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우울증 환자의 간호 과정
1.1. 환자와의 첫 만남
'환자와의 첫 만남'은 우울증 환자 간호 과정의 중요한 첫 단계라고 할 수 있다. 간호사는 환자와의 첫 만남에서 환자의 증상과 상황을 파악하고, 신뢰관계를 형성하여 치료적 의사소통을 시작할 수 있다.
먼저 간호사는 환자의 병실에 들어가 환자를 안전하고 편안한 분위기에서 만난다. 간호사는 환자의 반응을 주시하며, 눈 맞춤과 부드러운 목소리로 자신을 소개하고 환자의 상태를 묻는다. 이를 통해 환자와의 신뢰감을 형성하고자 한다.
환자는 초반 침묵을 유지하거나 무뚝뚝한 반응을 보일 수 있다. 이때 간호사는 개방형 질문을 통해 환자의 마음을 이해하려 노력한다. 예를 들어 "최근에 기분이 어떠신지", "힘든 일이 있었나요?" 등의 질문으로 환자의 상황을 파악한다.
환자가 힘들어하는 증상을 토로하면, 간호사는 이를 경청하고 공감하는 태도로 수용한다. 환자의 이야기를 반복하여 재진술함으로써 환자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돕는다.
동시에 간호사는 환자의 건강한 측면을 격려한다. 예를 들어 "예전에 책 읽는 것을 좋아하셨다니 좋네요. 다시 읽어보고 싶은 생각이 드시나요?"와 같이 환자의 긍정적인 부분을 이끌어낸다. 이를 통해 환자의 자존감과 의지를 북돋울 수 있다.
이처럼 간호사는 환자와의 첫 만남에서 신뢰관계를 형성하고, 환자의 상황을 이해하며, 긍정적인 관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이는 이후 치료적 의사소통과 간호중재로 이어질 수 있는 기반이 된다.
1.2. 활동치료 제안 및 실행
활동치료 제안 및 실행은 우울증 환자의 간호 과정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간호사B는 환자OOO에게 병원에서 진행하는 그림 그리기 활동에 대해 제안한다. OOO는 그림 그리는 것을 예전에 좋아했으나 최근에는 집중이 잘 되지 않는다고 하였다. 그러나 B 간호사의 권유로 OOO는 그림 그리기 활동에 참여하게 된다.
활동실에서 OOO는 처음에는 조심스럽게 그림을 그리기 시작하였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B 간호사는 OOO의 그림이 예쁘다고 칭찬하며 격려하였고, 앞으로도 자주 그림 그리러 오라고 말하였다. 그림 그리기 활동이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이처럼 B 간호사는 OOO의 과거 취미 활동을 토대로 그림 그리기 활동을 제안하였고, OOO가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활동 중 OOO의 긍정적인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OOO의 기분 전환과 회복에 도움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활동치료 제안 및 실행은 우울증 환자의 간호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1.3. 환자와의 피드백 나누기
환자와의 피드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