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작가 아서밀러
1.1. 생애
아서 밀러(Arthur Miller)는 1915년 10월 17일 뉴욕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의류 제조업자이며 어머니는 전직 교사인 유대인계 중류 가정의 3남매 중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미시간 대학교 연극과를 졸업했으며, 결혼생활에 있어서도 유명 배우 마릴린 먼로와 두 번째 재혼을 하기도 했다. 밀러는 여러 작품들을 브로드웨이에 데뷔하여 장기공연도 성공하며 상도 받게 되었다. 특히 1953년에 공연된 '시련'으로 앙뜨와넷 페리상을 수상하는 등 미국 연극계에서 두각을 나타내게 된다. 밀러의 대표작인 '시련'은 1692년 세일럼에서 있었던 마녀 재판을 소재로, 당시 뉴잉글랜드 지방을 휩쓸었던 집단 광기와 1950년 초반에 미국을 휘몰아친 매카시즘 사이의 보편적 유사성을 통해 인간 본성에 내재된 문제들을 다루고 있다.
1.2. 작품 세계
밀러의 작품 세계는 미국 사회를 비판적으로 조망하면서도 인간 본성에 대한 깊이 있는 고찰을 보여준다. 그의 대표작 『시련』은 1692년 마녀재판부터 1950년대 맥카시즘까지를 아우르며, 사회가 개인을 억압하고 진실을 왜곡시키는 문제를 다룬다.
특히 『시련』에서 밀러는 청교도 사회의 종교적 압박감과 1950년대 미국의 공산주의에 대한 공포가 어떻게 유사한 기제로 작용하는지를 보여준다. 이를 통해 그는 당대의 사회적 병리현상이 결국 개인의 이기적 본성에서 비롯된다는 점을 폭로한다.
또한 극중 주인공 프록터의 내면적 갈등을 통해 개인의 양심과 사회의 압력 사이에서 고뇌하는 인간의 보편적 모습을 형상화한다. 프록터가 자신의 양심에 충실하고자 죽음을 선택하는 과정은 진실과 고백에 대한 밀러의 비판적 고찰을 보여준다.
한편 여성 인물들의 성격과 역할 분석을 통해 밀러는 당대 사회의 여성혐오적 요소를 고찰한다. 애비게일과 엘리자베스의 대조적인 모습은 기독교 가부장제 안에서 배타적으로 규정된 여성상을 드러낸다. 이에 대한 페미니스트적 관점의 재해석은 밀러 작품 세계의 또 다른 중요한 층위를 구성한다.
요컨대 밀러의 작품 세계는 사회적 모순과 개인의 내면적 갈등을 균형 잡힌 시선으로 포착하며, 특히 『시련』을 통해 역사적 사실과 당대의 현실을 유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있다. 이는 인간 보편의 문제를 다루면서도 시대적 특수성을 놓치지 않는 작가의 문학적 역량을 보여준다.
2. 시련(The Crucible)
2.1. 작품 개요
1692년 메사추세츠 주의 세일럼 마을을 배경으로 하는 작품 '시련'은 당시 뉴잉글랜드 지역에서 발생했던 마녀재판 사건을 소재로 한다. 마을의 청교도 어른들이 지켜야 할 경건하고 도덕적인 종교적 생활에 엄격히 매여 있던 10대 소녀들이 숲속에서 벌거벗은 채로 악마 의식을 거행하는 사건을 계기로, 세일럼 마을에는 갑자기 악마의 존재가 만연하게 된다. 소녀들은 자신들의 이러한 행동이 세일럼에 악마가 들어왔다고 주장하며, 이를 토대로 마녀재판이 시작된다.
특히 소녀 아비게일 윌리엄스는 농부 존 프락터와의 육체적 관계에 빠져 프락터의 부인 엘리자베스를 죽이고 싶어 하는 등 자신의 욕망과 질투심을 부추긴다. 소녀들의 집단 광란으로 인해 세일럼 사람들은 마녀재판이라는 이름으로 하나 둘 교수대의 무고한 희생자가 되어 가지만, 아비게일의 엘리자베스에 대한 증오는 그치지 않는다.
존 프락터는 진실을 밝히고자 하지만, 아비게일의 말을 믿고 있는 법정에서는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결국 자신의 명예와 존재가치를 지키기 위해 죽음을 선택한 존 프락터는 마녀재판의 또 다른 희생자가 된다.
2.2. 주요 등장인물
주요 등장인물은 다음과 같다.
패리스 목사(Reverend Parris)는 딸 베티가 개입된 금기된 놀이가 마녀 사냥으로 변질 확산되는 과정을 자신의 이익을 도모하는 기회로 삼는 인물이다. 권위의식에 빠진 위선과 탐욕으로 가득하다.
애비게일 윌리엄스(Abigail Williams)는 과거에 존 프록터의 하녀였으나 그와의 불륜을 이루지 못한 사랑으로 여기며 프록터에게 집착한다. 이 집착은 프록터의 아내 엘리자베스에 대한 증오와 복수심으로 심화되어 그녀를 마녀로 거짓 기소한다. 교활하고 악마적인 인물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