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각 나라별 죽음 준비 교육"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죽음준비 교육의 내용과 활동
1.1. 죽음준비 교육 내용
1.1.1. 대학부설 기관
1.1.2. 종교단체
1.1.3. 사회복지단체 등
1.2. 죽음준비 교육 활동
1.2.1. 유언서 작성
1.2.2.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2. 국내외 호스피스 정책 변화 비교
2.1. 한국의 호스피스 정책 변화
2.2. 대만의 호스피스 정책 변화
2.3. 영국의 호스피스 정책 변화
2.4. 일본의 호스피스 정책 변화
2.5. 미국의 호스피스 정책 변화
3. 우리나라의 호스피스간호 현황 및 향후 전망
3.1. 우리나라 호스피스 간호의 현황
3.2. 호스피스 전문간호사의 역할
3.3. 호스피스 향후 전망
4. 호스피스 관련 다큐멘터리 「엔드게임: 생이 끝나갈 때」를 보고 느낀 점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죽음준비 교육의 내용과 활동
1.1. 죽음준비 교육 내용
1.1.1. 대학부설 기관
대학부설 기관에서는 대부분 교양과목, 사회복지관련 학과, 평생교육원에서 죽음준비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서강대학교에서 1978년 '죽음에 관한 강의'가 교양 강좌로 개설된 이래 현재까지 이루어지고 있다. 대학에서의 프로그램은 죽음에 대한 이해에서 시작하여 종교적 관점에서의 죽음, 호스피스 교육, 심리 및 감정 치료, 사자와 생자를 대상으로 하는 이별 및 극복방법 등을 다루고 있다.
1.1.2. 종교단체
종교단체에서는 각 종교적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교육과 동시에 종교의 교리도 전달하고 있다. 주로 기독교와 불교단체에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봉은사'는 총 10회의 강의를 통해 웰다잉 체험교실을 진행하고 있으며, 기독교가정사역연구소의 '천국준비교실'에서는 과거의 삶을 돌아보며 유언서를 작성하거나, 가족 용서하기, 유산 정리하기, 장기기증, 영정사진 찍기 등의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모든 과정은 성경공부와 함께 진행되고 있다.
1.1.3. 사회복지단체 등
사회복지단체 등에서는 죽음준비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참과 죽음을 생각하는 회'는 1991년 3월 발족하여 죽음의 철학, 죽음준비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강연회, 세미나 등을 개최하고 죽음준비교육 지도자 과정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아름다운 계단'에서는 '아름다운 이별학교 프로그램을 통해 죽음 바라보기, 유산과 세금 이야기, 법이 지켜주는 유언장 이야기 등 죽음준비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복지단체들은 죽음에 대한 이해와 준비를 돕고, 죽음준비와 관련된 지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2. 죽음준비 교육 활동
1.2.1. 유언서 작성
유언서 작성은 반드시 죽음이 임박한 시점에 작성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건강할 때 작성하는 것이 좋다"이다. 유언서를 작성하는 것은 지금까지의 삶에 대해 돌아보고 남은 인생의 방향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유언장 작성을 통해 가족들이 겪을 수 있는 상속 관련 갈등을 해결할 수 있다"이다. 유언장이 법적 효력을 얻기 위해서는 민법 제1066조에 따라 내용, 작성날짜, 작성인의 주소, 작성인 성명, 날인이 포함되어야 한다"이다.
1.2.2.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은 죽음에 임박한 상황을 대비하여 생명의 연장 및 특정치료 여부에 대해 자신의 의사를 서면으로 미리 표시하는 공적문서이다. 사전의료의향서는 개인이 자신의 의료행위에 대한 의사결정이나 희망을 나타내는 것이 불가능할 때를 대비하여 자신이 원하거나 원하지 않는 의료행위에 대해 문서화한 것이다. 이 문서는 무의미한 연명의료와 관련된 수많은 갈등과 문제에 대한 최선의 해결책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2010년부터 여러 단체를 중심으로 사전의료의향서 관련 교육 및 세미나가 개최되고 사전의료의향서 쓰기 운동이 진행되고 있다. 사전의료의향서 실천모임을 통해 사전의료의향서를 작성한 사람의 숫자는 2만여 명에 달한다. 사전의료의향서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죽음을 어떤 모습으로 맞을지에 대해 미리 생각하고 준비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 이를 미리 작성해 두면 훗날 죽음에 임박했을 때 본인은 물론 담당 의사 및 가족들에게 크게 도움이 될 수 있다. 삶의 마지막 단계에서 자신의 고통을 경감시키고 가족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연명의료에 대한 가치관을 분명히 함으로써 자기결정권을 실현할 수 있다. 사전의료의향서는 환자가 본인의 의지에 따라 생을 마감하는 방법을 결정하는 권리를 제도적으로 보장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
