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신생아 신체사정
1.1. 일반적 특성
신생아는 신체적·생리적 특성이 성인과 매우 다르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신생아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신생아는 태어난 지 4주 미만의 영아로, 출생 후 생리적 변화와 적응을 겪게 된다. 신생아는 체온조절 능력이 약하고 각종 반사가 발달하는 시기이다. 또한 신생아는 태내에서 이루어진 생리적 준비가 부족하여 선천성 기형이나 선천적 질병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신생아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위해 세심한 관찰과 평가가 필요하다.
출생 시 재태기간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나타낸다. 만삭아의 경우 근육이 발달하고 체중이 적절하지만, 미숙아는 근육발달이 미흡하고 체중이 낮다. 또한 미숙아는 체온조절 능력이 떨어지고 호흡곤란, 황달 등의 문제를 겪을 수 있다.
신생아는 출생 순위에 따라 특성이 다르게 나타난다. 첫째아는 태어나면서 겪는 스트레스로 인해 피부 상태가 좋지 않을 수 있지만, 부모의 돌봄을 더 많이 받게 된다. 반면 둘째아는 첫째아에 비해 상대적으로 피부가 좋은 편이지만 부모의 관심을 덜 받게 된다.
가족의 민족과 인종에 따라서도 신생아의 신체적 특징이 다르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피부색, 머리카락, 눈동자 색 등이 민족과 인종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이처럼 신생아의 일반적 특성은 출생 시기, 출생 순위, 가족의 민족과 인종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신생아를 사정할 때는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개별적인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1.2. 피부
신생아의 피부는 출생 당시 밝은 붉은색을 띠며, 생후 2~3일 째에 보다 자연스러운 색을 나타낸다. 아시아 신생아의 경우 노란 색이 비친 분홍색 혹은 장미빛 적색을 보이고, 유럽 신생아는 분홍 혹은 불그스름한 색을 띠는 것이 일반적이다.
신생아에게서 흔히 관찰되는 피부 소견으로는 발진, 태지, 피부낙설 등이 있다. 발진은 생후 2일 이내에 나타나며 약 5~7일간 지속되는데, 주로 얼굴, 근위부 사지, 몸통, 엉덩이에서 관찰된다. 태지는 피지선과 상피세포의 분비물로 구성된 황백색의 물질로, 피부가 접히는 부위에 많이 나타나며 1~2일에 건조되어 사라진다. 피부낙설은 출생 후 24시간 이내에 심하게 건조해지면서 피부가 벗겨지는 현상으로, 정상적인 소견이다.
그 밖에도 신생아에게서 미립종(milia), 황달, 몽고반점, 혈관종 등이 관찰될 수 있다. 미립종은 패립종으로 불리는 작고 흰색의 피부 병변으로, 뺨, 코, 턱 등에 나타나며 2~3주 후에 자연스럽게 소실된다. 황달은 정상 신생아의 약 50%에서 생후 2~3일에 나타나며 5~7일 후 사라지나, 24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경우에는 비정상적인 소견이다. 몽고반점은 신생아의 둔부나 등 하부에 나타나는 불규칙한 진푸른 색소 침착으로, 정상 소견이다. 혈관종은 혈관 내피세포의 증식으로 인해 발생하는 종양으로, 출생 시에는 명확하지 않다가 몇 주 내 나타나 1년 정도 지속되다가 점차 소실된다.
피부 탄력성은 엄지와 검지를 이용하여 신생아의 피부를 꼬집어 확인할 수 있는데, 이때 피부가 제자리로 빨리 돌아가면 정상적인 수화 작용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신생아의 피부에서는 가늘고 부드러운 솜털이 전신에 걸쳐 관찰되며, 특히 이마, 뺨, 어깨 부위에 많이 분포되어 있다.
종합해보면, 신생아의 피부는 출생 초기에 다양한 변화와 특징을 나타내지만, 대부분의 경우 정상적인 소견에 해당한다. 다만 황달과 같은 일부 증상은 비정상적일 수 있으므로 주의 깊게 관찰할 필요가 있다.
1.3. 머리
신생아의 머리는 분만 과정에서 압박을 받아 정상적인 변형이 일어나는데, 이를 몰딩(molding)이라고 한다. 좁은 산도를 통과하면서 신생아의 유연한 두개골 봉합선이 겹치게 되어 머리가 고깔 모양으로 변형되는 것이다. 이는 정상적인 소견으로 수일 내에 원래의 모양으로 돌아온다.
분만 과정에서 태아의 선진부가 압박되어 생긴 부종을 산류(caput succedaneum)라고 하는데, 이 또한 정상적인 소견이다. 산류는 봉합선을 넘어 두개골과 피부 사이에 생기는 부종으로, 생후 24-48시간 동안 지속되다가 자연스럽게 소실된다.
신생아의 두개골은 분만 시 변형될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중요한 부분은 대천문과 소천문이다. 대천문은 전두골과 두정골의 결합 부위에 생기는 다이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