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노인복지법에서 정의한 노인은 만 65세로세 100세 노인연령 상향에 대하여 사회적으로 논의되고 있다.현재의 노인인구와 노인에게 지급되는 여러가지 복지정책들을 조사하여 기술하고, 노인의 기준 연령에 대하여 상향 조정이 필요한지에 대한 사회적인 논의와 나의 의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기술하시기 바랍니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급격한 고령화와 노인 연령 기준 변화 필요성
1.2. 노인복지법과 사회적 논의의 차이
1.3. 연구 목적
2. 본론
2.1. 노인복지법에서 정의한 노인 연령
2.1.1. 노인복지법의 노인 정의 및 규정
2.1.2. 노인 연령 기준 관련 법적 조항
2.2. 사회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노인 연령
2.2.1. 노인 연령 기준 상향 논의의 배경
2.2.2. 주요 쟁점과 사회적 주장
2.3. 노인 연령 기준 변경에 대한 의견
2.3.1. 저소득층 노인의 생존권 보장 필요성
2.3.2. 노인 취업 및 재취업의 어려움
2.3.3. 노인 의견 수렴의 필요성
3. 결론
3.1. 종합적 검토 및 시사점
3.2. 향후 과제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급격한 고령화와 노인 연령 기준 변화 필요성
우리나라는 급격한 고령화를 경험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 비율은 2022년 16.5%로, 이에 따라 사회적으로 노인 연령 기준 변화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급격한 고령화는 다음과 같은 요인들로 인해 나타나고 있다.
첫째, 빠른 속도의 인구 고령화이다. 우리나라는 고령사회(65세 이상 인구 비율 14% 이상)에 2017년 진입했고, 초고령사회(65세 이상 인구 비율 20% 이상)에 2025년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선진국의 고령화 속도에 비해 매우 빠른 것으로, 2017년 기준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13.8%로 OECD 평균 16.9%보다 낮지만 고령화 속도가 매우 빨라 향후 10년 내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기대수명 연장에 따른 고령인구 증가이다. 우리나라 국민의 기대수명은 2019년 기준 82.7세로, 2000년 76.0세에서 약 6.7년 증가하였다. 특히 여성의 기대수명은 85.5세로 매우 높은 편이다. 이처럼 기대수명 연장으로 인해 고령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셋째, 저출산에 따른 생산가능인구 감소이다.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1970년 4.53명에서 지속적으로 하락하여 2021년에는 0.81명으로 매우 낮은 수준이다. 이에 따라 생산가능인구(15~64세)의 감소가 이어지고 있어 고령화 속도가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요인들로 인해 우리나라의 급격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노인 연령 기준 변화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한 실정이다. 과거 노인이라 여겨졌던 65세 기준이 현재에는 노인으로 보기 어려운 상황이며, 노인 인구 비율 증가에 따른 복지 수요 증가와 생산가능인구 감소 등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급격한 고령화 추세와 변화된 사회적 환경을 고려하여 노인 연령 기준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1.2. 노인복지법과 사회적 논의의 차이
노인복지법과 사회적 논의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노인복지법에서는 노인의 연령을 65세 이상으로 정의하고 있다. 하지만 사회적으로는 노인 연령을 70세 이상으로 상향해야 한다는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이는 급격한 고령화와 함께 평균 수명이 연장되면서 65세로 정의되던 기존의 노인 연령기준이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건강상태와 경제활동 능력이 양호한 60대 후반 고령자들이 증가하면서 이들에 대한 노인복지 적용이 적절하지 않다는 의견들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사회적으로는 노인 연령기준을 70세 이상으로 상향하고, 이에 따른 복지정책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법적인 기준인 노인복지법상의 노인 기준은 여전히 65세로 유지되고 있어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1.3. 연구 목적
연구 목적은 노인복지법에서 정의한 노인과 사회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노인에 대한 연령을 비교·분석하고, 노인 연령 기준 변경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는 것이다. 노인복지법에서는 65세 이상을 노인으로 정의하고 있지만, 최근 들어 평균 수명 증가와 노인들의 건강 및 활동 증진 등으로 인해 노인 연령 기준을 70세 이상으로 상향해야 한다는 사회적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
참고 자료
이영미, 노인복지론, 학지사, 2022
노기남 외, 사회복지법제와 실천, 동문사, 2021
최승원, 사회복지법제와 실천, 학지사, 2022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law.go.kr)
노인연령 상향 조정이 필요한 이유 (이상이, 2020)
사회복지법제와실천 (김수정, 2019)
김형익(2013), 노인의 경제·사회적 특성에 따른 노인 연령기준에 대한 연구, 호서대학교 문화복지상담대학원 석사 논문.
해럴드경제, 정세희, [노인연령 상향, 과제는①]“65세면 한창이라구요? 일자리도 없는데” 노인들 하소연,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90705000368, 2019.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