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 가장 기억에 남는 디지털 플랫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코로나19 이후 미디어 변화와 디지털 미디어 이용 경험
1.1. 개요
1.2. 미디어 이용 시간의 변화
1.3. 주로 이용하는 스마트기기 및 매체
1.4. 콘텐츠 이용 변화
1.5. 결론
2. 디지털 광고와 기술 변화
2.1. 디지털 광고의 특징
2.2. TV광고와 디지털 광고의 차이 분석
2.3. 디지털 광고 효과와 발전 방향
3. 제4차 산업혁명의 이해
3.1. 제4차 산업혁명의 개요
3.2. 주요 기술과 특징
3.3. 산업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
3.4. 대응 방안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코로나19 이후 미디어 변화와 디지털 미디어 이용 경험
1.1. 개요
'20년 초부터 국내에서 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사회적으로나 개인적으로 모든 분야에서 큰 변화가 발생했다. 사회적으로는 거리두기로 공공시설 이용이 많이 제한되고 식사나 모임 등을 자제하게 되는 분위기가 형성되었으며, 회사에서 일하는 직장인들도 재택근무가 늘어나기도 했다. 개인적으로는 회식과 모임 등이 줄어들면서 여가시간이 많이 늘어났고 외식 등은 줄어들면서 배달음식 등 집에서 해결하는 경우가 훨씬 많이 증가했다. 이런 변화의 한 부분으로 산업 형태가 IT산업이나 미디어산업, 배달 음식 등은 크게 성장하고 여행, 쇼핑, 자영업 등은 크게 타격을 받기도 했다. 여기서는 코로나19 이후 미디어산업에서는 주로 어떤 변화가 발생했고 개인적으로 그러한 변화 흐름에 어떤 경험을 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도록 한다.
1.2. 미디어 이용 시간의 변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디지털미디어 과사용이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려대 안암병원 배재현 교수가 발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코로나19 이전 38%였던 스마트폰 이용 시간이 하루 평균 4시간 이상인 과사용 그룹이 코로나19 이후 63.6%로 25.6%포인트 증가했다. 또한 학습이나 여가를 위한 스크린 타임의 경우도 코로나19 전 22.5%에서 코로나19 이후 46.8%로 26.1%포인트가 늘어났다.
필자의 경우에도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해보면 기본적으로 미디어 이용 시간이 자연스럽게 증가했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회식이나 모임 등이 줄어들면서 여가시간이 많이 늘었고, 특별한 취미활동이 없어 저녁시간에 주로 미디어를 이용하게 되었다. 계산해보니 출퇴근 시간과 점심시간에 사용하는 시간만 해도 하루 2시간 정도이고, 퇴근 후에도 대부분의 시간을 미디어로 보내는 것으로 나타나 하루 평균 4시간 이상을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재택근무로 인해 원격 화상회의 등 업무상 미디어 사용 시간도 늘어났다.
가족들의 경우에도 상황이 비슷했다. 아이들의 경우 온라인 수업으로 인해 평일에도 휴대전화나 TV로 유튜브를 보는 시간이 늘었고, 주말에도 외출을 자제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이 크게 증가했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하루 평균 TV 시청 시간도 2019년 2시간 55분에서 2020년 3시간 9분으로 14분 정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40대 이상의 연령층에서 TV 시청 시간이 크게 늘었다.
즉,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와 재택근무, 온라인 수업 등으로 인해 개인과 가족 단위에서 미디어 이용 시간이 크게 증가했다고 볼 수 있다.
1.3. 주로 이용하는 스마트기기 및 매체
원격수업과 재택근무 등의 영향으로 데스크탑과 노트북의 보유도 증가했다. 2020년 한 가구당 데스크탑을 보유한 비율은 49.4%로 전년보다 2.3%p 늘었으며 노트북도 44.7%로 전년 40.3%보다 증가했다. 태블릿 PC는 전년 17.5%보다 4.1%p 증가한 21.5%, 닌텐도, 플레이스테이션, Ms X-Box등 휴대용 게임기를 보유한 비율도 전년보다 1.5%p 증가한 6.1%fh 나타났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TV 프로그램 시청과 음악듣기, 동영상 재생 등도 전년보다 상승했는데 특히 유튜브를 이용한 동영상 재생이 전년 33%에서 47.9%로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가 주로 사용하는 매체는 노트북과 스마트폰을 가장 많이 이용한다. 일단 출퇴근할 때는 자연스럽게 스마트폰을 통해 귀에 이어폰을 꽂고 음악을 들으면서 이동하고 지하철을 탄 이후에는 뉴스나 웹툰을 보면서 가게 된다. 출근한 이후에는 사무실에서 노트북을 활용해 업무를 보게 되는데 점심시간이나 간간이 인터넷을 보거나 동영상 파일을 보기도 한다. 그리고 간간이 핸드폰으로는 카카오톡 메시지 확인과 점심시간에 게임을 하는 등으로 이용한다. 가족들도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어나다 보니 아무래도 미디어기기에 의존하는 시간이 많이 증가했다. 거실에 있는 TV는 예전에 드라마를 보는게 주 용도였다면 지금은 아이들이 유튜브를 주로 보는데 틀어 놓는 경우가 많으며 드라마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으로 OTT를 활용해 보는 것으로 바뀌었다.
1.4. 콘텐츠 이용 변화
코로나19 이후 여가 소비에 있어 인터넷을 이용한 동영상을 소비하는 시간이 많이 증가하였다. 넷플릭스와 유튜브 같은 온라인을 통한 동영상 서비스 이용량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넷플릭스는 코...
참고 자료
이용자 중심 미디어 생태계와 미디어 이용능력, 미디어미래연구소, 노창희
코로나, 미디어 지형을 바꾸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정용찬
스마트 미디어 서비스 이용 실태조사, 한국언론학회, 심미선, 김은미
코로나19사태로 인한 미디어 시장의 변화, 유건식
코로나19시대 스마트폰 과사용 2배 증가, 청년의사, 2021. 10.22
장선경(2015), 디지털 시대, 광고대행사 크리에이터들의 역할 변화,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석사 논문.
엘지 세탁세제 FIJI 유튜브 광고 (https://www.youtube.com/watch?v=zWW1ZaRPyuY)
엘지 세탁세제 FIJI TV광고 (https://www.youtube.com/watch?v=327WrfDJNL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