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티어의사소통유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사티어의 가족치료기법
2.1. 가족조각
2.2. 연극
2.3. 은유
2.4. 원가족의 도표
2.5. 명상
3. 사티어의 의사소통유형
3.1. 회유형
3.2. 비난형
3.3. 초이성형
3.4. 산만형
3.5. 일치형
4. 나의 의사소통유형 분석
5. 건강한 의사소통을 위한 실천 방안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사회복지 서비스의 실천 유형 중 하나인 가족치료는 가족원 개인의 부적응과 대인관계 문제, 가족원 간의 갈등과 가족의 역기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족 체계를 변화시키는 데에 초점을 두고 직접 개입하는 것이다. 가족치료의 유형에는 다세대 가족치료, 경험적 가족치료, 해결중심 가족치료 등이 있는데 그 중에서도 경험적 가족치료 이론은 인본주의적 심리학에서 시작되어 즉각적인 지금- 여기를 강조하고 가족들이 갖고 있는 여러 형태의 역기능적인 대화를 연구하여 가족문제를 해결하는 독특한 전략들을 개발하였다. 경험적 가족치료룰 연구한 대표 인물인 사티어는 문제가 있는 가정의 의사소통은 모호하고 간접적임을 지적하면서 이러한 의사소통은 가족원의 낮은 자존감에서 기인한다고 보았다.
2. 사티어의 가족치료기법
2.1. 가족조각
가족조각은 가족 구성원들이 가족에 대한 느낌과 감정을 대화로 표현하지 않고 공간 속에서 신체로 표현하는 비언어적 기법이다. 즉, 가족 구성원 한 명이 다른 가족 구성원에게 느끼는 내적 정서 상태를 몸짓과 소도구를 통해 표현함으로써 언어가 아닌 행동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이 기법을 사용하는 목적은 자신의 내면적 감정을 접함으로써 자신의 진정한 자아에 대해 더 깊이 알고 새로운 대처방법을 생각해볼 수 있으며, 가족 조각에서 나타나는 가족 간 얼굴과 신체 표현, 그리고 자세를 통하여 가족관계, 동맹, 감정, 스트레스 상황 등에서의 대처방법을 터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2.2. 연극
연극은 가족구성원들이 가족이나 개인의 생활에서 한 장면을 직접 연출하는 기법이다. 이 기법을 통해 가족 구성원들은 자신의 감정과 행동을 표현할 수 있으며, 타 가족 구성원들의 입장을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다. 실제 상황을 재연함으로써 가족 간의 역할과 관계를 직접 체험할 수 있기 때문에, 치료사는 내담자에게 더욱 효과적인 개입을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언어적 표현이 어려운 내담자들에게 연극 기법은 자신의 감정을 보다 직접적으로 표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내담자들은 자신의 내면을 탐색하고, 타 가족 구성원들의 입장을 이해하는 등 관계 개선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2.3. 은유
은유 기법은 치료자가 직접적으로 지시하기보다는 간접적이고 비유적인 표현을 ...
참고 자료
가족복지론, 손병덕·황혜원·전미애 저, 학지사, 2006
가족치료 이론과 기법, 김혜숙 저, 학지사, 2003
가족치료; 이론과 실제, 김유숙 저, 학지사, 1998
정문자 외 3명. (2018). 가족치료의 이해. 학지사.
김유숙. (2014). 가족치료 이론과 실제. 학지사.
김혜숙 2003 가족치료 이론과 기법, 학지사
유옥 2012 가족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동문사
네이버지식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