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람의호흡기작"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호흡 기작
1.1. 동물의 호흡 기작
1.2. 사람의 호흡 기작
1.2.1. 외호흡
1.2.2. 내호흡
2. 호흡 조절
2.1. 호흡 중추
2.2. 호흡 반사
3. 폐 구조와 기능
3.1. 폐 부피와 용량
3.2. 폐포에서의 기체 교환
4. 운동이 호흡에 미치는 영향
4.1. 호흡률 및 호흡량 변화
4.2. 이산화탄소 배출량 변화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호흡 기작
1.1. 동물의 호흡 기작
동물의 호흡 기작은 체내의 산소를 저장하는 능력이 없기 때문에 외부 환경으로부터 끊임없이 산소를 공급받아야 한다"" 동물은 소화와 흡수로 얻은 영양물질을 순환에 의하여 각 조직세포로 공급하고 이를 산화시킴으로써 생명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고 있다"" 산화과정에서는 산소가 전자와 수소의 궁극적인 수용체가 되므로 산소가 존재하지 않으면 동물은 에너지를 얻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동물은 항상 외부로부터 산소를 얻고 체내에서 생성된 이산화탄소를 외부로 배출하는 기체의 교환을 하고 있는데 이 과정을 호흡이라고 한다""
1.2. 사람의 호흡 기작
1.2.1. 외호흡
외호흡은 폐포와 폐모세혈관 사이에서의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을 말한다. 이를 통해 탈산소화된 혈액이 산소화된다.
외호흡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흡기 시 공기 중의 산소는 폐포로 들어가고, 폐모세혈관 속의 탈산소화된 혈액이 폐포 주변으로 흘러들어간다. 폐포 공기의 산소 분압은 약 100mmHg 정도로 높지만, 혈액의 산소 분압은 40mmHg 정도로 낮다. 이러한 분압차로 인해 폐포에서 혈액 속으로 산소가 확산된다. 이때 혈액 속의 산소 분압은 105mmHg까지 증가한다.
반대로 이산화탄소는 혈액에서 폐포로 확산된다. 탈산소화된 혈액의 이산화탄소 분압은 45mmHg 정도로 높지만, 폐포 공기의 이산화탄소 분압은 40mmHg 정도로 낮다. 이러한 분압차로 인해 이산화탄소가 혈액에서 폐포로 확산되어 배출된다.
이처럼 폐포와 폐모세혈관 사이의 기체 교환으로 인해 탈산소화된 혈액이 산소화되고,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 것이 외호흡의 핵심 과정이다. 외호흡은 호흡 전반 과정에서 가장 핵심적인 부분을 차지한다.
1.2.2. 내호흡
내호흡은 좌심실이 산소화된 혈액을 대동맥으로 밀어넣으면, 이 산소화된 혈액이 체순환동맥을 통해 조직세포의 모세혈관으로 옮겨가는 과정을 말한다. 이때 조직의 모세혈관과 조직의 세포 사이에서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이 일어난다. 그 결과 산소화된 혈액이 탈산소화된 혈액으로 전환된다.
조직의 모세혈관에 들어오는 산소화된 혈액의 산소 분압(PO2)은 약 100mmHg 수준이다. 반면 조직세포 내부의 산소 분압은 약 40mmHg 미만으로 낮다. 이러한 산...
참고 자료
1. 현대생물학, 강만식, 이인규외 공저, 교학연구사, 1999 p198∼204
2. 교양생물학, 안신성외 5인 공저, 아카데미서적, 1997, p97
3. 동물생리학, 정노팔 저, 탐구당, 1998, p81∼82
4. 생명과학, 김원종외 5인 공저, 정문각, 2000, p217
5. 인체생리학, 이인모, 이상목공저, 형설출판사, 2000, p301∼304
Taylor 외 4명, Campbell biology, 생명과학 기본과 이해 9th, 김명원 외 9명, 라이프사이언스, 2019,
5주차 실험영상,
https://drive.google.com/file/d/1R_GHQFnxpTXthRQhwvy4-vVax3cRakkA/view
Taylor 외 4인/2019/생명과학/라이프사이언스/9판/p. 4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