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영국 혁명 마인드맵"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관광과 여가 문화: 서양과 동양의 비교
1.1. 서론
1.2. 서양의 대표주자: 영국
1.3. 동양의 대표주자: 중국
1.4. 결론
2. 창의성에 있어서 경험의 중요성: 러시아 노벨문학상 수상자 중심으로
2.1. 서론
2.2. 창의성의 정의
2.3. 러시아 문학 작품
2.3.1. 이반 데니소비치의 하루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2.3.2. 닥터 지바고 - 보리스 파르테르나크
2.4. 생각정리의 기술
2.5. 결론
3. 기술교육
3.1. 기술교과의 성격
3.2. 기술교과의 내용 영역
3.3. 기술교과의 수업 방법
4. 문제와 문제해결
4.1. 문제와 문제해결의 개념
4.2. 문제의 유형
4.3. 문제해결 절차
5. 수업과정안
5.1. 단원의 개관
5.2. 단원의 목표
5.3. 단원의 내용 구성
5.4. 단원의 필수지도요소 및 기초?기본 학습내용
5.5. 단원의 전개 계획
5.6. 본시 수업과정안(교사용 자료 및 학생용 자료)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관광과 여가 문화: 서양과 동양의 비교
1.1. 서론
본 서론에서는 주제 선정에 많은 고민이 있었음을 밝히며, 최근 세계가 서양식 인간중심의 개발 및 발전의 한계를 느끼고 동아시아의 "자연과의 공존"으로 대표되는 가치에 주목하고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주제가 동양과 서양의 관광 및 여가문화의 비교 분석이라는 점을 드러내고 있다. 또한 이러한 주제 선정의 근거와 동기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데, 문사철이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는 현대사회에서 이러한 "저평가된" 가치들을 관광관련 과제를 통해 표현하고자 했으며, 최근 주목받고 있는 "융합"의 가치를 실현하고자 했다고 밝히고 있다. 마지막으로 구체적인 비교대상으로 산업혁명의 근원지인 영국과 아시아의 맹주인 중국을 선정하여 분석하겠다고 언급하고 있다.
1.2. 서양의 대표주자: 영국
영국은 자연관광자원 보다는 인간의 힘, 즉 자연을 이겨낸 인간중심적 자원을 활용한 관광이 발달해 있다. 영국은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수많은 외침을 받았던 역사를 갖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산업혁명 이후로 그들의 위상은 하늘을 찔렀으며, 이전 '베오울프'부터 시작되었던 문학은 르네상스 시대의 셰익스피어부터 그 절정에 다다랐다. 이러한 문화적 의의는 자연적인 환경, 즉 수동적인 태도에서 벗어나 영국 자체 스스로 그들만의 '무엇으로' 일어섰다는 의미로 확대 해석할 수 있다. 산업혁명은 그 스스로 일어선 결과물이었으며, 그들은 기존의 강대국이었던 스페인과 프랑스마저 무너뜨리며 절대강자의 왕좌에 앉게 된다. 이러한 힘은 오늘날에는 물리적인 힘은 많이 약해졌지만, 오랜 세월 걸쳐서 쌓여온 이러한 문화자원은 그들의 관광산업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특히 작년에 열렸던 런던올림픽의 개막식과 폐막식의 공연은 그들의 '서양식 가치'를 마음껏 내뿜고 과시했던 장으로서도 손색이 없었다. 또한 영국정부도 관광산업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의사를 밝히고 있다. 이는 영국경제에 1,100억 파운드를 기여하는 관광산업의 성장이, 침체된 경기의 회복을 위한 핵심적인 동력이 될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이다. 카메론 수상은 "관광산업이야말로 영국이 절실히 원하는 고용을 창출할 수 있는 가장 빠른 길"이라고 강조하고, "영국에 들어오는 관광객을 제약하는 장애요소를 제거하겠다"고 밝혔다. 이처럼 영국은 문화유산과 국립공원을 비롯한 해안도시들과 공연과 축제에 대해 더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실제로 런던올림픽 개막식과 폐막식에서는 셰익스피어의 시가 낭송되었고, 이와 동시에 기존 90년도부터 시작되었던 영국의 관광정책이었던 '쿨한 영국(Cool Britannia)'의 산물이었던 스파이스 걸스와 데이빗 베컴이 등장함으로서, 과거와 현재를 이어 이를 이질적인 것이 아닌 '하나의 흐름'으로 이으려는 카메론 정부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1.3. 동양의 대표주자: 중국
중국은 철학을 바탕으로 일반적으로 취미활동을 포함하여 일 외에 집 내외부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활동으로 넓게 인식하고 있다. 여가활동의 주된 목적은 심신활동을 편안하게 하기 위함인 것으로 나타났고 중국인에게 있어 여가활동의 중요성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정적인 여가활동의 모습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중국은 지역이 광활하여 지리·기후가 다양하고 자연 자원이 아주 풍부하다는 사실이다. 세계인들에게는 중국의 자연환경 그 자체로 경이롭지만, 이러한 환경을 항상 접하고 있는 중국인들은 대수롭지 않게, 마치 집에서 나서면 바로 볼 수 있는 흔한 광경이라는 점이다.
