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지역사회복지실천유형모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의 개념과 의의
1.1. 지역사회복지의 정의와 특징
1.2.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의 목적
1.3.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의 중요성
2.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의 유형과 특징
2.1. 로스만 모델의 특징
2.1.1. 지역사회개발 모델
2.1.2. 사회계획 모델
2.1.3. 사회행동 모델
2.2. 웨일과 갬블 모델의 특징
2.3. 테일러와 로버츠의 5모델 특징
3.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과제와 시사점
3.1. 지역사회 욕구 파악의 중요성
3.2. 지역특성에 기반한 실천의 필요성
3.3. 지역사회참여와 역량강화의 중요성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의 개념과 의의
1.1. 지역사회복지의 정의와 특징
지역사회복지(community welfare)는 "지역주민의 공통적인 욕구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역사회 내의 물적·인적 정보자원을 활용하여 지역사회주민들의 욕구와 연계를 통하여 지역사회의 상부상조 활동이 일어나 지역사회가 활력 있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전해 나가도록 하는 활동"이다. 지역사회복지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복지는 전통적인 개인과 가족 중심의 사회복지 실천에서 벗어나 지역사회 차원의 사회복지 실천을 의미한다. 즉, 지역사회 수준에서의 사회복지 실천과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한 사회복지 실천이 동시에 포함된다.
둘째, 지역사회복지는 지역사회 내의 물적·인적 자원을 활용하여 지역주민의 공통적인 욕구를 해결하고자 한다. 따라서 지역사회복지는 지역사회의 특성과 자원을 고려한 실천이 이루어진다.
셋째, 지역사회복지는 지역사회 주민들의 상부상조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가 활력 있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전해 나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지역사회 주민의 참여와 협력이 강조된다.
넷째, 지역사회복지는 지방분권화와 더불어 주목받고 있는데, 이는 중앙집권적 사회복지제도의 한계를 극복하고 지역주민의 실질적인 욕구에 부합하는 사회복지 실천을 추구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지역사회복지는 지역사회 수준에서의 사회복지 실천, 지역사회 자원의 활용, 지역사회 주민의 참여와 협력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1.2.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의 목적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의 목적은 과정목적(process goal)과 과업목적(task goal)으로 구분된다.
과정목적은 지역사회의 변화를 위한 개입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과 방법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즉,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과정에서 민주적인 절차와 협력, 참여 등의 가치를 실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는 지역사회개발모델과 관련이 깊으며, 지역사회주민의 역량강화와 자발적 참여를 통해 지역사회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반면 과업목적은 지역사회개입의 결과와 성과에 초점을 맞춘다. 이는 사회계획모델과 사회행동모델에서 더 강조되는데, 구체적인 문제해결이나 정책변화, 자원 재분배 등을 통해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목적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의 목적은 지역사회변화를 위한 민주적 과정과 이를 통한 실질적 성과라는 두 가지 측면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3.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의 중요성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은 지역사회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사회복지실천을 체계화하여 이론적 기반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첫째,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은 지역사회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데 기여한다. 지역사회마다 고유한 특성과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에 기반한 실천모델이 필요하다.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은 지역사회의 문제와 자원을 진단하고, 적절한 개입전략을 모색할 수 있는 체계를 제공한다.
둘째,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은 지역주민의 참여와 역량강화를 가능하게 한다. 지역사회문제를 지역주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지역사회복지실천의 핵심이며,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은 이를 위한 전략과 방법을 제시한다. 예를 들어 지역사회개발모델은 지역주민의 자발적 참여와 협력을 강조함으로써 주민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은 통합적 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지역사회복지실천은 개인과 가족의 문제를 해결하는 미시적 접근과 지역사회 차...
참고 자료
이영철 외 공저, 지역사회복지실천론, 2003
전해황 외 공저, 지역사회복지론, 양서원, 2008
박종훈, 지역사회복지론, 학현사, 2010
전영호, 도시 내 마을에 기반한 지역공동체 만들기 연구, 석사학위논문, 2002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현대상담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 윤순임 저 / 중앙적성출판사 / 2011
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 Richard Nelson Jones 저 / 김성봉 외 1명 역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상담이론과 실제 / 양명숙, 김동일, 김명권 외 2명 저 / 학지사 / 2013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유동철 외(2015). 로쓰만(Rothman)의 지역성 개발모형의 구축 전략. 한국정책연구.
전재일 외(2002). 지역사회복지실천모형에 있어서 지역사회 특성의함의. 사회복지개발연구.
조미영(2010). 한국 지역사회복지의 변천에 따른 발전방향: 지역사회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사학지.
최옥채(2003).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자원 만들기와 활용. 한국사회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