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화재 개요
1.1. 화재의 정의
화재란 사람의 의도에 반하여 발생, 확대되는 것 또는 방화로 발생하여 소화를 필요로 하는 연소현상이다. 이 중 '사람의 의도에 반한다.'는 것은 과실(실화, 자연발화 등)을, '고의에 의한다.'는 것은 방화를 의미한다. 또한, 소화할 때는 소화시설 또는 이와 같은 정도의 효과가 있는 것을 이용해야 하는 것, 자산가치의 손실이 없고 자연 소화될 것이 확실하여 소화할 필요가 없거나 소화의 필요성이 있다 하더라도 소화시설이나 소화 장비 또는 간이소화 용구 등을 활용하여 진화할 필요가 없는 것은 화재로 볼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1.2. 화재의 분류
화재의 분류는 가연물에 따른 분류로 일반화재(A급화재), 유류화재(B급화재), 전기화재(C급화재), 금속화재(D급화재)로 나뉜다.
일반화재는 일반적인 가연물인 나무, 종이, 섬유류, 고분자물질 등에 의한 화재로 발생 빈도 및 피해액이 가장 크다. 분류색상은 흰색이며 소화방법으로 물을 사용하여 냉각소화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화재 후에는 일반적으로 재가 남는다.
유류화재는 황색으로 표시하며 주요 원인물질은 4류 위험물인 가연성 액체와 가연성가스에 의한 화재를 말한다. 유류화재는 일반화재보다 연소성이 좋고 화재의 위험성이 크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다. 소화방법으로는 공기를 차단해 질식소화하는 방법으로 포 소화약제를 이용하거나 할로겐화합물, 이산화탄소, 분말소화약제 등을 사용한다. 유류화재의 특징으로는 불씨에 의해 화재 후에는 재가 남지 않는다.
전기화재는 청색으로 표시하며 전기 스파크, 과전류, 단락, 누전 등으로 전기에너지가 불로 전이되는 것이다. 소화방법으로는 질식소화로 이산화탄소, 할로겐화합물소화약제, 분말소화약제를 사용하는 것이 화재에 효과적이다.
마지막으로 금속화재는 가연성 금속인 Na, K, Al, Zn, Mg, Fe 등 금속물질에 의한 화재로 금속분의 경우 폭발을 동반하기도 한다. 소화방법으로는 팽창질석, 팽창진주암, 마른 모래 등을 사용하며 금속화재는 무색으로 나타낸다.
이처럼 화재의 분류는 가연물의 성질에 따라 크게 네 가지로 나뉘며, 각각의 화재에 따라 적절한 소화방법을 사용해야 화재를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있다.""
1.3. 연소의 정의 및 기본 원리
연소는 가연물질과 산소가 화합하여 열과 빛을 방출하는 화학반응이다. 가연물질이 산소와 반응하여 발열반응이 일어나면서 연소가 시작되는데, 이 때 열이 발생하고 연소가 지속된다. 연소의 기본적인 세 요소는 가연물, 산소공급원, 점화원이다. 가연물은 산화되기 쉬운 금속이나 비금속, 유기화합물 등을 말하며, 열전도도가 낮고 발열량이 크며 활성화에너지가 작은 것이 좋은 가연물이다. 산소공급원에는 산소, 산화제, 자기반응성물질 등이 있다. 점화원은 화학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에너지원으로 전기, 고온, 마찰, 화학반응 등이 있다. 이 세 요소가 모두 갖추어져야 연소가 일어난다. 또한 연소가 진행되면서 열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되면 연쇄반응이 일어나 연소가 계속될 수 있다. 이처럼 연소는 화학반응에 의해 열과 빛을 방출하는 현상으로, 가연물질과 산소, 점화원의 세 요소가 필요하며 연쇄반응이 일어나면서 연소가 지속된다.
1.4. 자연발화 및 준자연발화
자연발화는 외부에서 열을 가하지 않아도 가연물이 공기 중 또는 상온에서 자연적으로 발열되고 그 열이 장시간 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