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장쩌민 사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전통 중국 사회와 공산당 정권 수립
1.1. 전통 중국 사회의 정치 체계
1.2. 마르크스-레닌주의의 도입과 중국 혁명
2. 마오쩌둥 사상과 사회주의 중국
2.1. 마오쩌둥 사상의 핵심 내용
2.2. 마오쩌둥 시대의 경제 정책과 그 결과
3. 덩샤오핑 이론과 개혁개방
3.1. 덩샤오핑의 사회주의 초급단계론
3.2.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와 경제 발전
4. 장쩌민 시대의 3개 대표론
4.1. 3개 대표론의 등장 배경
4.2. 3개 대표론의 주요 내용
5. 후진타오의 과학적 발전관과 조화로운 사회
5.1. 동부-서부 격차 해소와 균형 발전
5.2. 조화로운 사회 구축을 위한 정책
6. 시진핑 사상과 신시대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6.1. 시진핑 사상의 등장 배경
6.2.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의 주요 내용
6.3. 시진핑 사상의 한계와 과제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전통 중국 사회와 공산당 정권 수립
1.1. 전통 중국 사회의 정치 체계
전통 중국 사회의 정치 체계는 군주제를 실시했으며, 2000년간 변동이 없는 권력구조를 유지했다. 이를 두고 '가산관료주의'라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전형적으로 '위에서부터 아래로의' 정치 형태를 띤다. 그러나 서방의 절대 군주제와는 달리 전통 중국의 정치는 상대적으로 개방적이며 민본 사상을 근간으로 하는 전제정이었다. 국민들의 민치 관념과 정치적 자각은 결핍된 상태였지만, 당시 행정 권력은 관료체계에 속한 사대부에게 있었다. 또한 전통 중국 사회의 정치는 유가 사상의 영향을 많이 받았는데, 유가 전통에 따라 공자와 맹자와 같은 인물들의 교훈이 중국인들의 도덕규범과 가치 규범을 지배했다. 이로 인해 전통 중국인들은 보수적이고 현실 만족적인 경향이 강했으며, 이는 군주제가 2000년간 유지될 수 있었던 주요 원인으로 볼 수 있다.
1.2. 마르크스-레닌주의의 도입과 중국 혁명
마르크스-레닌주의의 도입과 중국 혁명은 중국 사회주의 이데올로기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마르크스주의는 중국의 민주 혁명과 사회주의 혁명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레닌주의는 중국 공산당의 건설과 발전에 핵심적 역할을 담당했다.
1920년대 이래 중국에서는 서구 유입된 마르크스-레닌주의가 중국 혁명의 이데올로기적 토대로 자리잡았다. 1919년 5·4운동을 통해 중국 지식인들이 서구 사상과 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 마르크스주의가 소개되었고, 이후 중국 공산당의 창당과 더불어 마르크스-레닌주의는 중국 사회주의 혁명의 기반이 되었다.
중국 공산당은 1921년 창립 당시부터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자신들의 지도 이념으로 삼았다. 당시 중국 공산당 초대 총서기 Chen Duxiu는 마르크스-레닌주의를 토대로 중국의 실정에 맞는 '신민주주의 혁명론'을 제기하며 중국혁명의 방향을 제시했다. 그는 중국의 농민과 노동자를 무산계급의 주체로 규정하고, 이들이 주도하는 반제국주의, 반봉건주의 혁명을 통해 중국 사회주의 혁명의 길을 모색했다.
이후 중국 혁명은 마오쩌둥의 농민 혁명론을 중심으로 발전했다. 마오쩌둥은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창의적으로 발전시켜 중국 실정에 맞는 새로운 이론을 창출했다. 그는 중국 농민을 혁명의 주체로 포착하고, 농촌 기반의 무장 봉기를 통한 도시 점령 전략을 추진했다. 이러한 마오쩌둥의 이론은 최종적으로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으로 이어졌다.
이처럼 마르크스-레닌주의의 도입은 근대 중국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중국 공산당은 마르크스-레닌주의를 기반으로 신민주주의 혁명과 사회주의 혁명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냄으로써 중화인민공화국을 건립할 수 있었다. 이는 중국이 사회주의로 전환하는 핵심적 계기가 되었으며, 이후 중국 정치, 경제, 사회를 규율하는 지배 이데올로기로 자리잡게 되었다.
