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취업 준비와 자기소개서 작성
1.1. 잘못된 취업 준비의 원인
잘못된 취업 준비의 원인은 첫째, 지원자 스스로가 정말 취업을 원하는지 확실하지 않은 경우이다. 자신이 정말 하고 싶은 일을 하며 성공적으로 취업하고자 하는 의지가 부족하다면 취업 준비에 대한 동기부여가 낮아질 수밖에 없다. 둘째, 지원자 스스로를 너무 잘 모르는 경우이다. 특히 고스펙 지원자의 경우 자신의 역량과 강점, 약점 등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셋째, 직무, 회사, 채용 시스템에 대해 잘 모르는 경우이다. 취업 컨설턴트나 인사 부문의 경험이 없는 경우 채용 과정과 기업의 니즈를 제대로 파악하기 어려워 성공적인 취업이 어려워질 수 있다. 따라서 지원자 스스로가 정말 취업을 원하는지, 자신에 대해 얼마나 잘 알고 있는지, 그리고 직무와 기업, 채용 시스템에 대해 충분한 이해를 가지고 있는지를 점검해볼 필요가 있다.
1.2. 채용 팀장의 관점에서 바라본 취업 준비
채용 팀장의 관점에서 바라본 취업 준비는 지원자의 취업 준비 자세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한다. 채용 팀장들은 지원자들이 기업과 직무에 대한 이해의 폭과 깊이가 얼마나 오랫동안 일할 수 있는 인재인지의 척도로 여기고 있다""
채용 팀장들은 지원자가 정말 그 직무와 기업을 원하는지, 자신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는지, 그리고 채용 시스템과 직무, 회사에 대해 충분히 파악하고 있는지를 중요하게 여긴다""
즉, 지원자가 기업의 인재상과 직무역량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지원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따라서 채용 팀장들은 이러한 지원자들에게 "누구를, 무엇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라는 관점에서 접근한다""
먼저 "누구를 뽑을 것인가"에 대해서는 비즈니스에 기여할 수 있고 지속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인재를 선발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긴다. 즉, 단순히 인성만이 아니라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능력과 함께 장기간 근무할 수 있는 인재상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다음으로 "무엇을 평가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서류전형, 인성면접, PT면접 등 다양한 평가 방식을 활용하여 지원자의 기업과 직무에 대한 이해도와 역량을 확인한다. 특히 자기소개서 평가 시 지원자의 인재상과 직무역량에 부합하는지를 중점적으로 평가한다""
마지막으로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행동기반 구조화 면접(BBSI)과 상황-행동-결과(BAR) 구조를 활용하여 지원자의 경험 사례를 토대로 역량을 평가한다. 즉, 단순한 이력서 스크리닝이 아닌 지원자의 실제 경험과 행동을 통해 역량을 종합적으로 판단한다""
이처럼 채용 팀장의 관점에서 바라본 취업 준비란 기업과 직무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자신의 경험과 역량을 체계적으로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1.3. 자기소개서 작성 프로세스
1.3.1. 고객 분석
고객 분석은 자기소개서 작성에 있어 가장 중요한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자기소개서를 작성할 때는 평가자인 채용 팀장의 입장을 이해하고 그들의 관심사와 평가 기준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기업들은 요즘 대부분 '구조적 평가'나 '구조화 면접'을 하고 있는데, 이를 위해 채용팀에서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분석과 모델링을 통해 평가 기준과 평가 항목을 만들고 평가에 적절한 방법론을 연구하여 적용하고 있다. 따라서 자기소개서를 작성할 때는 채용 팀장의 관점에서 생각해 보고, 그들이 궁금해 할 만한 내용을 중심으로 작성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고객 분석에는 기업 비즈니스 분석, 기업 문화 이해, 인재상 분석 등이 포함된다. 먼저 지원하고자 하는 기업의 주요 비즈니스 영역, 재무 현황, 경쟁 구도, 시장/산업 추세 등을 분석하여 기업의 비즈니스 현황을 이해해야 한다. 이를 통해 지원 동기와 향후 포부 등을 기술할 때 기업의 산업 분야와 시장 변화 추세를 연계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기업의 문화와 인재상을 파악해야 한다. 기업의 인재상에는 기업이 선호하는 인재의 역량, 자질, 가치관 등이 반영되어 있다. 따라서 지원하고자 하는 기업의 인재상을 분석하고 이에 부합하는 자신의 경험과 역량을 잘 드러내야 한다.
이처럼 고객 분석을 통해 채용 팀장의 관점에서 자신의 강점을 잘 드러낼 수 있는 방향으로 자기소개서를 작성할 수 있다. 채용 팀장이 원하는 인재상과 역량을 파악하고 이를 자신의 경험과 장점으로 효과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어야 한다.
1.3.2. 자기 분석
자기 분석은 자신의 장단점, 관심사, 가치관 등을 깊이 있게 탐색하여 자신을 이해하는 과정이다. 자기 분석을 통해 자신의 강점과 약점, 잠재력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취업을 준비할 수 있다.
먼저 좋아하는 일과 잘하는 일을 구분해 파악한다. 좋아하는 일은 내적 동기를 자극하여 열정적으로 몰두할 수 있게 만들지만, 잘하는 일은 실제로 업무 수행에서 강점이 될 수 있다. 이 둘을 잘 결합하여 자신이 가장 만족스럽게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