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20세기 후반부터 21세기 초에 이르기까지 주로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고령화 사회로 변화가 빠르게 나타나고 있으며, 노령인구의 음성장애가 증가하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노령인구가 많은 일본 국가의 경우, 2030년에 노령인구가 전체인구 중에서 30퍼센트를 넘어설 것이라는 통계가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노령인구의 약 20퍼센트에서 29퍼센트에 이르는 높은 음성장애 발생빈도를 보고하고 있고, 상당수가 자연적 노화에 따른 불편으로 여기고 있기에 15퍼센트에서 20퍼센트만이 음성장애를 치료받고 있다. 노령인구가 보이는 음성장애는 그들의 사회적인 기능과 삶의 질에 있어서 저하를 야기하기에 계속해서 증가하는 노령인구의 음성장애에 대한 중재와 치료는 언어치료사들에게 있어서 앞으로도 더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2. 음성장애의 개요
2.1. 음성장애의 정의
음성은 "폐에서 나온 기류가 후두(성대)와 성도를 거치면서 만들어지는 소리"이다. 성대에서 산출이 된 발성이 성도의 증폭작용인 공명에 의해 만들어진 목소리인 것이다. 이의 매개변수에는 유동성, 음질, 강도, 음도가 있는데 이에 장애가 있는 것을 음성장애라고 한다. 음성장애는 다시 말해, 정상음성("음성의 매개변수가 성, 연령, 체구, 문화적 환경에 적합한 음성")의 범위에서 벗어나서 목소리에 이상이 있는 상태를 말한다."
2.2. 음성장애의 원인 및 유형
음성장애의 원인 및 유형은 다음과 같다.
음성장애는 크게 신경학적, 기능적, 기질적 원인으로 나뉜다. 신경학적 원인의 경우 뇌성마비, 파킨슨병과 같은 신경학적 질환으로 인해 발생하며, 성대마비, 연축성 발성장애 등이 이에 해당한다. 기능적 원인은 과도한 성대 긴장이나 오용, 남용 등으로 인한 근육 긴장과 관련이 있으며, 이로 인해 성대결절, 성대 폴립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기질적 원인은 신체적인 구조적 문제에 의한 것으로, 선천성 기형, 수술이나 외상으로 인한 성대 및 후두 구조의 변형 등이 여기에 속한다.
또한 음성장애는 과소기능적 음성장애와 과다기능적 음성장애로 나뉠 수 있다. 과소기능적 음성장애는 노인성 음성장애나 성대마비 등과 같이 성대의 움직임이나 긴장의 문제로 성대 접촉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이다. 반면 과다기능적 음성장애는 성대결절, 연축성 발성장애 등과 같이 성대의 과도한 남용 및 오용 또는 발성 시 후두의 과도한 긴장으로 인해 발생한다.
이처럼 음성장애는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유형 또한 매우 다양하다. 따라서 음성장애 환자를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해서는 그 원인과 유형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3. 노인성 음성장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