이러한 멋진 광경을 항상 접하고 있는 그들은 즉, 비교할 수 없이 넓은 고원, 연속되는 크고 험준한 산세, 끝없이 광대한 사막, 한없이 넓은 초원, 쉬지 않고 세차게 흐르는 큰 강과 하천, 풍경이 수려한 호반과 모래사장, 빙설의 북쪽 겨울 풍경, 그리고 남쪽의 아열대 풍경 등등. 전국 도처가 다 천연적으로 기이하고 아름다워 예로부터 지금까지 무수한 해외 관광객을 끌어들였다.
대표적으로 중국의 자연경관 중 일품으로 꼽히는 장가계와 계림의 모습에서 이러한 중국인들의 여가활동이 정적인 원인을 조금이나마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우선 장가계를 살펴보면, 삐죽 솟은 황톳빛 절벽 봉우리가 3,000여 개, 웅장함으로 압도하면서 남성스러운 매력을 물씬 내뿜는다. 얼마전에 개봉했던 영화 '아바타'에서 등장한 이후로 주로 아시아권 관광객들에게 사랑받았던 이곳은 전 세계의 관광객들에게 주목받는 경관이 되었다.
자연경관이 뛰어나 1982년 9월 중국 최초로 국가삼림공원이 된 뒤, 1988년 8월에는 우링위안[武陵源]이 국가 중요 자연풍경구로 지정되었고, 1992년에는 장가계국가삼림공원, 삭계욕풍경구, 텐쯔산[天子山]풍경구가 우링위안자연풍경구와 함께 세계자연유산으로 등록되었다.
그 다음으로 계림은 빼어난 풍치로 예로부터 시인과 화가들의 글과 그림의 소재가 되어왔다. '계림의 산수는 천하 제일이다(桂林山水甲天下)' 라는 명성을 들을 정도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관광지 중의 하나이다. 특히 독특한 모양의 기암괴석으로 유명한데, 이 기암괴석은 카르스트지형인 이곳에서 지각변동으로 인해 해저가 지형적으로 돌출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이런 기묘한 형태의 지형은 각종 영화의 배경장소로도 이용되었으며, 중국 영화 《소림사(少林寺)》도 이곳을 무대로 한 것이다.
이처럼 세계 관광객들의 눈을 사로잡는 자연경관들은 대략 16억 규모의 인구로 대표되는 '중국 스타일'에 부합하는 거대하고도 장엄한 분위기와 더불어 G2의 위상을 내뿜는 중국의 힘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겠다.
1.4. 결론
영국과 중국은 관광 및 여가 문화에 있어서 상이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영국은 인간이 만든 문화유산과 인프라 등의 인공적 자원을 이용하여 관광산업을 발전시켜 왔다. 반면, 중국은 광대한 자연환경과 천혜의 자연유산을 활용하여 관광객들을 끌어들이고 있다.
이와 같은 서양과 동양의 관광 문화의 차이는 근본적으로 세계관과 가치관의 차이에서 비롯된다고 할 수 있다. 서양의 경우 인간 중심적이고 물질적인 가치관이 지배적인데 반해, 동양에서는 자연과의 조화와 균형을 중요하게 여기는 전통 사상이 깊이 뿌리박고 있다. 이러한 배경 아래에서 서양과 동양은 각자의 대표적인 국가들인 영국과 중국을 통해 서로 다른 관광 문화를 발전시켜 왔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 이 두 가지 관광 문화의 특성을 균형있게 융합하여 새로운 관광 패러다임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자연과의 조화를 중요하게 여기는 동양의 관점을 받아들이면서도, 인간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중시하는 서양의 강점을 활용할 수 있는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이를 통해 보다 다양하고 매력적인 관광 상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앞으로 관광 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2. 창의성에 있어서 경험의 중요성: 러시아 노벨문학상 수상자 중심으로
2.1. 서론
창의성이라는 말은 21세기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매우 중요한 개념이 되고 있다. 교육계와 기업계에서는 끊임없이 창의적 인재를 요구하고 있으며, 개인 또한 자신의 창의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처럼 창의성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창의성의 발현에 있어 경험이 차지하는 역할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필자는 이번 보고서를 통해 창의성에 있어서 경험의 중요성을 러시아 노벨문학상 수상자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의 『이반 데니소비치의 하루』와 보리스 파르테르나크의 『닥터 지바고』에 나타난 작가의 경험이 창의성 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해 볼 것이다. 또한 창의성과 경험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창의성에 대한 전문가들의 견해를 살펴보고, 효과적인 창의성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마인드맵'의 활용을 제안할 것이다.
