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서론에 따르면 본 레포트는 그림심리검사인 HTP검사와 동적 가족화 검사(KFD)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이다. 이 두 가지 검사는 피검자의 내면 세계와 정서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대표적인 투사적 그림검사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어 이들의 심리를 이해하는 데 매우 유용한 도구로 인정받고 있다". 본 레포트에서는 이 두 가지 검사의 이론적 배경과 실시 방법, 그리고 검사 결과의 해석 방법 등에 대해 상세히 다루고자 한다"는 것이다.
2. HTP 그림심리검사
2.1. HTP 검사의 특징
HTP 그림심리검사는 1948년 벅(Buck)이 개발한 투사적 그림검사로, 1958년 햄머(Hammer)에 의해 크게 발전되었다는 특징이 있다. 사람에게 친밀한 주제인 '집', '나무', '사람'을 그리게 하여 개인의 무의식을 파악할 수 있으며, 수검자의 개인적 발달사와 관련 경험을 투사한다는 점에 기초한다. 따라서 HTP는 수검자의 무의식과 관련된 상징을 드러내어 풍부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모든 연령의 수검자에게 실시가 가능하며, 비언어적 방식이므로 문맹자에게도 적합하다. 수검자가 검사 의도를 알 수 없기 때문에 보다 솔직하고 자유롭게 반응하게 된다는 장점도 있다. 특히 집 그림은 가정생활이나 부부관계, 가족 간의 상호작용을, 나무-사람 그림은 대인관계, 타인에 대한 감정 등을 반영하며, 개인의 성격 특성과 방어, 성숙도 등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2.2. HTP 검사의 실시 방법
2.2.1. 그림 단계
그림 단계는 HTP 그림심리검사의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피검자가 집, 나무, 사람 등의 그림을 그리는 과정이다. 검사자는 A4 용지 정도의 백지, 연필, 지우개, 초시계를 준비하여 피검자에게 제공한다.
먼저 종이 한 장을 가로로 제시하면서 "집을 그리세요"라고 지시한다. 피검자가 집 그림을 모두 완성하면 다른 종이를 세로로 제시하며 "나무를 그리세요"라고 한다. 나무 그림이 완성되면 다음 종이를 세로로 제시하며 "사람을 그리세요. 단 사람을 그릴 때 막대 인물상이나 만화처럼 그리지 말고 전체를 그리세요"라고 지시한다.
이후 피검자가 사람 그림을 완성하면 다시 다른 종이를 세로로 제시하며 "그 사람과 반대되는 성을 그리세요"라고 요구한다. 이렇게 전체적으로 집-나무-사람-반대성 순으로 그림을 그리게 되며, 각 그림을 그리는 데 걸리는 시간도 기록한다.
검사자는 피검자가 그림을 그리는 과정에서의 태도와 행동, 그리고 그림의 구조적, 형식적 특징들을 관찰하고 기록한다. 이러한 관찰 결과와 함께 피검자가 그린 그림들은 HTP 검사 해석의 중요한 자료가 된다. ""
2.2.2. 질문 단계
질문 단계에서는 그림이 완성된 경우 수검자에게 그림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하도록 요구하며, 중요한 사항들에 대해 질문한다. 질문의 목적은 그림을 통해 표출되는 개인적 의미, 즉 수검자의 욕구나 갈등, 압박의 투사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인 질문 내용으로는 "이 그림은 누구의 집이니?", "무엇으로 만들어진 집이니?", "이 집에 누가 살고 있니?", "이 집을 보니 어떤 느낌이 드니?", "이 집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어떤 기분일까?", "앞으로 이 집은 어떻게 될까?" 등이다.
이후 나무 그림에 대해서도 "이 나무는 어떤 나무니?", "나무의 나이는?", "나무는 어디에 있니?", "나무는 죽었니, 살아있니?", "나무의 건강은?", "나무의 소원은?", "나중에 이 나무는 어떻게 될 것 같니?", "이 나무를 보니 누가 생각나니?" 등의 질문을 한다.
마지막으로 사람 그림에 대해서는 "이 사람은 누구니?", "이 사람은 몇 살?", "이 사람은 무엇을 하고 있니?", "이 사람은 어떤 생각을 하고 있니?",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