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영국 혁명, 미국 독립 전쟁, 프랑스 혁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영국의 명예혁명
2.1. 명예혁명의 배경
2.2. 명예혁명의 특징
2.3. 의미와 한계점의 비교분석
3. 미국의 독립혁명
3.1. 미국 독립혁명의 배경적 이념 혹은 정신
3.2. 미국 혁명의 특징과 한계점
4. 프랑스 혁명
4.1. 프랑스혁명의 배경
4.2. 위대한 시민혁명의 과정
4.3. 혁명의 의미와 결과 그리고 한계점 분석
4.4. 프랑스혁명과 여성
5. 러시아 혁명
5.1. 러시아 혁명의 배경
5.2. 러시아 혁명의 과정
5.2.1. 2월 혁명
5.2.2. 10월 혁명 (볼셰비키 혁명)
5.3. 러시아 혁명의 의미와 결과 그리고 한계점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일반적으로 혁명을 논할 때 영국의 명예혁명, 미국의 독립혁명(혹은 전쟁)과 러시아 혁명 그리고 시민혁명의 대표로 간주되는 프랑스의 시민혁명을 꼽는다. 각 국 사회는 혁명과 함께 즉각적으로 현대와 같은 수준의 자유, 평등사회로 탈바꿈한 것은 아니다. 혁명 이후에도 수세기에 걸친 상당히 긴 시간에 걸쳐 발전하고 다듬어지며 현대에 이르게 된 것이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의 노예 해방은 약 한 세기 후에 이루어졌고 흑인에 대한 차별이 본격적으로 폐지된 것은 그보다 한참 뒤의 일이다. 그러나 당시의 시민 혁명은 일부 극소수의 특권층에 의한 신분제 사회를 타파하고 다수의 평등이라는 가치의 실현, 참정권에 기반한 입헌주의, 공화주의 등과 같은 현대적인 사회 요소라 할 수 있는 것들이 도래하기 위한 초석을 다지는 것에 결정적인 기여를 한 것만은 확실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각 혁명의 사상적 기원에 있어서는 당시의 공통적인 계몽사상에 바탕하고 있다. 로크의 사상은 모든 혁명에서 사상적 토대로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그 외의 제도, 혁명의 명분 등 각기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유사한 뿌리의 사상들로부터 혁명의 이념이 도출된 것이 사실이다. 근대적인 계몽사상에 근거한 국가, 사회의 출현을 알린 각국의 시민 혁명에 대하여 그 역사적 사실들을 알아보고자 한다.
2. 영국의 명예혁명
2.1. 명예혁명의 배경
명예혁명의 배경은 다음과 같다. 청교도 혁명이 명예혁명의 배경이 되었다. 제임스 1세와 찰스 1세가 의회를 무시하고 카톨릭과 청교도를 억압하자 의회가 이에 반발하여 맞섰고, 이 과정에서 공화국이 선포되었다. 청교도 세력이 부상하였고 의회의 수장이었던 크롬웰이 공화국을 선포하였다. 이로써 영국은 왕이 통치하지 않고 대표자에 의해 통치되는 나라가 되었다. 하지만 크롬웰이 변질되어 왕과 다름없이 통치하자 물러났던 찰스 1세의 아들인 찰스 2세가 다시 왕이 되어 왕정으로 복귀시켰다. 그 뒤를 이은 제임스 2세 또한 가톨릭 신자였기에 국민들은 이를 걱정하여 네덜란드의 총독과 그의 아내에게 왕의 자리에 오르길 부탁하였다. 이에 총독인 윌리엄 공과 그의 아내 메리는 군대를 이끌고 제임스 2세를 국외로 망명시켰다. 이것이 명예혁명의 배경이 되었다.
