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 론
1.1. 한문학과 한문산문의 정의
한문학은 한국의 선조들이 한자를 표현의 수단으로 사용하여 만들고 향유했던 문학을 의미한다. 한문학은 구전문학과 기록문학으로 나뉠 수 있으며, 그중에서도 기록문학인 한문학은 한국 문학의 시작으로 볼 수 있다. 한국한문학은 실용문, 공용문, 시, 문장 등 다양한 문헌을 포괄하며 동아시아의 문학이 가진 보편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한민족의 민족정신과 고유한 문화 특성을 잘 보여준다. 한국한문학은 시, 산문, 문예문, 실용문 등 한국인이 한문으로 작성한 거의 모든 문헌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따라서 한문학은 우리 민족 문학의 중심이자 일부로 문학, 역사, 철학을 아우르는 넓은 범위를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1.2. 한국 한문산문의 중요성
한국 한문산문의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문산문은 한국 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한국은 한자 문화권에 속했기 때문에 한문이 중요한 표현 수단이었고, 특히 관리와 지식인들이 한문을 통해 작품을 창작했다. 따라서 한국 문학의 주요 흐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문산문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둘째, 한문산문에는 당대 지식인들의 사상과 가치관이 잘 반영되어 있다. 한문은 주로 유교, 도교, 불교 등 동양 사상을 표현하는 데 사용되었고, 한문산문을 통해 이러한 사상적 흐름을 엿볼 수 있다. 따라서 한문산문 연구는 한국 지식인의 사상사 이해에도 기여한다.
셋째, 한문산문은 한국 역사 기록의 중요한 자료원이다. 왕조실록, 비문, 문집 등 다양한 한문산문 자료를 통해 과거 역사 사건과 인물, 사회상 등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한문산문은 공식적인 기록물이었기 때문에 역사적 사실을 보여주는 중요한 1차 자료가 된다.
넷째, 한문산문은 한국 문화의 전통과 정체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창구이다. 한문을 통해 표현된 사상, 가치관, 미의식 등은 한국 고유의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다. 따라서 한문산문 연구는 한국 문화의 근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처럼 한국 한문산문은 문학사적, 사상사적, 역사적, 문화적 측면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한국 문화와 전통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문산문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2. 한국 한문산문의 갈래와 양식
2.1. 변려문
변려문(騈儷文)은 남북국 시대부터 고려 중반까지 한국에서 유행했던 한문산문의 한 갈래이다. 변려문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변려문에서는 대구를 많이 사용한다. 대구는 한문산문에 자주 등장하는 특징이지만, 특히 변려문에서는 대구의 사용이 두드러졌다. 둘째, 4자 또는 6자의 구를 많이 사용한다. 이 역시 한문으로 된 산문에서 자주 사용되는 방식이지만, 변려문에서는 이를 의식적으로 적용하려 노력하였다. 셋째, 평측(平仄)과 압운(押韻)을 중요하게 여겼다. 평측은 한문의 시나 부에서 음운의 높낮이를, 압운은 시행의 일정한 자리에 규칙적으로 운을 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음조의 아름다움을 중요시하였다. 다섯째, 전례와 고사의 사용을 중요하게 여겼다. 이와 같은 특성을 바탕으로 변려문은 화려한 미문의식을 추구하고자 하였다.
변려문은 '삼국사기' 속 표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신라 말기 최치원의 저술에서도 유려한 변려문체를 살펴볼 수 있다. 변려문의 전통은 신라에서 고려 중반까지 계속되었는데, 이는 신라 말기의 문풍이 고려 중반까지도 영향을 미쳤고 당시 학자들이 계속 활동했기 때문이다."
2.2. 당송고문
고려 중기에 접어들며 많은 학자들이 기존의 문선문학을 버리고 당송문학을 접하기 시작하였다. 특히나 한유, 소식, 구양수 등이 적극적으로 고문 운동을 펼치며 '당송고문' 문화가 주류로서 자리잡았다. 당나라 시기 이전에는 고문이 문체적인 의미를 지닌 표현으로서 사용되지 않았으나, 당나라 시기에 접어들며 당대에 유행하고 있던 조작적이며 수식이 많은 변체문과 다른 형태의 산문 체제를 독립적으로 유지하고자 했던 문체가 출현하였는데, 이러한 독립적 문체를 한문학에서는 보편적으로 '고문'이라고 부르게 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