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국내 기업들의 해외 진출 전략 사례를 들고, 성패 요인을 설명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국내 기업들의 해외 진출 전략 사례
2.1. 아모레퍼시픽의 해외 진출 전략
2.2. 라인의 해외 진출 전략
2.2.1. 일본 진출 전략
2.2.2. 태국 진출 전략
3. 해외 진출 전략 비교: 라인과 카카오톡
4. 효과적인 해외 진출을 위한 방안
5. 성공적인 해외 진출 사례의 시사점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오늘날은 세계화의 시대로 우리나라 기업이라고 해서 국내 시장에서만 활동하지 않는다. 특히 정보통신 기술이 발달하고 IT 관련 서비스가 늘어나면서 인터넷의 세계에서 국경의 장벽은 의미가 없어졌다. 구글이나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같은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은 그들의 본사는 미국에 있지만 세계 각지에 몇 곳의 거점 지사를 두고 그 지사보다 훨씬 더 넓은 지역에서, 사실상 전 세계에 그들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국내 IT 기업들도 비슷하다. 우리나라의 네이버나 카카오도 해외에 진출해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네이버의 메신저인 '라인'은 우리나라보다 일본, 태국, 베트남 등 아시아 국가들에서 훨씬 많은 사용자를 확보했다. 일본에서는 2020년을 기준으로 라인의 사용자 수가 8,400만 명에 달한다는 집계가 나왔다. 우리나라 국민의 수보다 많은 사람이 라인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카카오톡이 '국민 메신저'의 자리를 공고히 하고 있고, 라인은 그 영향력이 미비하지만, 라인은 일본뿐 아니라 아시아 국가들에서 1억 8,600만 명이 넘는 이용자를 확보했으니 세계 시장에서의 승자는 라인이라고 할 수 있다. 카카오톡 역시 해외에 진출해서 해외 이용자를 확보했지만, 2020년을 기준으로 국내외 카카오톡 누적 가입자 수를 합해도 1억 명 남짓이다.
2. 국내 기업들의 해외 진출 전략 사례
2.1. 아모레퍼시픽의 해외 진출 전략
아모레퍼시픽의 해외 진출 전략은 다음과 같다.
아모레퍼시픽은 1964년 국내 최초로 화장품을 수출한 기업으로, 본격적인 글로벌 시장 진출을 시도한 것은 1990년대에 들어서부터이다. 현재 아모레퍼시픽은 전 세계 50여국에 화장품 및 용품을 수출하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2016년에는 일본 도쿄 증권거래소와 미국 뉴욕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약 1조 5천억 원 규모의 자금을 조달하기도 했다. 이는 아모레퍼시픽이 일본과 미국 시장에서 시장 가치와 재무 건전성 등을 인정받았다는 의미이다.
아모레퍼시픽은 중국, 미주, 유럽, 중동 등 세계 10여 개 나라에 현지 법인과 공장을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를 통해 현지 시장의 특성과 소비자들의 니즈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맞춘 현지화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일본 시장에 진출할 때는 일본인 대표이사와 일본인 직원들로 구성된 현지 법인을 설립했다. 이를 통해 일본 소비자의 정서와 시장 특성을 고려한 마케팅 전략을 구사할 수 있었다.
아모레퍼시픽은 해외 시장 진출에 있어 브랜드 관리와 제품 차별화에 주력해 왔다. 대표적인 사례가 '설화수'이다. 설화수는 한방 화장품 브랜드로 개발 초기부터 아시아의 전통적인 미와 가치를 담아내고자 했다. 이를 통해 프리미엄 브랜드로 포지셔닝되었고, 아모레퍼시픽의 대표 수출 브랜드로 성장했다. 설화수는 현재 아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글로벌 화장품 브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또한 아모레퍼시픽은 연구개발에 지속적으로 투자하며 차별화된 기술력과 품질을 확보해왔다. 이를 바탕으로 고객에게 신뢰받는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했다. 특히 한방 화장품 분야에서의 기술력과 혁신은 아모레퍼시픽의 대표적인 강점으로, 이를 활용하여 글로벌 시장에서 프리미엄 브랜드로서의 입지를 강화해 나가고 있다.
이처럼 아모레퍼시픽은 해외 시장 진출 초기부터 현지화 전략, 브랜드 관리, 기술 혁신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왔으며, 이를 통해 글로벌 화장품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
2.2. 라인의 해외...
...
참고 자료
한국기업의 해외직접투자에 대한 이론과 실제 (국가의 부패와 해외직접투자의 유입)
김경 저 | 계명대학교출판부 | 2017.06.15
일요서울 2020.10.08 '해외 진출 가속화하는 한국기업들 - 락앤락'
[우보천리 ④ 락앤락] 세계 119국 진출… 베트남서 5년 연속 10대 브랜드 선정
해외진출 한국기업 디렉토리 (2020,상권 세계) KOTRA 편집부 저 | KOTRA | 2020.12.29
크로스보더 Cross Border 국제인수합병 (글로벌M&A) CCTV 국제인수합병 프로그램 팀 저 | 류정화 역 | 가나북스 | 2013.10.10.
전략적 제휴 (경쟁우위를 확보하는 원칙과 방법) 게리 하멜(대학교수), 이브스 도즈 외 3명 저 | 조자현 역 | 21세기북스 | 2009.05.18
외국기업과의 전략적 제휴 방안 유장희(명예교수) 저 | 대한상공회의소 | 1999.12.11.
세상을 바꾼 아름다운 이야기- 미상 / 아모레퍼시픽 / 2012
국내 화장품 선두 기업 아모레퍼시픽의 조직설계- 류현희 저자 / 퍼플 / 2022
국내 화장품 업계의 동향- 강학희 저자 / BT News 제 18권, 제 1호(2011)
까다로운 중, 국내화장품 수출 제동,- 뉴시스 / 2013년 3월 14일
https://www.news1.kr/articles/5075234뉴스1
http://www.m-i.kr/news/articleView.html?idxno=1020058
매일일보
http://www.thebk.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4721
뷰티경제
http://www.startup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0293
오늘경제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43151
더구루
http://www.naeil.com/news_view/?id_art=460128
내일신문
http://www.ceoscoredaily.com/page/view/2019122615582877295
CEO스코어 데일리
청림출판 매거진, 네이버의 ‘라인’이 일본 국민 메신저가 된 이유, 2021.7.1. 오픈에즈(oepn ads)
김우현, 12살 생일 맞은 카카오톡... 예상 했지만 미처 몰랐던 사실,매일경제, 2022.3.20.
이재형, 네이버 ‘라인’ 성공에서 얻는 교훈 3가지는, 2016.7.19. 머니투데이
일본, 아이모드 이용한 무선인터넷 사이트 인기 폭발, 중앙일보, 2022.2.25.
심재석, 라인이 태국에서 성공할 수 있었던 배경, 2016.5.3. Byline Network
맹하경, 태국 사로잡은 네이버 라인, 한국일보, 2016.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