2. 마오쩌둥 사상과 사회주의 중국
2.1. 마오쩌둥 사상의 핵심 내용
마오쩌둥 사상의 핵심 내용은 다음과 같다. 마오쩌둥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초대 주석으로, 그의 사상은 계급 투쟁이 핵심이다. 1921년 중국 공산당 창립 당시부터 마르크스-레닌주의가 도입되었지만, 이는 현실적 투쟁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였다. 마오쩌둥은 무산 계급의 민주공화국 건설을 '신민주주의'로 규정하고,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을 그 실천으로 간주했다. 마오쩌둥 사상은 정치 중심주의로, 이데올로기적 구조를 먼저 구축한 후 그 속에서 행동하는 방식이었다. 이로 인해 이데올로기와 현실 간의 괴리가 발생하면 마오쩌둥은 현실의 정책을 수정해 이데올로기를 보존하고자 했다. 사회주의적 개조 과정에서 실시된 사회주의 전민소유제, 단일 공유제 등은 중앙정부의 통제와 생산에서의 가치법칙 배제로 인해 경제적 손실을 초래했다. 마오쩌둥은 약화된 당내 자신의 입지를 복원하기 위해 계속적 혁명을 주장하며 문화대혁명을 일으켰으나, 이는 다방면에서 큰 손실과 혼란을 가져왔다. 마오쩌둥이 제시한 '모순론'도 통치 이데올로기로 작용했는데, 무산 계급과 자산 계급 간의 계급 투쟁을 중국의 주요 모순으로 규정하여 중국 공산당의 투쟁에 대한 정당성을 부여했다. 중국공산당은 마오쩌둥의 실패한 정책에 대해 과오를 인정하면서도, 마오쩌둥 개인과 사상을 분리시켜 마오쩌둥 사상을 이후 중국이 사회주의를 견지하기 위한 원칙으로 자리매김했다..
2.2. 마오쩌둥 시...
...
참고 자료
현대중국 정치론-제임스왕
네이버 지식인
강준영, 「한 권으로 이해하는 중국」, 지영사(2004), p.107-148
강준영, 한국외국어대학교 현대 중국 정치의 이해 강의자료
한흥주, “현대 정치와 국가”, 연세대학교출판부(1995)
위키백과, “마르크스레닌주의”, https://ko.wikipedia.org/wiki/마르크스레닌주의
박정동(1992), “모택동 시대의 중국의 경제개발전략”, 한국경제학회 40권 2호
윤원호(1993), “중국의 사회주의 시장경제”, 전주대학교사회과학종합연구소 9권
위키백과, “개혁개방”, https://ko.wikipedia.org/wiki/개혁개방
서창호(1995),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의 전개 과정, 한국정치학회보, 29
박복희(2006), “중국 호금도정부 경제정책 연구”, 배제대학교
이희옥(2005), 후진타오 체제의 사회주의, 진보평론(18)
김정계(2009), 중국 사회주의의 미래, 현대사상(5)
홍건식(2018), “시진핑의 중국몽과 정체성 정치 : 일대일로, AIIB 그리고 패권정체성”, 국제정치논총 58권 1호, 99p~146p
곽덕환, 나태종(2019), 시진핑 시대 중국특색사회주의의 전망, 동아인문학, 47
김관옥(2016), 미중 패권경쟁의 이론적 논쟁 재조명, 계명대학교
공유식, 한국외국어대학교 대만과 양안 관계의 이해 강의자료
공유식,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학입문2 강의자료
서석흥, 김경환 (2018). 중국의 19차 당대회에서 시진핑 사상 당장 삽입의 의미와 평가. 중국인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49-65
서창호 (1995).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의 전개 과정. 한국정치학회보, 29(1), 563-582
주장환 (2018). 사회주의 초급단계론에 대한 중국의 새로운 인식. 마르크스주의 연구, 15(3), 176-200
이희옥 (2003). 후진타오 체제의 사회주의. 진보평론(18), 31-48
김정계 (2009). 중국 사회주의의 미래. 현대사상(5), 149-182
주장환 (2018). 사회주의 초급단계론에 대한 중국의 새로운 인식. 마르크스주의 연구, 15(3), 176-200
이희옥 (2005). 체제전환과 중국의 새로운 이데올로기 모색. 국제정치논총, 45(1), 201-225
곽덕환, 나태종 (2019). 시진핑 시대 중국특색사회주의의 전망. 동아인문학, 47, 531-5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