986). Research and practice with abused women: use of the Roy adaptation model as an explanatory framework. Advances in Nursing Science, 8(4), 52-61.
Lopes, M. V. D. O., Pagliuca, L. M. F., & Araujo, T. L. D. (2006). Historical evolution of the concept environment proposed in the Roy Adaptation Model. Revista latino-americana de enfermagem, 14(2), 259-265.
Lutjens, L. R. J. (1991). Callista Roy: an adaptation model (Vol. 3). SAGE Publications, Incorporated.
Naga, B. S. B., & Al-Atiyyat, N. M. (2009). Roy AdAptAtion Model. MIDDLE EAST JOURNAL, 59.
Mitchell, G. J., & Pilkington, B. (1990). Theoretical approaches in nursing practice: A comparison of Roy and Parse. Nursing Science Quarterly, 3, 81-87.
Moreno, M.E., Duran, M.M., & Hernandez, A. (2009). Nursing care for adaptation. Nursing Science Quarterly, 22 (1), 67-73.
Patton, D. (2004). An analysis of Roy's Adaptation Model of Nursing as used within acute psychiatric nursing. Journal of Psychiatric & Mental Health Nursing, 11(2), 221-228.
Peddicord, K. (1991). Strategies fot promoting stress reduction and relaxation. Nursing Clinics of North America, 26, 867-874.
Perrett, S. E. (2007). Review of Roy adaptation model-based qualitative research. Nursing Science Quarterly, 20(4), 349-356.
Roy, C. (2011). Extending the Roy adaptation model to meet changing global needs. Nursing science quarterly, 24(4), 345-351.
Roy, C. (2011). Research based on the Roy adaptation model: Last 25 years. Nursing Science Quarterly, 24(4), 312-320.
Roy, C., Whetsell, M. V., & Frederickson, K. (2009). The Roy Adaptation Model and Research: Global Perspective. Nursing science quarterly, 22(3), 209-211.
Varvaro, F. F. (1991). Women with coronary heart disease: An application of Roy's adaptation model. Cardiovascular Nursing. 27(6), 31-35.
Yeh, C. H. (2002).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ediatric patients with cancer: a structural equation approach with the Roy Adaptation Model. Cancer nursing, 25(1), 74-80.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