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실존주의와 부조리극
1.1. 실존주의의 배경과 개념
실존주의의 배경과 개념은 다음과 같다.
플라톤 이래 서양철학은 우주와 인간의 본질을 탐구하는 쪽으로 깊이를 더해왔다. 그러나 키에르케고르, 마르셀, 사르트르, 야스퍼스, 카뮈 등의 실존주의 철학자들이 볼 때, 이는 정작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지나치게 사변적 관념적으로 흐른 경향이 있었다. 실존주의는 시대적으로는 2차 대전의 전무후무했던 대량학살, 특히 나찌에 의한 광기를 직접 경험한 유럽의 지식인들이 인간 이성에 대한 신뢰를 잃고 좌표없이 표류하는 상황과 관련이 있다. 전쟁으로 인해 인간 존엄의 가치가 급속히 하락했으며 그 와중에 인간의 폭력적인 충동성은 서양철학에 대한 회의를 확산시켰고 이는 계몽주의적 토양의 붕괴를 초래하였다. 결과적으로 실존주의는 모든 문제의 해결책이 될 수 없었던 이성에 대한 비판으로 출현하게 된 것이다.
실존주의에서 실존이란 말은 원래 철학용어로서 어떤 것의 본질이 그것의 일반적 본성을 의미하는 데 대하여, 그것이 개별자로서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하이데거나 야스퍼스는 실존이란 특히 인간의 존재를 나타내는 술어로 사용된다고 한다. 실존은 인간의 일반적 본질보다도 개개의 인간의 실존, 특히 타자와 대치할 수 없는 자기 독자의 실존을 강조하기 때문이다. 실존주의를 개인의 독특성과 개별성을 특히 강조하는 철학 사조라고 할 수 있다.
실존주의는 신, 절대자에 대한 '이성적 논증' 그 자체를 거부할 뿐만 아니라 세계의 구성원리, 역사의 법칙과 같이 세계를 절대자나 혹은 신을 대체하는 근본법칙에서 바라보고, 또 개인의 의미를 그 체계 안에서 조망하려는 모든 이론을 거부한다. 실존주의는 '실존'이란 신, 절대자의 전제함 없이 그 어떤 명분이나 이유도 없이 그냥 세상에 내동댕이쳐진 '개인'이라고 본다. 이는 자유를 말하고 그 무한한 자유는 어쩌면 구속과도 같을 수 있지만 또한 무엇이든 '선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실존주의의 대표적인 철학자로는 키에르케고르, 마르셀, 사르트르, 야스퍼스, 카뮈 등이 있고, 문학자로는 사르트르 이외에 카뮈, 카프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공통점은 개인의 실존을 중시했다는 점이다.
1.2. 실존주의와 부조리극의 관계
실존주의와 부조리극의 관계는 매우 밀접하다" 실존주의는 개인의 실존과 자유, 책임 등을 강조하는 철학적 사조로, 부조리극은 실존주의 철학에 깊은 영향을 받아 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