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수면생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수면과 수면장애
1.1. 수면의 유형과 기능
1.2. 수면장애의 종류
1.3. 수면장애의 원인과 영향
1.4. 코로나19와 불면증
2. 수면장애와 건강관리
2.1. 수면무호흡증과 질병의 연관성
2.2. 수면장애와 탈모
2.3. 수면장애와 분노조절
3. 간호사의 수면장애
3.1. 간호사의 교대근무와 수면장애
3.2. 간호사의 수면장애 관리
4. 영아의 수면과 생리적 특성
4.1. 영아의 수면 패턴
4.2. 영아의 수유 및 이유
4.3. 영아의 배설 특성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수면과 수면장애
1.1. 수면의 유형과 기능
수면은 피로가 누적된 뇌의 활동을 주기적으로 회복하는 생리적인 의식상실 상태를 의미한다. 수면은 크게 렘수면(REM sleep)과 비렘수면(non-REM sleep)으로 구분된다. 렘수면은 기억을 포함하여 지적인 일과 관련된 기능을 회복시키는 역할을 하며, 뇌파의 변화와 함께 체온, 맥박, 호흡 및 혈압이 상승하고 위장의 운동성은 감소하게 된다. 비렘수면은 렘수면을 제외한 모든 수면 단계로, 뇌파의 빈도와 활력 징후가 감소하며, 기억을 포함하여 지적인 일과 관련된 기능을 회복시키는 역할을 한다. 성인은 수면 시간이 6~8시간 정도로 일정하다. 영아기에는 전체 수면에서 렘수면이 약 50%를 차지하다가 6개월경에는 약 1/3로 줄어들며, 성인이 되면 약 1/5 수준으로 감소한다. 이는 영아의 렘수면이 두뇌 발달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수면은 인간의 생체리듬 조절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수면의 질과 양은 전반적인 건강과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이다.
1.2. 수면장애의 종류
수면장애의 종류에는 다양한 형태가 있다. 불면증은 잠들기 힘들거나, 잠은 들지만 자주 깨거나, 새벽에 일찍 잠에서 깨어나 힘든 경우를 포함한다. 기면증은 야간에 수면을 충분히 취함에도 불구하고 낮에 심한 졸음을 호소하는 과다수면증이다. 하지 불안 증후군은 잠들 무렵, 다리에 불편감이 생겨 잠들기 힘들어지고 그 결과 수면 부족을 초래한다.
이외에도 코골이를 비롯한 수면무호흡증, 주기성 사지운동증, 렘수면행동장애, 야경증, 몽유병 등과 같은 기타 수면장애들이 있다. 수면무호흡증은 잠을 자다가 갑자기 숨을 멈추는 것으로, 수면의 질을 떨어뜨려 심·뇌혈관 질환, 당뇨, 고혈압 등의 위험을 높인다. 주기성 사지운동증은 다리나 팔의 움직임이 주기적으로 나타나 수면의 질을 저하시킨다. 렘수면행동장애는 꿈을 꾸는 중에 몸을 움직이거나 소리를 내어 깨어나게 되는 장애이다. 야경증은 숙면 중 불안감이나 공포심으로 인해 깨어나는 증상이며, 몽유병은 잠자는 중에 일어나 걸어 다니는 증상을 나타낸다.
이처럼 수면장애에는 매우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 장애는 서로 다른 증상과 원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수면장애 환자의 증상을 세밀히 관찰하고 그에 맞는 진단과 치료가 필요할 것이다.
1.3. 수면장애의 원인과 영향
수면장애의 원인과 영향은 다음과 같다.
수면장애의 주요 원인으로는 스트레스, 불안, 우울, 건강상 문제, 약물 사용, 수면 방해 요인, 수면 위생 문제 등이 있다. 생활 스트레스와 불안, 우울감이 지속되면 수면의 질이 저하되고 수면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알코올, 카페인, 수면제 등 약물 사용은 수면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다. 그 외에도 소음, 빛, 실내온도 등 수면 환경적 요인이 수면을 방해할 수 있으며, 불규칙한 수면 패턴, 낮잠 습관 등의 수면 위생 문제도 수면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이처럼 다양한 요인들이 수면장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수면장애는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수면부족은 면역력 저하, 대사 이상, 심혈관 질환 위험 증가 등의 신체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집중력 저하, 기억력 감소, 감정 조절 곤란 등의 정신적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특히 만성 수면장애는 우울증, 불안장애 등의 정신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이처럼 수면장애는 개인의 전반적인 건강과 삶의 질에 악영향을 끼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
1.4. 코로나19와 불면증
코로나19로 인하여 재택근무가 일상화되면서 바뀐 생활패턴...
참고 자료
교대근무 간호사의 일주기수면유형, 긍정심리역량, 수면의 질 관계
학위논문(석사) - 경상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2019 심귀숙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수면 센터 일주기리듬수면장애 클리닉
쾌통의 통쾌한 한의학 이야기 블로그
교대근무 간호사의 신체증상, 수면의 질, 피로와 건강증진행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안영은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박사과정
심지연, 서남숙, 김미애, 박정숙.(2019).교대근무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수면의 질, 피로가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스트레스연구,27(4),344-352.
이영희, 최수정.(2014).중환자실 교대근무간호사의 수면특성과 투약오류와의 관계.기본간호학회지,21(4),403-412.
이임정. "신규간호사의 수면 질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지각된 건강상태." 국내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2012. 경기도
간호사가 간호사에게 블로그
[출처] 숙면을 방해하는 것, 자기 전에 하면 안 되는 행동-소리청보성한의원
애플, 마음 건강 챙기는 애플워치 OS 공개- 박영선 기자
생리학- 현문사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91
김준수, “달리진 생활패턴에 잠 못 드는 직장인들... 불면증 대처법은?”, 「메디컬투데이」, 2021.05.24.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421048
홍세희, “잠 못 드는 밤... 수면제 먹어도 될까”, 「뉴시스」, 2020.01.26.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126_0001317763&cID=13101&pID=13100
이지현, “성인 15%가 앓는 ‘수면무호흡증’...뇌종양·임파선암 위험 높인다” 「한국경제」, 2021.03.06.
https://www.hankyung.com/life/article/2021030575341
장재형, “불면증 등 수면장애, 원형탈모증 유발 위험성 높아”, 「조세일보」, 2021.04.23.
http://www.joseilbo.com/news/htmls/2021/04/20210423422206.html
신승화·김수현, 「병원 간호사의 연속 야간 교대근무와 근무시간이 불면증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020, P133·134·137·138
서유민·김석주, 「수면과 분노」, 『수면정신생리』, 대한수면의학회, 2019, P72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