2. 국내외 호스피스 정책 변화 비교
2.1. 한국의 호스피스 정책 변화
한국의 호스피스 정책 변화는 다음과 같다. 1964년에 한국에 진출한 호주의 "마리아의 작은 자매회" 수녀들이 1965년에 강릉에서 가정 호스피스로 시작한 '갈바리 의원'이 한국 호스피스의 효시로 알려져 있다. 이 시기는 호스피스의 종주국으로 알려져 있는 영국이나 호주 뉴질랜드에서 호스피스가 처음 시작된 시기와 일치하고 전세계적으로도 거의 최초에 시작한 것이 되나, 당시 한국의 사회경제적 상황이 한국전쟁의 잿더미에서 경제를 일으키는 데에 어려움을 겪던 시기여서 자체적으로 호스피스를 시작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이로 인해 1980년대 초에 한국인들의 노력으로 호스피스 운동이 주창되기까지 오래동안 동면을 하게 되었다. 1981년 가톨릭의과대학 성모병원 내과에 부임한 이경식교수가 호스피스의 필요성에 대하여 주창하여 당시 성모병원에서 가톨릭의과대학 및 간호대학 학생들과 간호사, 수녀들의 호응으로 호스피스 연구모임을 시작하였고, 이 모임이 순수 한국인의 손으로 시작된 호스피스의 효시로 알려지고 있다. 1988년에는 강남성모병원에 한국 최초로 14병상의 호스피스병동이 설립되어 활동을 시작하였고, 이어서 가톨릭의과대학 부속병원에는 유행처럼 호스피스과가 설립되었다. 1990년에는 개신교 신자들이 주축이 된 한국호스피스협회가, 그 다음 해인 1991년에는 가톨릭 신자들이 주축이 된 한국 가톨릭 호스피스협회가 창립되어 민간의 호스피스 운동은 종교를 중심으로 나뉘어 활동하면서 때로는 경쟁하고 때로는 협력하는 가운데 발전을 거듭하게 되었다. 1995년에는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에 ...
참고 자료
노년기 의미와 즐거움 : 에릭슨 저 / 한성열 역 / 2000 / 학지사
성인발달과 노화 : 정옥분 저 / 2001 / 교육과학사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노인상담 / 이호선 저 / 학지사 / 2012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노인을 위한 시장은 없다 / 조지프 F. 코글린 저 / 부키 / 2019
노인문제와 노인복지 / 허정무 저 / 협신사 / 2005
노인복지론 : 권중돈 저 / 학지사 / 2016
노인 정신건강과 노인상담 / 홍주연 역 / 학지사 2016
노인교육론 / 임구원 저 / 지식공동체 / 2020
https://synapse.koreamed.org/upload/SynapseData/PDFData/0119jkma/jkma-51-509.pdf - 한국
https://blog.naver.com/63252114/222118327026 - 죽음 준비 교육
http://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008/2/%EB%8C%80%EB%A7%8C%EC%9D%98%20%ED%98%B8%EC%8A%A4%ED%94%BC%EC%8A%A4%28Hospice%29%20%EC%88%98%EA%B0%80%EC%A0%9C%EB%8F%84.pdf - 대만 호스피스
http://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1763/2/%ec%9d%bc%eb%b3%b8%ec%9d%98%20%ec%b5%9c%ea%b7%bc%20%ec%99%84%ed%99%94%ec%bc%80%ec%96%b4%20%ec%a0%95%ec%b1%85%20%eb%b0%a9%ed%96%a5.pdf - 일본 호스피스 (완화케어)
http://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473/2/%EC%98%81%EA%B5%AD%EC%9D%98%20%EC%83%9D%EC%95%A0%EB%A7%90%EA%B8%B0%EB%8F%8C%EB%B4%84%28End%20of%20Life%20Care%29%EC%A0%9C%EB%8F%84.pdf - 영국 호스피스
https://scienceon.kisti.re.kr/commons/util/originalView.do?cn=JAKO*************98&oCn=JAKO*************98&dbt=JAKO&journal=NJOU00291513 - 미국 호스피스
https://blog.naver.com/63252114/222118327026 - 미국,영국,독일,대만,일본의 죽음준비 교육
호스피스 전문간호사의 역할 권소희. 호스피스=Hospice no.44 , 2009년, pp.3 - 6
호스피스완화의료 홈페이지. 현황 및 통계 중 말기암환자 입원형 호스피스 전문기관 지정 현황 참조. 2019년 기준
노인 사망 1개월 전 의료비, 26개월 전보다 6.8배 증가. 메디컬투데이. 2015.2.19.일자
피할 수 없는 ‘인력난ㆍ지역불균형’-간호사 ‘수도권’쏠림 가속화...지방호스피스병동 ‘기능 마비’우려- 헬스코리아뉴스. 2018.3.13.
국립암센터. 2017 호스피스ㆍ완화의료 현황.
미국 52.0%, 캐나다 40.8%, 영국 46.6%, 대만 39.0%(부족한 호스피스 병상...아쉬운 임종, 결국은 시스템ㆍ인력문제. 서울신문. 2019.3.11.일자)
호스피스ㆍ완화의료서비스 제도개선 방안.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2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