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신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사회적 문제의 증가와 연구의 필요성
1.2. 타당도와 신뢰도의 중요성
1.3. 연구 조사에서의 체계적 절차
2. 본론
2.1. 타당도
2.1.1. 타당도의 정의
2.1.2. 타당도 측정방법
2.1.2.1. 내용타당도
2.1.2.2. 기준타당도
2.1.2.3. 구성타당도
2.1.3. 타당도의 예
2.2. 신뢰도
2.2.1. 신뢰도의 정의
2.2.2. 신뢰도 측정방법
2.2.2.1. 상호관찰자 기법
2.2.2.2. 검사-재검사기법
2.2.2.3. 유사-양식 기법
2.3. 타당도 확보방안
2.3.1. 내적 타당도 확보방안
2.3.2. 외적 타당도 확보방안
2.4. 신뢰도 확보방안
2.5. 신뢰성의 개념 및 중요성
2.6. 신뢰성 기준, 평가, 관련 법규
2.7. 전기/전자 제품의 신뢰성 평가 사례
3. 결론
3.1. 연구 결과 요약
3.2. 시사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사회적 문제의 증가와 연구의 필요성
아동의 문제, 청소년의 문제, 청년의 문제, 중년 및 노인의 문제들이 오늘날 우리사회의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들이 증가한 것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양한 연구조사가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연구조사를 함에 있어서 과학적인 방법으로 조사를 진행해야만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그 연구에 타당성이 있고 신뢰를 가지게 된다.
1.2. 타당도와 신뢰도의 중요성
연구조사를 함에 있어서 과학적인 방법으로 조사를 진행해야만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그 연구에 타당성이 있고 신뢰를 가지게 된다. 연구조사를 실시할 때는 체계적인 절차를 통해서 실시를 하여야 한다. 그 이유는 연구조사는 사람들에게 타당성을 그리고 신뢰를 줄 수 있는 것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타당도와 신뢰도는 연구조사 결과의 질과 가치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다.
타당도란, 측정도구가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을 왜곡하지 않고 제대로 측정하고 있는가를 의미한다. 즉, 연구자가 의도한 바를 실제로 측정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타당도가 높다는 것은 연구결과가 실제 상황을 잘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신뢰도는 측정도구가 측정하고자 하는 현상을 일관되게 측정하는 능력을 말한다. 신뢰도가 높다는 것은 동일한 대상을 반복 측정했을 때 일관된 결과가 나온다는 것을 의미한다. 신뢰도가 높다면 우연적 오차가 적어 측정 결과를 신뢰할 수 있다.
따라서 타당도와 신뢰도는 연구 결과의 신뢰성과 객관성을 확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타당도와 신뢰도가 확보된 연구 결과는 사회적 문제 해결이나 정책 수립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반면 타당도와 신뢰도가 낮은 연구 결과는 실제 상황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할 수 있어 부적절한 의사결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
1.3. 연구 조사에서의 체계적 절차
연구 조사에서의 체계적 절차는 다음과 같다.
연구 조사를 함에 있어서 과학적인 방법으로 조사를 진행해야만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그 연구에 타당성이 있고 신뢰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연구조사를 실시할 때는 체계적인 절차를 통해서 실시를 하여야 한다. 그 이유는 연구조사는 사람들에게 타당성을 그리고 신뢰를 줄 수 있는 것이어야 하기 때문에 체계적인 절차대로 진행을 하여야 그 연구조사의 질이 높아지고 타당성과 신뢰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2. 본론
2.1. 타당도
2.1.1. 타당도의 정의
타당도란 조사자가 만든 측정도구가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을 왜곡하지 않고 제대로 측정하고 있는가, 또는 측정치가 연구자가 설명하고자 하는 개념을 잘 설명하고 있는가에 대한 것이다. 즉, 측정도구가 개념의 실제적인 의미를 측정하는가라는 질문과 관련되어 있다. 다른 개념을 측정한 것이 아니라, 원래 의도하였던 개념을 측정한 것임을 확인하는 데 타당도가 필요한 것이다. 예를 들어 지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도구가 글로 된 시험지 형식이라면, 그러한 측정도구로 나타난 지능검사 결과가 과연 지능을 측정한 것인지, 아니면 글 읽는 속도를 측정한 것인지에 대해 의심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의심과 질문들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서는 타당도의 확인이 필요하다.
2.1.2. 타당도 측정방법
2.1.2.1. 내용타당도
내용타당도는 측정도구에 포함된 지표가 내용의 모집단을 대표하고 있는지의 정도를 나타내는 측정도구의 대표성 또는 표본문항의 적절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논리적 타당성이라고도 한다. 측정도구에 포함된 설문 문항들이나 관찰 내용들이 얼마나 측정하려고 하는 속성이나 개념을 대표성 있게 포함하고 있는가에 대해 주관적 또는 상호 주관적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용하는 개념에 대한 전문가, 측정도구 개발에 대한 전문가, 혹은 예비 측정대상자들을 통해 측정 내용들에 대한 타당성을 확인한다. 이러한 내용타당도는 측정의 타당도를 판단하는 방법으로 가장 기본적이지만 주관적인 판단에 의존해야하므로 어떤 편견이나 오류...
참고 자료
이군희(2004) 사회과학연구방법론 박영사
유태균(2001) 사회복지 질적연구방법론 나남출판사
가전제품의 신뢰성 목표설정 방법 개발 - 강지호
전자부품 신뢰성 방법개선 사례에 관한연구 - 조영준
[네이버 지식백과] Reliability – 신뢰도 (지형 공간정보체계 용어사전, 2016. 1. 3., 이강원, 손호웅)
[네이버 지식백과] 신뢰성[信賴性, reliability] (철도관련큰사전, 2007. 4. 20. 백남욱, 이상진)
[네이버 지식백과] 신뢰성인증마크 (시사경제용어사전, 2017. 11., 기획재정부)
신뢰성향상을 위한 평가시스템 및 정책방향 – 이두면
http://www.krtc.re.kr 한국신뢰성기술센터(KRTC)
http://www.rako.or.kr 한국신뢰성협회(RAKO)
한국기계연구원 신뢰성평가센터“신뢰성개념_신뢰성 정의”임재학, 정해성. (2017).
신뢰성 분석을 위한 빅데이터의 특성. 한국신뢰성학회 학술대회논문집
한국 신뢰성인증센터, “신뢰성개념_신뢰성이란”
한국 신뢰성기술센터, “신뢰성평가_표준규격”
한국기계연구원 신뢰성평가센터, “신뢰성개념_신뢰성평가 개념”
한국 신뢰성기술센터, “신뢰성평가란_평가필요성”
한국기계연구원 신뢰성평가센터, “신뢰성인증”
이주홍, 강보식, 유현석, 이승용. (2019). 로봇 및 공작기계용 롤러기어 캠 구동방식의 정밀감속기 신뢰성 비교 평가.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 712-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