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주제 선정 배경 및 동기
낙상은 의료기관에서 많이 발생되고 있는 대표적인 안전사고 중 하나로 의도하지 않은 사고에 의한 사망요인 중 주요한 원인을 차지한다"". 낙상과 관련된 적신호 사건 발생은 1996년 2건, 2000년 25건, 2005년 47건, 2010년 56건에서 2014년 91건으로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어 낙상이 환자 안전에 많은 위협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TJC, 2015). 낙상은 타박상, 골절, 뇌출혈을 동반하거나 낙상으로 인한 합병증으로 사망까지 이르는 문제점을 안고 있기 때문에 예방이 중요하다"". 본 ○○병원에서는 입원환자 연령의 비율이 점점 고령화 추세로 이어져 낙상 발생의 증가 가능성을 안고 있다. 특히, 정형외과 환자의 입원비율이 높은 ??병동의 안전사고 중 대부분이 낙상사고인 것으로 확인 되었다. 그러므로 낙상에 대한 인식 증진과 예방활동을 통해 환자의 낙상 발생률을 감소시키기 위한 QI보고서를 작성하고자 한다"".
1.2. 문제 개요
1.2.1. 문제분석
문제 분석 결과, ??병원의 2022년 1분기 낙상 발생 보고율은 38%였고, ○○병원의 2022년 2분기 낙상 발생 보고율은 51%로 나타났다.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8월 31일(1분기, 2분기)까지의 기간 동안 총 80건의 안전사고 중 31건(38%)이 낙상 사고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중 낙상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환자가 16건(51%)로 나타났다. 낙상 발생 장소는 병실 내 17건(54.8%)으로 가장 많았고, 낙상이 가장 많이 일어난 부서는 ○○병동으로 8건(25.8%)이었다. 또한 낙상 발생이 가장 많이 일어난 시간대는 12시~18시가 11건(35.5%), 24시~6시가 9건(29.0%)으로 나타났다. 낙상 사고로 인한 환자의 신체적 손상 및 심리적 불안감, 간호사의 낙상 예방에 대한 자기효능감 감소 등의 문제점이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주요 원인을 보호자 없이 화장실로 이동하다가 발생한 경우가 31건 중 23건(74%), 신체허약 9건(29%), 어지러움 4건(13%), 미끄러짐 4건(13%), 침대난간 4건(13%) 등으로 파악되었다."이다.
1.2.2. 문제확인
환자안전보고 및 자료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문제를 확인하였다.
첫째, 2022년 1분기와 2분기 기간 동안 안전사고 총 80건 중 낙상사고가 31건(38%)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낙상 사고가 ??병원 내에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2022년 7월 31일 기준 낙상 발생 환자 31건 중 낙상 고위험군이 16건(51%)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입원환자의 절반 이상이 낙상 고위험군에 속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낙상 발생 장소는 병실 내에서 17건(55%)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었다. 이는 병실 내 환경요인이 낙상사고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넷째, 낙상 발생이 가장 많은 부서는 ??병동으로 8건(26%)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병동에서 낙상관리가 가장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다섯째, 낙상 발생이 가장 많은 시간대는 12시~18시 11건(35%), 24시~6시 9건(29%)으로 나타났다. 이는 환자의 활동이 많은 시간대와 간호 인력이 부족한 야간시간대에 낙상 위험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섯째, 낙상 발생으로 인한 환자의 신체적 손상 및 심리적 불안감이 관찰되었다. 낙상은 환자의 안전과 회복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일곱째, 낙상 예방에 대한 간호사의 자기효능감이 감소하고 있어, 간호사의 낙상 예방 활동에도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문제확인 결과를 토대로 ??병원의 낙상 예방을 위한 체계적인 관리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2. 활동 목표
활동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안전사고 중 낙상 사고율을 40%로 감소시킨다. 둘째, 낙상 고위험군 예방 간호 수행률을 높인다. 셋째, 보호자 없이 이동하여 발생하는 낙상사고율을 50%로 감소시킨다. 넷째, 근무 간호사의 낙상 예방 자기 효능감 점수를 향상시킨다.
3. 평가도구
3.1. 환자 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