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자유 무역 보호 무역

  • 1
  • 2
  • 3
  • 4
  • 5
  • 6
  • 7
>

상세정보

소개글

"우리나라 자유 무역 보호 무역"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자유무역과 보호무역
1.1. 자유무역의 정의와 특성
1.2. 보호무역의 정의와 특성
1.3. 자유무역과 보호무역의 역사적 배경
1.4. 자유무역과 보호무역에 대한 논쟁
1.5. 자유무역 정책의 사례: 우리나라
1.6. 보호무역 정책의 사례: 미국, 유럽
1.7. 자유무역과 보호무역의 차이점
1.8. 코로나19 이후 통상 정책의 변화
1.9. 공정무역의 개념 및 중요성
1.10. 균형무역주의의 등장과 의의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자유무역과 보호무역
1.1. 자유무역의 정의와 특성

자유무역은 비교생산비 원리를 근거로 하여 무역에 대한 국가 간섭을 배제하고, 자유로운 대외 거래를 주장하는 무역정책이다. 자유무역주의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각국의 비교우위원리에 따라 완전한 자유무역을 하게 되면 세계경제 전체의 생산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모든 나라의 후생이 커질 것으로 주장한다. 또한 자유무역정책을 취할 경우 규모의 경제 효과와 생산 유발 효과, 소득 유발 효과, 국내 부족 원자재 확보, 국내 산업 경쟁력 제고, 국민생활 질적 향상 등의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자유무역주의 이론은 생산요소의 완전이동성, 외부효과 무시 등의 비현실적인 가정으로 인해 시장실패의 가능성을 간과하게 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또한 자유무역은 선진국에게만 유리하게 작용되어 전 세계의 빈부격차를 악화시킬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1.2. 보호무역의 정의와 특성

보호무역은 국가가 관세나 수입할당제 및 그 외의 수단으로 외국 무역에 간섭해 외국과의 경쟁에서 국내 산업을 보호할 목적으로 하는 무역정책을 의미한다. 국가권력이 보호 정책을 취하는 것을 보호무역 제도라고 부르고 이러한 사상을 보호무역주의라고 부르는 것이다. 자유무역과 반대되는 입장이다.

보호무역의 특성을 살펴보면, 외국보다 뒤떨어진 자국 산업을 외국과 경쟁에서 보호해 일정 단계까지 육성 및 발전시키려고 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정치적, 경제적인 조건에 따라서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하게 된다.

역사적으로는 18세기에 영국의 자유무역주의자들의 자유방임주의가 전개되자, 당시 후진국이었던 독일과 미국은 자국의 유치산업을 보호해야 한다는 이유로 자유경쟁주의에 반발하는 보호주의 이론을 전개했다. 19세기에 F. 리스트와 A.H. 바그너가 보호무역을 체계화했으며, 자국의 유치산업을 보호하고 수출 증대를 통한 고용증대를 주장했다.

20세기에는 자유무역이 주창되고 있으나 근년에는 고갈된 자원을 중심으로 자원 내셔널리즘이란 표현이 생길 정도로 보호주의에 대한 개념이 바뀌고 있다. 한편 선진국들도 개발 도상국가 등에서 유입되는 상품을 저지하기 위해 여러 가지 관세와 비관세 장벽으로 새로운 양상을 띠어가고 있다.


1.3. 자유무역과 보호무역의 역사적 배경

자유무역과 보호무역의 역사적 배경은 다음과 같다.

역사적으로 보호무역은 1700년대에 시작되었다. 영국의 자유무역주의자들이 나라 사이의 자유로운 경쟁을 주장하자, 당시 영국보다 산업 발달이 뒤쳐졌던 독일과 미국에서 자기 나라의 유치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보호무역을 하게 되었다. 18세기에 애덤 스미스를 중심으로 영국의 자유무역주의자들이 자유방임주의를 전개하면서 자유무역이 시작되었다. 당시 영국은 자국의 선진 공업 기반을 토대로 국가 간 자유로운 경쟁을 주장했으나, 후진국이었던 독일과 미국은 자국의 유치산업을 보호해야 한다는 이유로 자유경쟁주의에 반발하는 보호주의 이론을 전개했다.

19세기에는 F. 리스트와 A.H. 바그너가 보호무역을 체계화했다. 이들은 자국의 유치산업을 보호하고 수출 증대를 통한 고용증대를 주장했으며, 국내 경기를 안정화시켜서 임금을 안정화시키고 국방 및 기간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보호무역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20세기에는 자유무역이 주창되었으나 근년에는 고갈된 자원을 중심으로 자원 내셔널리즘이 등장하는 등 보호주의에 대한 개념이 변화하고 있다. 또한 선진국들도 개발 도상국가 등에서 유입되는 상품을 저지하기 위해 여러 가지 관세와 비관세 장벽으로 새로운 양상의 보호무역을 펼치고 있다.


...


참고 자료

김태곤(2001). 칠레의 자유무역주의와 농업보호정책.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학술논문
김애영(2007). 우리나라의 수출주도형 성장가설에 대한 실증분석. 한국국제통상학회. 학술논문
윤상하(2009). 내수주도형 성장의 의미와 한계. LG Business Insight. 2009 5 13
신장철(2015). 해방 이후의 한국경제와 초기 경제개발 5개년계획 : 원조경제의 탈피와 수출드라이버 정책의 채택을 중심으로. 한일경상학회. 학술논문
김옥준(2015).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구상과 정치·경제적 함의 : 실크로드 경제벨트 구축을 중심으로.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학술논문
고정오. ‘중국현대를 읽는 키워드 100’. 교육부, 한국연구재단. 국민대학교 중국인문사회연구소
외교부(2020). 코로나19 관련 각국의 해외입국자에 대한 입국제한 조치 실시 국가(지역) (5.15. 17:00)
조세일보. 전자무역 증가로 높아지는 디지털장벽. [홍재화의 무역이야기]. 2018.01.31
권율(1999). 일본의 동남아 진출전략과 新미야자와 구상.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학술논문
이해정(2013). 개성공단 국제화의 효과와 과제. 현대경제연구원. 학술논문
중앙일보(2019.12.05.). 미국·중국은 왜 싸운거야···Q&A로 본 미중 무역합의 - 중앙일보
한국무역협회(2019). 미중 무역분쟁의 수출 영향-연구보고서 - 한국무역협회. 학술보고서
나희승(2014). 남북⋅유라시아 철도사업의 의의 및 협력과제. KDI 북한경제리뷰. 2014년 2월호
김용조, 재미있는 지구촌 경제 이야기, 가나출판사, 2014.03.24.
정치학대사전편찬위원회, 21세기 정치학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박정지 외 1명, 한국 EU FTA 체결후 무역 교류 사례, 아시아 유럽미래학회, 2016.
두산백과, 두산백과 두피디아
곽동철, 코로나19 이후 국제통상질서의 변화와 통상규범의 발전 방향에 대한 연구, 한국무역협회 통상지원센터, 2020.08.06.
기고. 자유무역과 보호무역. 중앙일보. 2017년02월 10일. https://www.jjan.kr/1120290
자유무역vs보호무역. KB스타 경제교실. 2017년 3월 21일. http://www.kbstarschool.or.kr/common/thinking.asp?id=24&subject_id=2
[네이버 지식백과] 자유무역주의와 보호무역주의 (두산백과)
자유 무역은 무조건적인 이득은 아니다!! 프리드리히 리스트의 보호 무역 이란?
2021년 8월 21일.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snowcafe11/222482757019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