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유치도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유치도뇨관의 이해
1.1. 유치도뇨관의 정의 및 목적
1.2. 유치도뇨관 관련 감염의 현황
1.3. 유치도뇨관 사용의 적응증
2. 유치도뇨관 관련 간호중재
2.1. 일반적인 간호중재
2.2. 요로감염 예방을 위한 간호중재
3. 유치도뇨관 삽입 시 주의사항
3.1. 무균술 준수
3.2. 도뇨관 선택
4. 유치도뇨관 유지 관리
4.1. 도뇨관 고정 및 폐쇄도뇨시스템 유지
4.2. 소변 배액 및 검체 채취
4.3. 요도구 관리
5. 유치도뇨관 제거법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유치도뇨관의 이해
1.1. 유치도뇨관의 정의 및 목적
유치도뇨관은 배뇨 장애나 요류 정체 등의 문제가 발생한 환자에게 지속적으로 방광을 비우기 위해 사용하는 의료기기이다. 유치도뇨관은 요도를 통해 방광 안으로 삽입되며, 방광 내에 풍선을 부풀려 고정된다. 이를 통해 소변을 지속적으로 배출할 수 있게 한다.
유치도뇨관의 주된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요정체 시 방광팽만을 경감시키고 배뇨를 돕는다. 둘째, 정확한 소변량을 측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한다. 셋째, 방광 세척이 필요한 경우 사용한다. 넷째, 방광내압 측정이 필요한 경우 사용한다. 다섯째, 장기간 부동자세를 취해야 하는 환자의 경우 사용한다. 여섯째, 무균적 소변 검사물을 얻기 위해 사용한다. 일곱째, 수술 중 소변량 측정이나 수술 시간이 길어질 때 사용한다. 여덟째, 지속되는 요실금이 있는 경우 사용한다.
즉, 유치도뇨관은 다양한 상황에서 환자의 배뇨 기능을 돕고 소변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중요한 의료기기라고 할 수 있다.
1.2. 유치도뇨관 관련 감염의 현황
유치도뇨관 관련 감염의 현황은 매우 심각한 수준이다.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감염(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 CAUTI)은 전체 의료 관련 감염의 40.0%에 해당하며 입원 환자에서 자주 발생하고 있다. 침습적 카테터 중 유치도뇨관은 모든 연령에서 일시적인 요폐색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장 많이 쓰이며 특히 노인 환자의 경우 유치도뇨관을 장기적으로 사용한다. 이로 인해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감염의 발생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사지의 운동 장애, 간헐적 자가 도뇨의 불편함, 장기간 침상 안정 환자에서 욕창 치료 등을 위해 장기간 또는 영구적으로 사용하고 있어 감염의 위험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유치도뇨관 관련 감염이 의료 현장에서 매우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1.3. 유치도뇨관 사용의 적응증
유치도뇨관은 다양한 적응증으로 사용되고 있다. 급성 요폐색을 일시적으로 해소할 뿐만 아니라, 무반사성 방광의 요배출, 요도 협착의 방지, 병세가 불안정적인 중환자의 소변 배출량 확인 등 다양한 이유로 사용된다. 또한 사지의 운동 장애, 간헐적 자가 도뇨의 불편함, 장기간 침상 안정 환자에서 욕창 치료 등을 위해 장기간 또는 영구적으로 사용하고 있어 감염의 위험도 증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유치도뇨관의 주요 적응증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적인 소변 배출이 필요한 경우이다....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 (2018) 수문사 황옥남 외
기본간호학 (2018) 현문사 양선희 외
기본간호 중재와 술기_2019_수문사_송경애 외
최은영, 송민선(2019). 중소병원 간호사의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감염 감연관리 수행 영향 요인, 임상간호연구학회지, 25(3), 303-313
김금순 외, 성인 간호학1, 수문사, 2024, P.320
김금순 외, 성인 간호학1, 수문사, 2024, P.333-381
전시자 외, 성인간호학(상) 제 5판, 현문사, 2011, p.321-322
김금순 외, 성인 간호학1, 수문사, 2024, P.482-4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