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로스만모델의유형의3가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
1.1.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의 개념
1.2. 로스만의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
1.2.1. 지역사회개발 모델
1.2.2. 사회계획 및 정책 모델
1.2.3. 사회행동 모델
1.3. 로스만 모델의 사례 분석
1.3.1. 성북구 소리마을 주민참여형 재생사업
1.4.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의 활용과 한계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
1.1.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의 개념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의 개념은 지역사회 수준에서의 사회복지 실천으로, 지역사회 내에서의 사회복지 실천과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한 사회복지 실천이 동시에 포함되는 개념이다. 지역사회복지 실천은 전통적인 지역사회복지의 실천모델로 언급되는 로스만의 세 가지 모델인 지역사회개발, 사회행동, 사회계획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클라이언트의 의뢰, 지역사회자원의 사정, 클라이언트 지원체계의 개발, 클라이언트의 욕구충족을 위한 정책 결정자에 대한 옹호활동 등 거시적 사회복지실천활동 및 직접적인 서비스 제공과도 관련이 있다.
1.2. 로스만의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
1.2.1. 지역사회개발 모델
지역사회개발 모델은 지역사회의 변화를 가장 효과적으로 이루기 위해서는 광범위한 주민들을 변화시키기 위한 목표설정과 실천행동에 참여시켜야 한다는 전제에서 나온 지역복지사업의 한 형태이다. 지역사회주민의 적극적인 참여와 주민들이 가능한 최대한 주도권을 가지고 전 지역사회의 경제적, 사회적 조건을 향상시키기 위한 과정을 의미한다. 지역사회 개발모델은 지역 주민들이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민들이 스스로 기획하고 실천하는 과정에 초점을 맞춘다. 이를 통해 주민들의 자발성과 참여를 이끌어내고, 이웃 간 연대와 협력을 강화시켜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주민 주도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지역사회개발 모델에서는 지역사회 변화를 위해 지역사회를 형성하는 단체, 지역주민 등의 참여가 중요하다고 본다. 구체적으로 주민 간 합의 도출, 집단토의, 협동, 민주적 절차 등을 통해 지역사회 내 다양한 집단의 이해와 조화를 이루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사회복지사는 교육자, 조정자, 촉매자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 모델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해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와 주도성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모든 구성원의...
참고 자료
이영철 외 공저, 지역사회복지실천론, 2003
전해황 외 공저, 지역사회복지론, 양서원, 2008
박종훈, 지역사회복지론, 학현사, 2010
전영호, 도시 내 마을에 기반한 지역공동체 만들기 연구, 석사학위논문, 2002
박귀영, 2001, 지역사회복지와 시민단체의 역할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p.8~10
김한덕, 스마트 지역사회 복지론, 에듀파이터, 2020, p.154~166
유지연, 2016, 마을만들기를 통해 본 거버넌스의 위기와 민주적 거버넌스의 재구성: 성북구 삼태기마을과 소리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국내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p.63~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