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현재 실습을 하고 있는 OOO에는 보통 폐와 뇌, 관절에 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이 대부분이다. 특히 뇌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은 의식도 흐릿하고, 혼자서는 할 수 있는 것이 아무것도 없기 때문에 간호사선생님들은 많은 관심을 쏟고 간호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외상성 경막하 출혈, 혈종은 머리에 대한 직접적인 출격으로 뇌와 경막 사이의 혈관이 파열되어 발생하는데, 노인의 경우는 낙상인 사례가 흔하였고 케이스의 대상자도 낙상으로 인해 SDH진단을 받았기 때문에 더 고찰해 보고자 선정하였다.
1.2. 연구의 의의
외상성 경막하 출혈은 강한 외부충격으로 인해 뇌를 둘러싸고 있는 경막 안쪽 뇌혈관이 터지면서 뇌와 뇌의 바깥쪽 경막 사이에 고이게 되는 것이다. 경막하 혈종은 뇌를 압박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긴급한 상황이며 조치가 늦을 시 사망에 이를 수 있고, 외상성 뇌손상의 30%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높다. 따라서 뇌질환에서 빼놓지 않고 고찰해야 할 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
1.3.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외상성 경막하 출혈에 대한 증상과 이에 따른 간호, 그리고 치료 방법에 대해 숙지하여 환자를 간호하는데 있어 적절한 간호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2. 연구방법
본 연구는 기본적인 환자의 history를 바탕으로 환자의 정확한 사정을 위해 간호기록과 V/S, I/O, EMR, 신경계 사정, 카덱스, 투약현황, 처치현황, 혈액검사결과, UA결과, consult 내용 등 환자에 대한 전반적인 상태를 파악하여 환자에 대한 정확한 사정을 하고자 하였고, 사정내용을 바탕으로 전공서적을 통해 문헌고찰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추가적 세부사항은 대상자 관찰을 통해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들을 분석하여 이에 따른 간호과정을 진행하였다.
3. 문헌고찰
3.1. 뇌의 구조
대뇌는 뇌 전체 무게의 80%를 차지하며 세로열에 의해 우측과 좌측 두 개의 반구로 이루어져 있다"". 각 반구에는 3개의 면이 있는데, 상외측면, 내측면, 하측면이 그것이다"". 두 개의 반구는 회백질과 백질로 구분된다"". 회백질은 뇌의 외층인 피질을 형성하고 시상핵, 시상하부 그리고 기저신경절을 이룬다"".
전두엽은 중심구 앞쪽, 측열의 위쪽에 위치하며, 흥분은 연수에서 교차하여 반대 쪽 신체 움직임을 조절한다"". 전두연합영역은 고도의 지적기능을, 1차운동영역은 추체로를 통한 수의적 운동을, 전운동영역은 추체외로계를 통한 복잡하고 학습된 무의식 운동을, Broca운동영역은 성대 호흡과 혀와 입의 운동을 조절한다"".
두정엽은 특수감각을 제외한 신체 반대편의 감각을 받아들이고 신체, 공간을 인식한다"". 측두엽은 청각, 미각, 후각을 받아들이고 상호 연관 지어 의미를 판독한다"". 후두엽의 1차적 시각영역은 주로 색을 지각하고, 시각연합영역은 시간해석과 시각적 반사를 담당한다"".
간뇌는 대뇌피질 아래, 뇌간 위에 위치하며 항상성 조절을 한다"". 뇌간은 인식, 각성을 조절하는 망상활성계가 분포되어 있다"". 중뇌는 몸의 평형을 유지하고 안구운동, 동공반사를 하고 3,4 뇌신경이 시작된다"". 뇌교는 심장가속중추, 혈관수축중추, 호흡중추, 5,6,7 뇌신경이 시작된다"". 연수는 심장지연중추, 호흡중추, 연하와 구토중추, 딸꾹질중추, 9,10,11,12 뇌신경이 시작된다"".
변연계는 대뇌피질과 시상하부 사이의 경계부위에 위치하며 측두엽 안 깊숙이 위치한다"". 감정, 행동, 욕망 조절에 관여하고 해마가 존재하여 기억도 관여한다"". 기저신경절은 대뇌 반구 시상외측에 위치하며 회백질체, 미상핵, 피각, 렌즈핵, 편도체로 구성된다"". 추체외로계의 시발점으로 근육활동을 조절하고 통합한다"". 소뇌는 대뇌와 척수사이에 위치하며 골격근활동 조절, 자세 및 평형과 근육의 긴장유지, 무의식적 운동, 대뇌피질이 시행하지 못하는 정교한 운동에 관여한다"".
3.2. 정의
경막하 출혈이란 "뇌를 둘러싸고 있는 경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