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청정원 소비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식품표시제도와 식품마케팅
1.1. 식품표시제도의 중요성
1.1.1. 식품표시제도의 목적
1.1.2. 식품표시제도의 주체별 기능
1.2. 식품 브랜드의 필요성
1.2.1. 브랜드,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스토리텔링
1.2.2. 식품 및 식품기업 브랜드 사례 분석
1.2.3. 식품기업 브랜드 개발
1.3. 식품 마케팅의 중요성
1.3.1. 마케팅 믹스(제품, 가격, 유통, 촉진)
1.3.2. 촉진믹스를 활용한 식품 마케팅 전략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식품표시제도와 식품마케팅
1.1. 식품표시제도의 중요성
1.1.1. 식품표시제도의 목적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제4조 및 제5조, 같은 법 시행규칙 제5조제3항 및 제6조제4항에 따라서 식품, 축산물, 식품첨가물, 기구 또는 용기·포장의 표시기준에 관한 사항 및 영양성분 표시대상 식품의 영양표시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명시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는 위생적인 취급을 도모와 소비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며 공정한 거래 확보가 그 목적이다. 소비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공정한 거래를 확보하는 것이 식품표시제도의 핵심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1.1.2. 식품표시제도의 주체별 기능
식품표시제도의 주체별 기능은 다음과 같다.
소비자의 입장에서 식품표시제도는 안전하고 영양가 있는 식품을 선택할 수 있게 해준다. 영양성분 표시를 통해 식품 간의 영양 비교와 자신의 건강 관리가 가능하며, 기능성 표시와 안전성 표시를 보고 유용한 기능성 제품과 위생적인 제품을 선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소비자는 안심하고 건강한 식품을 구매할 수 있게 된다.
생산자의 입장에서 식품표시제도는 소비자에게 자사 제품의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여 제품을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는 수단이 된다. 특히 기능성 식품의 경우 허위 표시나 과장 광고가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정직한 표시를 통해 소비자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
정부기관의 입장에서 식품표시제도는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보호하기 위한 필수적인 제도이다. 시장경제 하에서 개인의 자유를 존중하되, 소비자와 생산자 간의 정보 비대칭을 해소하여 소비자를 보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식품 위생상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 정보를 공개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한다.
1.2. 식품 브랜드의 필요성
1.2.1. 브랜드,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스토리텔링
브랜드는 소비자에게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를 식별하게 하고, 다른 경쟁 제품과 차별화시키는 고유의 이름, 용어, 디자인, 상징 등을 의미한다. 브랜드는 단순히 제품의 이름뿐만 아니라, 그 제품이 제공하는 가치와 철학을 포함한 포괄적인 개념이다. 브랜드는 소비자에게 일관된 메시지를 전달하며, 제품이나 서비스의 신뢰성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CJ는 다양한 식품을 제공하는 대형 기업으로, 소비자들에게 품질과 신뢰성을 전달한다. CJ라는 브랜드 이름은 다양한 음식 제품과 함께 건강하고 안전한 식품을 제공하는 회사로 인식되며, 이는 소비자들이 CJ 제품을 선택하게 만드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브랜드는 제품의 외관, 포장, 광고, 마케팅 전략 등을 통해 소비자와 상호작용하며, 지속적인 브랜드 관리가 필요하다.
브랜드 이미지는 소비자가 특정 브랜드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인식과 감정을 말한다. 이는 브랜드의 품질, 디자인, 가격, 광고, 사용 경험 등 여러 요소에 의해 형성된다. 브랜드 이미지는 소비자의 구매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며, 긍...
참고 자료
푸드마케팅,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황조혜·김선아, 2018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등의 표시기준, 시행 2020. 1. 3.식품의약품안전처고시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https://www.haccp.or.kr
식품표시제 해설, 농촌진흥청, 2017
푸드마케팅. 황조혜, 김선아 지음. 출판사 : 출판문화원. 2018년
Smith, Wendell R. "Product differentiation and market segmentation as alternative marketing strategies." Journal of marketing 21.1 (1956): 3-8.
Haley, Russell I. "Benefit segmentation: A decision-oriented research tool." Journal of marketing 32.3 (1968): 30-35.
Roberts, Alan A. "Applying the strategy of market segmentation." Business Horizons 4.3 (1961): 65-72.
McCarthy, E. Jerome. "Basic marketing: a managerial approach." (1978).
최규완, 방도형. "외식소비시장의 시장세분화 연구-잠재적 계층분석 (LCA) 을 이용하여." 관광학연구 41.4 (2017): 131-149.
박유니스광선. "프리미엄 푸드 마켓 소비 가치에 따른 시장세분화." 국내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이승민 (2015). 마케팅 믹스 전략이 브랜드인지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커피 프랜차이즈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 28(1), 129-148.
정동기, 박창근 (2014). 인적 판매 중심의 마케팅 믹스 전략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4(11), 1049-1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