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신우신염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2. 문헌고찰
2. 신우신염
2.1. 정의
2.2. 약물
3. 사례연구
3.1. 일반적 사항
3.2. 진단검사
3.3. 간호진단
3.3.1. 질병과 관련된 통증
3.3.2. 염증반응과 관련된 고체온
3.3.3. 침습적 절차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급성 신우신염은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만성 신우신염을 거쳐 신부전까지 갈 수 있고, 또한 염증이 온몸으로 퍼지는 폐혈증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신우신염의 치료와 관리, 그리고 재발에 대한 교육의 중요성을 확인하고자 이 주제를 선택하였다. 또한 남성에서 발생한 급성 신우신염의 경우 질병과 관련된 사망률이 여성에 비해 약 4배 정도 높기 때문에, 신우신염에 걸린 남성 환자가 대상자인 논문을 찾아 조사하였다.
1.2. 문헌고찰
신우신염에 대한 문헌고찰을 살펴보면, 신우신염은 신장의 실질조직과 신우에 염증이 있는 질병이다"" 신우신염은 보통 요도와 방광을 통해 역행성으로 감염되며, 방광염, 임신, 비뇨기계 폐쇄, 기구조작, 외상과 대부분 관련이 있다"" 다른 감염의 위험요소로는 패혈증, 당뇨병, 진통제 남용, 다낭성 신질환, 고혈압성 신질환이 있다""
급성 신우신염은 일시적으로 신장에 영향을 미치나 신부전으로는 거의 진전되지 않는다"" 반면 만성 신우신염은 반복되는 염증과 반흔조직으로 인해 신장조직을 영구적으로 파괴하여 신부전을 초래한다""
따라서 신우신염은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만성 신우신염을 거쳐 신부전까지 갈 수 있고, 또한 염증이 온몸으로 퍼지는 폐혈증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신우신염의 치료와 관리 그리고 재발에 대한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특히 남성에서 발생한 급성 신우신염의 경우 질병과 관련된 사망률이 여성에 비해 약 4배 정도 높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2. 신우신염
2.1. 정의
신우신염은 신장의 실질조직과 신우에 염증이 있는 질병이다. 신우신염은 보통 요도와 방광을 통해 역행성으로 감염되며, 방광염·임신·비뇨기계 폐쇄·기구조작·외상과 대부분 관련이 있다. 다른 감염의 위험요소로는 패혈증, 당뇨병, 진통제 남용, 다낭성 신질환, 고혈압성 신질환이 있다. 급성 신우신염은 일시적으로 신장에 영향을 미치나 신부전으로는 거의 진전되지 않는다. 만성 신우신염은 반복되는 염증과 반흔조직으로 인해 신장조직을 영구적으로 파괴하여 신부전을 초래한다.
2.2. 약물
신우신염의 대표적인 치료 약물로는 Tylenol, Tridol, Cirok, DDB, Legalon, Phazyme 등이 있다.
Tyl...
참고 자료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09a4727a8000f1cb&CONT_SRC=CMS&CONT_ID=1320&CONT_CLS_CD=001020001006 (서울삼성병원 감염내과)
https://www.health.kr/ (약학정보원)
신용순 외 3인 (2018). 성인 환자를 위한 근거기반 냉 요법 간호실무지침 개발 P.330
http://m.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306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낙상예방간호 실무치심서 및 요약본 – 병원간호사회
국제간호진단협회(2016)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정담미디어 P.161, 175, 227, 388, 432
최영희, 이향련, 김혜숙, 박현경 외 . 간호과정 전산화 긴호진단과 간호중재. : 현문사
권대준, 김수정, 방용준, 백성덕 외 . 병원 미생물학 : 고려의학
신경림, 김옥수, 김귀분, 김남초 외 . 성인간호학 Ⅱ. : 현문사
강복희, 권경남, 권보은, 권혜숙 외 . for nurse REVIEW BOOK : 의학서원
http://www.druginfo.co.kr/
http://www.naver.com
원종순 외,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홍경자 외, 『아동건강간호학 Ⅱ』, 현문사, 2015
조경숙 외, 『제6판 성인간호학』, 현문사, 2013
임숙빈 외, 『제 7판 정시간호총론』, 수문사, 2015
소기학 외, 『급성 신우신염』, 대한요로생식감염학회지,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