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다양성, 하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최초 생성일 2024.09.30
14,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생물다양성, 하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 동기 및 목적
1.2. 연구 시기 및 방법

2. 이론적 배경
2.1. 관련 이론 탐색
2.2. 용어의 정의
2.3. 선행연구의 분석 및 시사점

3. 실험 및 결과
3.1. 실험 도구
3.2. 연구과제의 실행

4. 장수천 생태계 조사
4.1. 선상 대상법을 이용한 조사 결과
4.2. 정사각형 방형구법을 이용한 조사 결과

5. 수질 오염 측정 및 개선
5.1. 용존산소량(DO)
5.2.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
5.3.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5.4. 수질오염 개선을 위한 방안

6. 결과 및 제언
6.1. 제언
6.2. 기대효과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 동기 및 목적

과학동아리에서 하천에 대한 강연을 듣다가 우리 지역 하천에는 어떤 생물이 사는지 생태계가 궁금해져서 연구 활동을 진행하게 되었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주변을 발전시키며 살아가기 때문에 우리 주변의 생태계가 변하고 있다. 생태계와 관련하여 종 다양성과 생태계 다양성은 지구적 차원에서 강조되고 있으며 생태계에서 생물들이 서식하는데 중요한 개념이라고 배웠다. 생태환경은 지역별로 가지고 있는 '종 다양성'과'생태계 다양성'으로 인해 그 지역의 개체들이 서로 다른 생물 특성을 보이고 다양한 종이 살고 있어서 종류, 수, 특성이 모두 다르다. 그래서 우리는 우리 지역의 하천의 생태계에 관하여 탐구해보기로 하였다.

가. 우리 지역 하천의 물을 채집한다.
나. 채집한 물을 통하여 어떠한 생물이 물속에 존재하는지 현미경을 이용해 관찰한다.
다. 관찰한 자료를 분석하여 우리 지역 하천에 어떤 생물이 존재하는지 조사해본다.


1.2. 연구 시기 및 방법

본 연구는 2021년 5월부터 2022년 월까지 총 3개월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5월 중 실험 계획 및 진행, 7월 중 실험 수행 및 소논문 작성을 진행하였다"" 연구 시기는 2021년 4월 14일부터 2022년 8월 5일까지로 목차에 따른 세부적인 진행 일정은 다음과 같다. 4월 14일에는 모둠별 협의회를 수시개최하였고, 5월 19일, 6월 16일, 7월 21일, 7월 22일, 8월 5일에 각각 관련 활동을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조사와 하천의 생태계조사를 수행하였다" 문헌조사 과정에서 하천의 생태계 조사방법을 파악하고 필요한 준비물을 마련하였으며, 실제 하천에서 물을 채집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관찰 결과를 분석하였다""


2. 이론적 배경
2.1. 관련 이론 탐색

생태학은 "집"을 뜻하는 그리스어 'ο?κο?'와 "연구"를 뜻하는 '-λογ?α'에서 온 말로, 생태계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생태계는 구성 성분인 생물과 생물이 이루고 있는 군집, 그리고 주변 환경의 무생물적인 부분들이 역동적으로 변하며 상호작용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따라서 생태학에서는 식물과 동물의 분포와 관계, 그리고 생물과 무생물적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연구한다"이다.

생태체계이론은 생물학 연구에서 비롯된 생태계의 개념을 인간과 환경과의 관계에 응용하는 이론적 관점이다. 대표적 상태이론은 Bronfenbrenner가 제안한 인간발달 생태학으로, 이 이론은 직계가족의 관계에서부터 보다 넓은 사회적 환경에 이르기까지 환경의 다양한 측면들이 인간의 발달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설명한다. 또한 환경의 개념을 기존의 심리학에서 사용되는 개념보다 더 광범위하고 분화된 개념으로 설명한다.

공동체 생태학 이론은 조직을 생태학적 공동체 속에서 상호 의존 관계를 맺고 있는 조직군의 한 구성원으로 파악하고, 이에 기반해 조직의 행동과 환경 적응 과정을 설명하려고 하는 거시조직 이론의 한 분파를 말한다. 이 이론은 조직 간의 관계 자체에 연구의 초점을 두고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가는 조직들의 공통된 노력을 설명하고자 한다.

조직군 생태학 이론은 비교적 동질적인 조직들의 집합인 조직군의 생성과 소멸 과정에 초점을 두어, 조직구조는 환경과의 적합도 수준에 따라 도태되거나 선택된다는 이론적 관점을 말한다. 이 이론의 특징은 조직환경의 절대성을 강조하고, 생물학의 자연도태 이론을 적용해 분석 수준을 개별 조직에서 조직군으로 바꾸어 놓은 점이다.


2.2. 용어의 정의

현미경은 눈으로는 볼 수 없을 만큼 작은 물체나 물질을 확대해서 보는 기구이다. 대물렌즈, 접안렌즈, 조명 장치 등으로 구성된 광학 현미경 외에 금속 현미경, 위상차 현미경, 편광 현미경, 자외선 현미경, 전자 현미경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현미경은 생물학적 연구에서 중요한 도구로 활용된다.

하천(河川)은 지형적으로 하도와 하천 통로로 이루어져 있으며, 물이 흘러가는 유로를 의미한다. 하천은 상류에서 하류로 물, 물질, 에너지 및 생물이 이동하는 종적 구조를 갖고 있으며, 수로로부터 육상까지 물, 물질, 에너지 및 생물이 이동하는 횡적 구조를 지닌다. 또한 수직적으로는 하천수, 하상, 하상간극수대로 구성된다. 하천은 시간에 따라 홍수 등의 ...


참고 자료

1. 키워드로 보는 기후변화와 생태계(공우석)
2. 만화로 보는 생태계가 살아 움직이는 하천(컬툰스토리)
3. 논 생물도감(그물코)
4. 하천생태계와 담수무척추동물(김명철, 천승필)
5. 녹조식물 해캄의 생물학(김영환)
6. 물속 생물 이야기(한영석)
7. 물에 사는 다양한 생물(천재학습백과)
8. 환경과 생물(박종규)
9. 물속 생물 도감(권순직, 전영철)
10. 담수생물 s노트(박종현)
11. 매혹하는 식물의 뇌(스테파노 만쿠소)
12. 지식 생태학(유영만)
13. 물 순환과 하천계획(김민환)
14. 우리 풍토에 맞는 생태하천(변찬우)
15. 어린이 자연생태마을 마법탐험대(컬툰 스토리)
https://www.weather.go.kr/weather/climate/average_30years.jsp?yy_st=2011&stn=112&norm=M&x=27&y=11&obs=0 - 기상청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080513&cid=62861&categoryId=62861#toc2 - 하천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18548&cid=40942&categoryId=33140 - 식생
산림식생조사에서 표본법의 종류와 장단점/염동준/2010/한국임학회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