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공연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공연예술계 행사 분석
1.1. 서론
1.2. 영국 국립극장
1.2.1. 영국 국립극단의 취지와 내용
1.2.2.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
1.3. 결론
2. 음악 영화 흥행 요인 분석
2.1. 서론
2.2. 음악 영화의 발전 과정
2.2.1. 초기 음악 영화의 등장
2.2.2. 뮤지컬 영화의 발전
2.2.3. 음악가 전기 영화의 등장
2.3. 국내 음악 영화 현황
2.3.1. 국내 역대 흥행 음악 영화
2.3.2. 국내 역대 흥행 음악 영화의 공통적 특징
2.4. 라라랜드와 보헤미안 랩소디를 통한 국내 흥행 요인 분석
2.4.1. 라라랜드의 국내 흥행 요인
2.4.2. 보헤미안 랩소디의 국내 흥행 요인
2.5. 결론
3. 타임워크 명동의 비평
3.1. 전시의 개괄
3.2. 작품의 비평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공연예술계 행사 분석
1.1. 서론
우리나라도 옛날부터 공연예술이 가진 그 역사가 뚜렷하지만, 산업 발달이 먼저 이루어진 해외로부터 현재는 많은 영향을 받은 것은 명백한 사실이다. 정식 무대를 세우고 관객에게 홍보를 하는 그 과정이 정립되는 데에는 해외 공연예술 산업을 참고한 바가 있다. 우리나라 자체적으로 공연예술을 발달하기 위한 노력은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부족한 부분이 있다. 바로 수도권으로 인구가 몰리는 현상이 지속되고 있음에 따라 여러 문화 중 특히 현장감을 중시하는 공연예술 산업은 그 문제점이 심각하다. 지방에 사는 소비자들을 끌어내기엔 역부족이다. 물론 경제적 효과에 대한 문제점은 없다. 수도권이 차지하고 있는 인구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기 때문이다. 하지만, 경제적 문제점이 없다는 이유로 지역 특성상 문화 경험이 어려운 점은 지역 불평등과 교육 불평등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해외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공연예술 산업을 참고하여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1.2. 영국 국립극장
1.2.1. 영국 국립극단의 취지와 내용
영국 국립극단은 대면 공연이 아닌 위성을 통해 대면으로 이루어진 공연을 전 세계의 영화관과 예술 센터로 방송하는 곳이다. 이를 통해 꼭 공연장을 찾지 않더라도 보고 싶었던 공연 예술을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영국 국립극단은 영국과 해외의 고전, 근대극을 현대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으며 영국을 대표하는 중견 현대 작가의 인기작을 기획하거나 현 사회를 반영하는 신작을 내보임으로써 동시대성을 잃지 않으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또한 절대 대관 공연을 하지 않고 예술감독이 직접 전 작품을 기획하고 제작해 예술적인 질 수준을 관리하고 있으며 작가들이 집필할 수 있는 제도를 수행하고 있다.
1.2.2.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
영국 국립극단의 'NT Live'는 대면 공연이 아닌 위성을 통해 대면으로 이루어진 공연을 전 세계의 영화관과 예술 센터로 방송하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 효과가 있다"". 즉, 관객들이 굳이 공연장에 가지 않더라도 원하는 공연을 관람할 수 있으므로, 시간과 장소의 제약을 극복하여 더 많은 관객이 공연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영국 국립극단은 장애인을 위한 자막과 환경 조성이 잘 되어 있어 불평등한 문화콘텐츠 산업을 많은 사람들이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주었다는 점에서도 긍정적이다"". 이는 다른 나라에도 영향을 미쳐 문화적 접근성 향상에 기여하였다"".