2.2. 명예혁명의 특징
명예혁명의 특징은 시민의 자유나 평등을 위한 것이 아닌, 권력층의 변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이다. 다른 혁명들과는 달리 인간의 기본권 때문이 아닌 권력투쟁의 산물로써 혁명이 발발하고 의회제도가 형성된다. 권리장전에서도 시민보다는 권력구조를 위해 입헌군주제를 설립한다. 이는 시민이 아닌 철저히 권력자를 위한 제도이다. 따라서, 명예혁명은 귀족사회의 변동일 뿐이라는 관점이 존재할 수 있다. 입헌군주제라는 새로운 정치 제도 하에 귀족을 상원으로 구성하여 권력을 갖게 한 것이다. 반면, 미국이나 프랑스, 러시아의 혁명은 명예혁명과는 다른 양상을 띤다. 미국의 혁명은 처음에 소수로 시작해 나중에 다수로 모든 구성원들이 참여한다. 더불어 프랑스의 혁명은 시작부터 시민혁명이었다. 다만 혁명의 후반부에 귀족들이 참가해 이익을 챙기는 모순이 발생한다. 그리고 러시아 혁명은 많은 피를 뿌리고 나서야 성공했다.
2.3. 의미와 한계점의 비교분석
명예혁명은 다른 혁명과 다르게 17세기에서 19세기까지 점진적으로 구체제를 전복시키지 않고 발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하지만 동시에 명예혁명은 시민의 자유나 평등을 위한 것이 아니라 권력층의 변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한계가 있다.
즉, 명예혁명은 시민보다는 철저히 권력자를 위한 제도라고 볼 수 있다. 다른 혁명들이 인간의 기본권을 위한 것이었던 반면, 명예혁명은 권력투쟁의 산물이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명예혁명은 귀족사회의 변동일 뿐이라는 관점도 존재할 수 있다. 입헌군주제라는 새로운 정치 제도 하에서 귀족을 상원으로 구성하여 권력을 갖게 한 것이다.
이에 비해 미국, 프랑스, 러시아 혁명은 명예혁명과 다른 양상을 보인다. 미국의 혁명은 처음에 소수로 시작해 나중에 다수로 확대되었고, 프랑스의 혁명은 시민혁명이었다. 러시아 혁명은 ...
참고 자료
이성적 사회를 향하여』 김우창 저 / 민음사 / 1993
Basic 고교생을 위한 세계사 용어사전』 강상원 저 / (주)신원문화사 /
프랑스 혁명의 이상과 현실』 김민제 저 / 김민제 / 역민사 / 1998
러시아혁명의 해석』 한기영 저 / 제주대학교 출판부/ 1998
프랑스 大革命史 下』Soboul Albert / 두레 / 1984
앙드레모로아, 『미국사』, 홍성사, 1982
메리 폽 어즈번, 『미국의 독립전쟁』, 비룡소, 2006
남경태, 『인간의 역사를 바꾼 전쟁이야기』, 풀빛, 1998
앨런 브랭클린, 『미국인의 역사』, 황혜성 역, 비봉 출판사, 1998
프레드릭 E 외, 『미국사에 던지는 질문』, 유시주 역, 영림 카디널, 2000
알리스테어 쿠크, 『도큐멘터리 미국사』, 윤종혁 역, 한마음사, 1995
최웅,김봉준, 『미국의 역사』, 소나무, 1997
이구한, 『이야기 미국사』, 청아출판사, 2000
서정복, 『프랑스 혁명』, 살림, 2007
주명철, 『오늘 만나는 프랑스 혁명』, 소나무, 2013
앙드레 모루아, 『프랑스사』, 김영사, 2016
이혜령 외, 『세계의 역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07
배영수 편, 『서양사 강의』, 한울, 2008
박유정, 『문화텍스트로보는 서양사』, 인간사랑, 2017
이세희, 『프랑스혁명사 연구』,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4
은은기, 『프랑스 혁명에 대한 이해』, 계명사학회, 2011
김인중, 『프랑스 혁명의 수정주의적 해석』, 창작과 비평, 1989
이세희, 「프랑스 혁명기 여성운동과 파리의 민중협회들」, 『역사와 세계』12, 효원사학회, 1988
한명숙, 「프랑스혁명과 여성문제」, 『경희사학』23, 경희사학회,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