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임종간호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임종과 호스피스 간호
1.1. 임종의 개념과 대상자의 심리적 반응
1.2. 호스피스의 정의와 목적
1.3. 호스피스 대상자와 서비스 형태
1.4. 호스피스 간호의 특성
1.5. 임종 직전 간호
1.6. 사별가족에 대한 간호
2. 임종환자의 간호중재
2.1. 신체적 간호
2.2. 심리적 간호
2.3. 사회적, 영적 간호
3. 임종과 관련된 법적, 윤리적 이슈
3.1. 연명의료결정법과 임종과정 환자의 권리
3.2. 환자의 자기결정권과 의료인의 윤리적 딜레마
3.3. 호스피스 이용률 증진을 위한 정책적 제안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임종과 호스피스 간호
1.1. 임종의 개념과 대상자의 심리적 반응
임종이란 "장사將死", 즉 "죽음에 임해서", "사망하기 바로 전에"라는 뜻을 가진다.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종에는 두 가지 의미가 있는데, 첫째는 죽음을 앞둔 부모의 손발을 잡고 숨이 끊어지는 것을 지켜보는 의식이며, 둘째는 첫째 의미가 일반화된 것으로, "숨을 거둔다"는 뜻이다. 임종에 대한 태도는 종교적, 사회문화적, 개인의 성숙도에 따라 다르다.
임종을 맞이하는 대상자들이 경험하는 대부분의 정서는 공포이다. 이 공포는 육체적 고통에 대한 공포, 사랑하는 이들과의 사별에 대한 공포, 그리고 죽은 후 미지의 세계에 대한 공포로 분류할 수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순간을 두려워하는데, 이는 부모의 사망 시에 경험했던 정서적 상처와 고통을 기억함으로써 임종은 고통스러운 것이라 믿기 때문이다. 또한 사망 후 무(無)로 돌아가는 존재와 불사에 관한 의문에 직면하게 된다.
죽음에 대한 반응은 대상자의 정서적 성숙, 사회적, 종교적, 문화적 가치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임종 환자의 경우 Kubler-Ross가 제시한 부정, 분노, 협상, 우울, 수용의 5단계를 거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단계들은 임박한 죽음 인식과 마찬가지로 상실에서도 경험하게 된다.
가족의 경우 상실 반응인 비탄 반응을 겪게 되는데, Parkes(1986)는 비탄의 단계를 무딤, 갈망, 비조직, 재조직의 4단계로 제시하였다. 무딤 단계에서는 상처가 압도적이어 부정이 심리적 방어로 사용되며, 갈망 단계에서는 상실에 골몰하여 심리적 고통을 겪는다. 비조직 단계에서는 심한 우울, 사회성 기피, 활동에 대한 흥미 부족이 나타나며, 재조직 단계에서는 새로운 흥미를 갖게 되고 삶에서 의미를 찾게 된다.
1.2. 호스피스의 정의와 목적
호스피스의 정의와 목적은 다음과 같다.
호스피스란 죽음을 앞둔 말기환자와 그 가족을 대상으로 환자가 인간으로서의 존엄성과 높은 삶의 질을 유지하면서 삶의 마지막을 평안하게 맞이하도록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으로 돕고 사별가족의 고통과 슬픔을 경감시키는 총체적인 돌봄을 제공하는 간호행위이다. 호스피스의 목적은 첫째, 통증 조절로 환자의 증상을 완화하고 둘째, 환자와 가족의 심리적·사회적·영적 돌봄을 통해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하며 편안하게 지낼 수 있도록 돕고 셋째, 임종과 사별가족에 대한 돌봄을 제공하는 것이다. 호스피스 간호는 환자의 완치 또는 원인치료가 아닌 증상치료에 초점을 두며, 의료진 외에도 사회복지사, 전문치료사, 종교인 등으로 구성된 다학제팀이 함께 전인적인 치료를 제공한다.
1.3. 호스피스 대상자와 서비스 형태
호스피스의 대상자는 암 또는 불치병으로 진단을 받아 더 이상의 의학적인 치료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통증 및 증상완화를 위한 비치료적 요법을 필요로 하는 잔여 생존 기간 6개월 미만의 환자와 그 가족이다. 암 또는 불치병으로 진단을 받은 환자라면 진단 받는 순간부터 호스피스 간호를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식이 분명하고 의사소통이 가능한 환자만을 대상으로 하던 경향에서 무의식 환자라도 그 가족은 호스피스 간호가 필요하기 때문에 호스피스 환자로 인정하는 흐름으로 바뀌고 있다.