이를 통해 창의성 향상을 위해서는 단순히 새로운 것을 추구하기 보다는 다양한 경험을 쌓고 이를 바탕으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것이 중요함을 밝히고자 한다.
2.2. 창의성의 정의
창의성의 정의는 학자들마다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Guildford...
참고 자료
영국관광산업과 문화산업의 힘 (2013.05.28 18:30)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kleeuou&logNo=110066265368
장밋빛 영국 관광산업의 미래 (2013.05.28 18:34)
http://www.londontimes.tv/sub_read.html?uid=886
영국의 영화산업의 성장으로 영국관광산업에도 크게 기여(다양한 영화관광지들)
(2012.05.28 18:53)
http://www.peopleloving.co.kr/bbs/skin/ggambo7002_boardgallery/print.php?id=newscopy&no=62
Britain's Tourism Industry (2013.05.28 19:00)
http://www.visitbritain.org/britaintourismindustry/
‘런던 올림픽’ 이후 관광 사업에 대한 영국 문화부의 계획 (2013.05.28 19:04)
http://www.kofice.or.kr/c30_correspondent/c30_correspondent_02_view.asp?seq=8640
영국의 대표적 관광지 (인간위주) (2013.05.28 19:10)
http://ask.nate.com/qna/view.html?n=9103923
중국의 대표적 관광지 (자연위주) (2013.05.28 20:00)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koaram77&logNo=40181915771
중국4대 자연관광지 (2013.05.26 20:02)
http://www.krcnr.cn/wh/lyxx/201011/t20101124_65650.html
중앙일보 "서구 문명 이항대립, 아시아 삼항순환으로 극복해야" (2013.3.25)
“중국인의 여가관광양식 변화와 전망” (2011.12 홍순영, 경기개발연구원)
“19세기 영국 여성들의 여가활동에 관한 연구” (2012. 황의룡 오경록, 한국체육과학학회지 제21권 제2호, pp.335~345)
-『생각의탄생(Spark of Genius)』를 읽고-
저자-로버트 루트번스타인∙미셸 루트번스타인 / 역자-박종성
출판사-에코의 서재 / 출판일-2007. 05. 02. / p. 455
-『젊음의 탄생』을 읽고-
저자- 이어령 / 출판사- 생각의 나무 /
출판일- 2008. 04. 25. / p. 301
-『이반 데니소비치의 하루』를 읽고-
저자- 알렉산드르 이사예비치 솔제니친 / 역자- 류필하 /
출판사- 소담출판사 / 출판일- 2004. 02. 25. / p. 239
『닥터 지바고』를 읽고
저자-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 역자- 박형규 / 출판사- 열린책들
출판일- 2006.02.25 / 상- 302p, 하- 383p.
-『생각정리의 기술』을 읽고-
저자- 드니 르보 외. / 역자- 김도연
출판사- 지형 / 출판일- 2007. 03. 20. / p. 235
권혁수. (2003) 중등기술 교과교육에서 체험활동 중심의 생산기술 교육과정 개발. 미간행 석사 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교육부. (1999).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Ⅲ) - 수학, 과학, 기술․가정. 서울: 저자.
김영채. (1999). 창의적 문제 해결. 서울: 교육과학사.
두산 백과사전. (2007). 구조와 구조화의 개념. Retrieved January 2006 from http://www.encyber.com.
류창열. (2000). 기술교육원론. 대전: 충남대학교 출판부.
이무근. (2005). 실기교육방법론. 서울: 배영사.
이상갑. (2001). 주제 중심 통합적 접근에 의한 기술교과 교육프로그램 개발. 미간행 박사 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이상봉. (2001). 지식기반사회에 대처하는 기술 교육의 과제와 개선 방향. 한국기술교육학회, 1(1), pp. 15-29.
장수웅. (2002). 기술교육에서 창의적인 문제 해결 수업을 위한 수행평가 도구의 개발. 미간행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청원.
최유현. (1997). 실과교육연구. 서울: 형설출판사.
ITEA. (2000). Standards for Technological Literacy: Content for the Study of Technology. Reston, VA: Author.
DeVore, P. W. (1980). Technology: An Introduction. Worcester, MA: Davis.
James, W. K. (1990). Development of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The Technology Teacher, 49(2), pp. 29-30
Pahl, G., Beitz, W. (1996). Engineering design. (Ken Wallace, Lucienne Blessing, and Frank Bauert Trans.). New York: sprin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