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중국 여성신화와 여성의 삶
1.1. 중국여성신화의 형성배경
중국여성신화의 형성배경은 다음과 같다.
풍족한 수확을 추구하고 홍수, 가뭄과 같은 자연재해의 두려움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기원으로 여신에 대한 제사의식과 숭배의식이 신화로 발전하였다. 신석기시대에는 채집과 수렵, 기초적인 농경을 하는 모계 씨족사회였으나, 점차 가부장적 사회로 변모하면서 여신의 주체적이고 영웅적인 모습은 남성의 보조적인 역할에 머물며 권력을 상실하게 되었다. 대표적인 예로 서왕모는 반인반수의 존재에서 점차 아름답고 육감적인 여인으로 변모하였다.
1.2. 중국 여성 신화에 나오는 여신들
중국 여성 신화에 나오는 여신들은 다음과 같다.
여와는 인류 창조의 신으로, 뱀의 형상을 한 중국 신화의 창조여신이다. 그녀는 인류를 창조했으며 천지를 보수하고 인류를 괴롭히던 괴물을 제거하였고, 홍수를 잠재웠다. 서왕모는 모든 신선들을 지배하는 최고위직 여신으로, 중국 대륙 서쪽에 자리잡고 있는 곤륜산에 살고 있다. 그녀는 표범의 꼬리와 호랑이의 이빨을 가지고 있으며, 하늘의 재앙과 오형을 주관하고 있다. 농경사회를 대표하는 여신 잠신은 입에서 누에 실을 뿜어내는 신으로, 황제에게 비단실을 보내어 풍요로운 대지에 양잠의 기술을 전파하였다. 누조는 전설 속 황제의 왕비이자 누에치기의 창시자이다. 항아는 달에 산다는 선녀로, 남편 예의 불사약을 훔쳐 먹고 달로 도망간 비극적 여신이다. 아황과 여영은 순임금의 아내가 되어 나라를 지키다 창오에서 죽은 후 소상강의 여신이 되었다.
1.3. 중국 고대 여성의 삶
중국 고대 여성의 삶은 주나라 시대의 봉건제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당시의 중국 사회는 가부장제에 기반을 두고 있었으며, 여성은 주로 종속적이고 의존적인 존재로 여겨졌다.
첫째, 주나라의 봉건제도는 군주와 관료, 제후와의 관계를 중시하였는데, 이는 종족적 친족관계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 즉, 정치적 결합이 혈연관계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가정과 정치가 밀접하게 연결되었고, 여성의 위치는 매우 제한적이었다. 여성은 가정 내에서 어머니와 아내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여겨졌다.
둘째, 여성의 지위는 유가사상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유가에서는 남녀의 역할을 엄격히 구분하고, 여성의 순종과 종속을 강조하였다. 예컨대 『예기』에서는 "남자는 밖에 거처하고 여자는 안에 거처한다"라고 하여 가정 내에서의 성역할을 분리하고 있다. 또한 『소학』에 따르면 여자는 6세부터 효경, 논어 등을 배워 여성의 덕을 익히고, 제사의례와 같은 여성의 전통적 역할을 준비해야 했다.
셋째, 여성의 혼인과 관련하여 주나라 시대에는 부모가 혼인을 결정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여성은 스스로 배우자를 선택할 수 없었고, 혼인 후에도 남편에게 종속되었다. 이는 여성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극도로 제한하는 것이었다.
이처럼 중국 고대 여성의 삶은 가부장제와 유교 이념의 영향 아래 종속적이고 수동적인 것으로 여겨졌다. 여성은 가정 내에서의 역할에 국한되었고, 사회적 지위와 권리는 매우 제한적이었다. 이러한 여성관은 수천 년 동안 지배적이었으며, 중국 사회 전반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2. 중국 고대 4대 미녀
2.1. 서시와 춘추전국시대
서시는 중국의 4대 미녀 중 한 명으로, 그녀의 삶은 춘추전국시대의 격변기에 펼쳐졌다. 서시는 저장성 사오싱의 도주공의 아내로 알려져 있으며, 그녀의 아름다운 외모로 인해 "침어(沈魚)"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춘추전국시대는 중국 사상의 일대 전환기로 꼽히는 시기였다. 춘추시대(기원전 770~403년)는 노나라의 역사적 기록인 『춘추』가 편찬된 시기였으며, 전국시대(기원전 403~221년)는 중국이 3국으로 분열되어 주왕실이 이를 공인한 시기였다. 이 시기 동안 유가, 도가, 법가 등 다양한 사상가들이 등장하며 중국 철학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유가에서는 여성에 대한 독특한 관념이 나타났다. 공자의 72제자 중 여성은 단 한 명도 등장하지 않았는데, 이는 남녀유별의 사상을 반영한 것이다. 『예기(禮記)』에 따르면 "예는 부부 사이의 도리를 삼가는 데서부터 시작된다. 그러므로 집을 지을 때에는 안과 밖의 구분이 있게 한다. 남자는 밖에 거처하고, 여자는 안에 거처한다."라며 남녀의 역할과 위치를 명확히 구분하고 있다. 또한 『예기』에서는 남편이 아내를 맞이할 때 부부유별(夫婦有別)의 예법을 지켜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처럼 유가에서는 여성을 가정 내에 국한된 존재로 여겼으며, 이는 당시 사회의 일반적인 인식이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서시의 삶은 전개되었다. 서시는 아름다운 외모로 인해 여러 군주들의 관심을 받았다. 특히 오월왕 부차(夫差)와 회계왕 합려(闔閭) 등이 서시를 통해 와신상담(臥薪嘗膽)하며 국력을 기르고자 했다. 이처럼 서시는 국가 간 갈등의 중심에 있었으며, 그녀의 아름다운 외모는 당시 정치-군사적 상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결국 서시의 삶은 춘추전국시대의 격변기 속에서 자신의 운명을 개척하지 못하고, 남성 권력자들에 의해 조종되는 수동적인 존재로 전락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는 당시 사회에 만연했던 남성 중심적 가치관과 여성에 대한 차별적 인식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2.2. 왕소군과 흉노와의 관계
왕소군과 흉노와의 관계는 당시 한과 흉노의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