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바이러스성 뇌수막염은 10세 이하의 소아에게서 많이 발생하며 감기와 유사한 증상으로 시작하기 때문에 다른 감염질환과 구별하기 힘들어 초기증상을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인구 십만 명당 11~27명에서 발생하는 비교적 흔한 질병이므로 병원에 입원한 아동을 통해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을 사정하고, 적절한 치료와 효과적인 간호를 수행하여 빠른 회복을 돕기 위해 이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1.2. 연구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2016년 5월 15일에 응급실을 통해 내원하여 Meningitis를 진단받고 입원한 아동을 대상으로 2016년 5월 16일에서 5월 20일까지 사례연구를 하였다. 사례연구를 하기 위하여 아동간호학 교과서, 참고서, 인터넷 등을 통해서 문헌고찰을 하였고 문헌고찰 한 내용을 토대로 대상자를 관찰하였다. 또한 간호기록지와 의사 order지, 임상병리 결과 등의 자료수집을 위하여 kadex를 참고하여 분석하였고 그에 알맞은 간호진단을 내리고 계획 수행 평가를 실시하였다."
2. 바이러스성 뇌수막염
2.1. 질병의 정의 및 원인
바이러스성 뇌수막염은 세균이 아닌 다른 원인에 의해서 생기는 뇌수막염으로 대부분 바이러스에 의해서 유발되며 일반적으로 거미막과 연질막 사이에 존재하는 거미막밑 공간(subarachnoid space, 거미막하공간)에 염증이 발생하는 다양한 질환을 의미한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바이러스가 뇌척수액 공간으로 침투하여 발생하는 급성무균성수막염이다.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마이코플라즈마(mycoplasma)나 리케치아(Rickettsia) 등 엄밀한 의미에서 세균으로 분류할 수 없는 생물체에 의해 발생하는 수막염도 여기에 포함된다"."
가장 흔한 원인은 에코바이러스(echovirus), 콕사키바이러스(coxsackievirus) 등이며, 그 외에 홍역 바이러스 등도 무균성수막염을 일으킨다"."
2.2. 병태생리
바이러스성 뇌수막염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enterovirus는 주로 장과 구강을 통해 유입된다. 뇌신경이나 말초신경에 바이러스혈증(viremia)이 온 후에 전신순환을 통해 바이러스가 중추신경계로 침범해 들어간다. 그 후 바이러스가 뇌막세포로 들어가서 성장하여 뇌막에 염증과 부종을 유발하게 된다. 특히 거미막과 연질막 사이에 존재하는 거미막밑 공간(subarachnoid space, 거미막하공간)에 염증이 발생하게 된다.
장 바이러스성 뇌막염은 주로 여름과 가을에 발생하며, 사람에서 사람으로 전파되는 특성이 있다. 잠복기는 3~7일 정도이며, 증세가 나타나기 1~2일 전부터 증세가 나타난 후 10일까지 전염력이 있다.
2.3. 진단방법
급성세균성수막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