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흡수분광법과 beer법칙"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실험 목적 및 이론
1.1. 실험 목적
1.2. 흡수 분광법의 정의
1.3. 흡광도
1.4. Beer-Lambert 법칙
1.5. UV-VIS 흡수 분광법
1.6. 전이 금속 착물의 전자 전이 스펙트럼
1.7. 결정장 이론
2. 시료와 실험 장비
2.1. 실험 재료
2.2. UV-VIS 분광 광도계
3. 실험 과정
3.1. 시약 용액 제조
3.2. UV-VIS 분광광도계 사용
4. 실험 결과 및 토의
4.1. 착물의 흡수 스펙트럼
4.2. 착물의 최대 흡수 파장과 흡수 에너지
4.3. 착물의 색과 흡광도의 관계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실험 목적 및 이론
1.1. 실험 목적
실험 목적은 빛의 투과성, 흡수성, 산란성 등을 이용하여 육안으로 관측할 수 없는 여러 가지 물질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것이다. 이 실험에서는 염화코발트가 흡수하는 빛의 영역을 확인한 후, 용액의 농도와 흡광도 간의 상관관계를 결정하는 것이다.
1.2. 흡수 분광법의 정의
흡수 분광법은 연속적인 복사선이 투명한 물질을 통과할 때, 복사선의 일부가 흡수되는 현상을 측정하여 물질에 대한 정보를 얻는 방법이다. 즉, 투과하는 복사선과 흡수되는 복사선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시료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이렇게 얻어낸 흡수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흡광도와 같은 물질의 특성을 측정하는 것을 흡수 분광법, 또는 분광 광도법이라고 한다.
1.3. 흡광도
흡광도란 어떤 물질이 빛을 흡수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흡광도는 시료를 통과하기 전의 빛의 세기와 시료에서 일정한 양의 빛이 흡수된 후 통과된 빛의 세기의 비로 나타내어진다.
투과도(T)는 시료를 통과하기 전 빛의 세기(I0)와 시료를 통과한 후 빛의 세기(I)의 비율로 정의된다. 즉, T = I/I0이다. 이때, 흡광도(A)는 -log(T)로 정의된다. 따라서 흡광도는 log(I0/I)로 나타낼 수 있다.
흡광도는 시료의 농도와 비례하며, 이는 Beer-Lambert 법칙으로 설명된다. Beer-Lambert 법칙은 흡광도(A)가 몰 흡광 계수(ε), 시료의 농도(c), 그리고 빛의 통로 길이(b)에 비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A = εbc이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흡광도는 물질의 특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다. 특정 물질의 농도나 농도 변화를 알아내기 위해서는 흡광도를 측정하고 이를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물질의 성질 및 구조 등을 파악하기 위해서도 흡광도 측정이 활용될 수 있다.
1.4. Beer-Lambert 법칙
Beer-Lambert 법칙이란 빛이 어떤 물질을 통과할 때 그 물질에 의해 흡수되는 정도가 그 물질의 농도와 두께에 비례한다는 법칙이다. 흡광도(A)는 물질의 농도(c)와 두께(b)에 비례한다는 관계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A = ε·b·c
여기서 ε은 물질의 몰 흡광 계수로, 물질의 종류에 따라 고유한 값을 가진다. 즉, Beer-Lambert 법칙에 따르면 어떤 물질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빛이 통과하는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그 물질의 흡광도가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법칙은 분광 광도법을 이용한 정량 분석에 매우 중요한 이론적 기반이 된다. 분석하고자 하는 물질의 농도와 흡광도 사이의 직선적 관계를 이용하여 미지 시료의 농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Beer-Lambert 법칙은 이상적인 조건에서 성립하며, 실제 측정에서는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이 관계가 벗어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용액의 농도가 높은 경우, 분자 간 상호작용으로 인해 흡광도와 농도 사이의 선형성이 깨질 수 있다. 또한 측정 파장이 최대 흡수 파장에서 벗어나거나 시료 용액에 산란 입자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Beer-Lambert 법칙이 성립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Beer-Lambert 법칙을 적용할 때는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실험 조건을 최적화하고, 측정 결과의 정확성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1.5. UV-VIS 흡수 분광법
UV-VIS 흡수 분광법은 분석하려는 물질에 자외선(UV)에서 가시광선(VIS) 영역의 파장 190 nm ~ 800 nm 사이의 전자기 스펙트럼 영역의 일부를 투과시켜 분석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빛의 투과성, 흡수성, 산란성을 이용하여 육안으로 관찰할 수 없는 여러 가지 물질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UV-VIS 분광법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물질이 자외선과 가시광선 ...
참고 자료
최신 식물생리학/ 권영명/ 아카데미서적/ 2003.08.18./ p.143
최신 환경화학/ 안승저/ 동화기술교역/ 2001.08.10./ p.226
바이오의 광학/ 범희승/ 전남대학교출판부/ 2008.01.20./ p.76
분석화학, 김강진, 자유아카데미, 2003, p.235
INTBODUCTION to SPECTROSCOPY, PAVIA, 2008, p.309
UV-vis 및 원자함수 분광법 분석법, 우용출판사, 최주환, 2003, p.150
파비아의 분광학 강의 / Donald L. Pavia 외 3 / CENGAGE / P. 589~593
분석화학(6판) / Gary D. Christian / 자유아카데미 / P. 545~549
기기분석(7판) / James W. Robinson 외 2 / 자유아카데미 / P, 62~66
무기화학(7판) / Weller 외 3 / 자유아카데미 / P. 241~246, 403~406
무기화학(4판) / James E. Huheey 외 3 / 자유아카데미 / P. 375~376, 379~3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