호스피스 서비스 형태는 크게 3가지로 입원형, 가정형, 자문형이 있다. 입원형은 보건복지부 지정 호스피스전문기관 병동에 입원하여 호스피스 간호를 받을 수 있으며, 치유와 생명의 연장이 더 이상 적절한 목적이 되지 못한다고 결정이 내려진 말기암 환자만 이용할 수 있다. 가정형은 가정에서 지내기를 원하는 말기 환자와 가족에게 보건복지부 지정 전문 기관의 호스피스 팀이 가정으로 직접 방문하여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며, 암환자 이외에도 만성호흡부전, 만성간경화, 후천성면역결핍증으로 말기 진단을 받은 경우에 이용할 수 있다. 자문형은 일반 병동과 외래에서 진료를 받는 말기 환자와 가족에게 호스피스 팀이 담당 의사와 함께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대상자는 암, 만성...
참고 자료
한국 민족문화 대백과사전
수문사 기본간호학2
한국 민속 대백과사전
송경애 외, 『최신 기본간호학Ⅱ』, 수문사, 2020, pp. 580-589
호스피스ㆍ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 [법률 제17218호]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법률 제17210호]
엄주희, “연명의료결정법에 관한 사후적 입법평가”, 『법제처』, 2019, pp.36-67
박영수 외1인, “중환자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와 대처행위”, 『중환자간호학회지』, 2012, 제5권 제 2호, pp.1-14
이미선 외2인, “질병단계별 암 환자의 불확실성과 간호 요구도”, 『한국성인간호학회』, 2008, 20호, pp.1-9
유승연, “호스피스 간호가 말기 암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pp.1-55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 암병원-암환자 간호 https://www.cmcvincent.or.kr/cancer/page/cancerinfo/B/18
서울대학교병원-호스피스-말기암 환자의 통증 및 증상 관리 http://www.snuh.org/board/B034/view.do?bbs_no=3778&searchKey=all&searchWord=&pageIndex=1
삼성서울병원-암교육센터-건강정보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edical/healthSub01View.do?content_id=362&cPage=3&DP_CODE=CIC&MENU_ID=004027017&ds_code=D0002817&main_content_id=741
중앙대학교병원-호스피스완화의료 https://ch.cauhs.or.kr/medical_guide/hospice.asp?cat_no=04120000
MSD- 소생금지 (DNR) 지시 https://www.msdmanuals.com/ko/%ED%99%88/%EA%B8%B0%EC%B4%88/%EB%B2%95%EC%A0%81-%EB%AC%B8%EC%A0%9C%EC%99%80-%EC%9C%A4%EB%A6%AC%EC%A0%81-%EB%AC%B8%EC%A0%9C/%EC%86%8C%EC%83%9D%EA%B8%88%EC%A7%80-dnr-%EC%A7%80%EC%8B%9C
정다연, 『환자의 존엄한 죽음 어렵게 만드는 의료인의 윤리적 딜레마 "과잉치료와 돌봄 부족의 심각한 불균형"』, 메디게이트뉴스, 2019.09.19. https://www.medigatenews.com/news/2192405789
박양명, 『연명치료 중단시점 논란...법조계 "사실상 정하기 어렵다"』, 메디칼타임즈, 2019.09.18. http://m.medicaltimes.com/News/1128942
안창욱, 『"처벌 안받으려면 CPR 할 수밖에"』, 의료&복지 뉴스, 2018.02.06. http://www.mediwelfare.com/news/articleView.html?idxno=144
Carol Taylor, Carol Lillis and Pamela Lynn. (2022). 기본간호학Ⅰ(전미양 외 역). 경기도: 수문사. (원서출판 2015).
유양숙 외. (2022). 성인간호학 상권 (제8판). 서울특별시: 현문사.
선정주. (2003). 가정호스피스 간호제공에 따른 말기 암 환자의 통증과 삶의 질 변화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간호대학원] http://www.riss.kr/link?id=T9354804
배영란. (2001). 호스피스 간호 역할에 대한 임상간호사의 지각 및 수행과 호스피스 환자의 기대 및 만족정도. 호스피스논집 5, 23-36.
국립암센터 중앙호스피스 센터. (연도미상). 호스피스·완화의료 정의. https://hospice.go.kr:8444/?menuno=9
고신정. (2019. 09. 16). '편안한 죽음을' 호스피스 접근법 확실히 달랐다. 의협신문. https://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0931
홍준기. (2019. 06. 25). 호스피스 서비스 이용률 5년간 30%까지 높인다. 동아일보.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6/25/*************.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