그러나 직접 현장에서 창작물을 촬영하는 등의 저작권을 침해하는 행동을 제지하기 어려워, 이를 몰래 녹화에 불법 유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는 점에서 부정적 효과도 있다"". 이러한 불법 유포 행위를 막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1.3. 결론
영국 국립극장의 사례를 살펴본 결과, 영국과 해외의 고전과 근대극을 현대화하는 노력과 함께 현 사회를 반영하는 신작을 선보임으로써 동시대적 관심사를 담아내고자 하는 시도가 돋보인다. 특히 NT Live를 통해 실황 중계를 하여 관객들이 직접 극장을 찾지 않아도 공연을 관람할 수 있게 한 것이 눈에 띄는 점이다. 이는 지역적으로 소외되어 공연 문화를 누리기 어려운 이들에게 기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다만 실황 중계에 따른 저작권 침해 문제가 부각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국립극단 역시 이와 유사한 노력을 펼치고 있으나, 아직 미흡한 부분이 많다. 향후 해외사례를 참고하여 소외 지역의 관객 유치와 온라인 공연 실황 중계 등의 방안을 모색하여, 보다 폭넓은 관객층을 확보하고 공연 예술의 불평등 해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 음악 영화 흥행 요인 분석
2.1. 서론
오늘날의 한국 사회에서 대중 예술과 대중문화는 더 이상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2018년 문화체육관광부의 문화 향수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민들의 문화예술행사 관람률은 처음으로 80% 이상을 돌파했다. 이 연구에서 주목할 부분은 바로 '어떤 분야의 행사를 얼마나 관람했는가' 이다. 뮤지컬, 연극, 전시회 등 다양한 문화행사 중에서 영화 관람이 차지하는 비중은 75%로 가히 압도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처럼 영화는 한국인의 대중 문화 향유 비율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KOBIS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의 통계에 따르면, 실제로 연간 영화 관람객 수는 해마다 증가하여 2012년부터는 연간 누적 관객수가 1억명 이상에 달하고 있으며, 영화 산업 역시 눈에 띌 만한 성장을 하고 있다. 영화는 로맨스, 액션, 공포 등 다양한...
참고 자료
김석영, 나는 누구인가 결코 보편적이지 않은 질문에 대하여 영국 국립극장 <<리어왕>>,2014,한국연국평론가협회
국립극단 NT 라이브 ‘제인 에어’, 3시간 20분의 마법
https://news.joins.com/article/21313283
셰익스피어 고전 2편, 국립극장 ‘NT 라이브’로 즐긴다
https://www.nocutnews.co.kr/news/5512608
김희석, ‘공연 실황중계’ 모델과 비용질병 : 영국 국립극단 ‘NT Live’에 대한 생산성 분석=‘Live-cast Theater’ and Cost Disease : A Productivity Analysis on ‘NT Live’,2016, 한국예술경영학회
김광보 예술감독 “부임 첫 해, 연출보다 국립극단 혁신 매진”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614566628919032&mediaCodeNo=257&OutLnkChk=Y
이해라, 이현석(2015). 「뮤지컬 애니메이션 영화의 혼성적 영상연출 특성 - <겨울왕국, 2013>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권 12호. 50-60.
이상윤(2018). 「음악영화에서 음악의 역할에 의한 의미 고찰」.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권 7호. 151-159.
문화체육관광부, “2018년 문화체육관광부 문화 향수 실태조사”, 2019.02.11.
https://www.mcst.go.kr/kor/s_notice/press/pressView.jsp?pSeq=17101
KOBIS, “총 관객수 및 매출액(연도별)”, 2019.10.27.
http://www.kobis.or.kr/kobis/business/stat/them/findYearlyTotalList.do
1000만 관객보다 값진 《보헤미안 랩소디》 2019.02.20
https://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181381
[문화와 삶]보헤미안 랩소디 2018.11.07.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1811072045005
L.A in ‘라라랜드’ 꿈, 그것은 아름다운 도전이다 2018.10.25.
https://www.mk.co.kr/news/culture/view/2018/10/666504/
[미국음악일기] 왜 한국에서 유독 음악영화가 인기일까 2018.12.03.
https://www.bizhankook.com/bk/article/16724
음악영화 향한 유난한 사랑, '라라랜드'의 흥행 2016.12.23.
http://kofice.or.kr/b20industry/b20_industry_03_view.asp?seq=7692
동아비즈니스리뷰, 파리를 꿈꾸며 걷던 소년 루이비통 보물상자의 틀 깨고 세계의 백을 만들다, 2015.1.
뉴시스, 루이비통 진귀한 트렁크 한자리…'매그너스 말름' 컬렉션 200점, 2022.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