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견갑난산(shoulder dystocia)은 산모와 태아의 심각한 손상을 야기할 수 있는 치명적인 응급상황이다. 비록 온라인 실습이지만 vSIM으로 공부를 하면서 견갑난산의 사례를 보고 신기하였고 이럴 경우에는 어떤 간호를 제공해야 하는지 궁금하여 사례보고서를 작성하게 되었다""."
2. 분만 단계
2.1. 분만 제1기
2.1.1. 잠재기
잠재기는 정상적인 자궁수축이 시작되어 경부개대가 시작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자궁수축이 불규칙하고 약한 편이며, 분만을 위한 경부 소실과 개대가 천천히 일어난다. 경부개대는 보통 3cm 이하로 천천히 진행되며, 이 단계에서는 산모가 진통을 자각하지 못하거나 약하게 느낄 수 있다.
초산부의 경우 잠재기 단계는 평균 8시간 정도 소요되며, 경산부의 경우 평균 5시간 정도 소요된다. 이 단계에서는 자궁수축의 빈도와 지속 시간이 불규칙하지만, 점차 규칙적으로 변하면서 진행된다. 선진부의 하강 정도는 -3에서 0 사이로 천천히 진행된다. 산모의 심리 상태는 분만에 대한 불안과 긴장감을 가지고 있지만, 진통이 약하기 때문에 비교적 잘 참아낸다. 이 단계에서는 자궁경부의 소실과 개대가 천천히 진행되므로 산모는 편안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2.1.2. 활동기
활동기는 산모 자궁경관이 4-7cm 개대되는 시기로, 자궁수축이 규칙적이고 빈도가 늘어나며 지속시간이 증가하는 단계이다. 이 시기 산모는 불안정하고 민감해지며 얼굴홍조와 심한 요통을 호소한다. 자궁수축은 2-3분마다 있으며 수축 동안 산모는 자궁수축에 집중하게 된다.
활동기의 산모 심리 상태는 불안정하고 민감해지며, 얼굴홍조와 심한 요통을 호소한다. 자궁수축은 2-3분 간격으로 일어나며 수축 동안 산모는 자궁수축에 집중하게 된다. 이 시기 경관 개대는 4-7cm 정도로 진행되며, 점차 규칙적이고 빈도가 증가한다.
2.1.3. 이행기
이행기는 분만 제1기의 마지막 단계로, 자궁경관이 완전히 개대되어 산부가 힘주기를 시작하는 시기이다. 이 단계에서 자궁경관은 8-10cm로 완전히 개대되어 있으며, 산부의 배와 회음부의 압박으로 인해 배변감, 자궁수축의 강도 증가, 선진부의 하강 등이 나타나게 된다.
산부는 진통이 점점 강해지고 빈도가 증가하여 15-20분 간격으로 60-90초 지속되며, 분만2기로 진입하게 된다. 이 시기에는 태아가 골반출구에 도달하여 회음부가 팽윤되고 힘주기 충동을 느끼게 된다. 또한 산부는 불안정하고 민감해지며 과다호흡이 나타나는 등 정서적 변화를 겪게 된다. 간호사는 산부의 통증관리, 진통 관리, 힘주기 지도 등을 통해 분만 제2기로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2.2. 분만 제2기
분만 제2기는 태아가 만출되는 시기로, 경관 전 개대부터 태아가 만출되는 시기를 의미한다"" 초산부의 경우 50분에서 1시간 정도, 경산부의 경우 15분에서 30분 정도 소요된다"" 제2기 초에 양막 파열이 있을 수도 있지만 분만 시작 전이나 제1기 말에도 있을 수 있다""
제2기에는 태아의 선진부가 양 음순 사이로 밀려 나오는 과정이 나타나는데, 이를 팽륜(bulging), 배림(appearing), 발로(crowning)의 세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팽륜은 선진부의 회음부 압박으로 회음부가 불룩해지는 현상이며, 배림은 자궁 수축 시 아두가 양 음순 사이로 보이고 수축이 멎으면 안보이는 현상이다"" 발로는 자궁 수축 시 밀려 나온 아두가 수축이 없어져도 안으로 들어가지 않고 양 음순 사이로 노출되는 현상이다"" 발로 시 회음절개술이 필요할 수 있다""
분만 중 산모의 체위, 회음부 준비, 태아 만출 등의 간호가 중요하게 이루어진다"" 산모를 옮겨 쇄석위로 눕히고 회음부를 준비한 뒤, 태아가 만출되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다"" 분만 제2기가 지연되거나 비정상적인 양상을 보이는 경우 즉각적인 의사 보고와 처치가 필요하다""
2.3. 분만 제3기
2.3.1. 태반박리기
태반박리기는 태아가 만출된 후부터 태아 및 태아 부속물의 만출까지의 시기이다. 태아가 만출되면 자궁은 비임신 시의 크기로 되려고 퇴축하기 시작한다. 태반의 박리는 크기의 변동이 없는 태반과 태반부착 부위의 수축에 의해 면적의 감소에 따른 상호간의 불균형에 의한 결과로 발생한다. 태반이 박리되면서 출혈이 일어나 박리를 촉진시킨다.
태반박리의 징후로는 질로부터 소량의 혈액 배출, 질구에서 제대가 늘어지고 치골결합 상부를 약간 눌러도 당겨 올라가지 않음, 자궁저부가 일시적으로 제와부 이상으로 올라감, 자궁의 모양이 원반 모양에서 공 모양으로 변화하는 것 등이 있다. 태반박리 후에는 자궁수축이 있을 때 산모의 복압으로 태반이 만출된다.
태반 박리의 두 가지 대표적인 기전은 Shultze 기전과 Duncan 기전이다. Shultze 기전은 약 80%정도 발생하는데, 태반의 가운데 부분이 박리되어 질구에 태아 면이 먼저 보이고 태반이 나온 후에 출혈이 있는 경우이다. Duncan 기전은 약 20% 정도 발생하는데, 태반의 박리가 가장자리부터 박리되어 출혈이 먼저 있고 질구에 모체 면이 보이는 경우이다.
간호사는 태반 만출 후 자궁저부 마사지를 통해 지속적인 자궁수축을 유도하고, 필요 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