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식물채집과 동정 및 표본제작"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 개요
1.1. 수생태계 건강성의 개념과 의의
1.2. 생물학적 평가의 필요성
2. 부착돌말류 조사 및 평가
2.1. 부착돌말류 채집 및 분석 방법
2.2. 부착돌말지수(TDI) 산정 및 평가
3.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조사 및 평가
3.1. 저서동물 채집 및 분석 방법
3.2. 저서동물지수(BMI) 산정 및 평가
4. 어류 조사 및 평가
4.1. 어류 채집 및 분석 방법
4.2. 어류 지표를 활용한 건강성 평가
5. 서식 및 수변환경 조사 및 평가
5.1. 서식 및 수변환경 조사 항목 및 기준
5.2. 서식 및 수변환경 건강성 평가
6. 생물지리정보시스템(GIS)을 통한 데이터 관리 및 활용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 개요
1.1. 수생태계 건강성의 개념과 의의
생태계는 수량, 수질, 물리적 서식지 등 무생물학적 환경요소와 생물학적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스템 내에서 이들 요소들의 상호작용의 결과는 생태계의 독특한 구조와 기능으로 나타난다. 수생태계 건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양호한 화학적 수질과 안정적인 물리적 서식지 확보가 선행되어야 한다.
건강한 수체는 생태학적으로 온전하거나 교란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며, 화학적, 물리적 및 생물학적 총체성을 모두 포함하는 생태학적 총체성으로 표현된다. 건강한 수체에 대한 생물학적 평가는 교란된 수체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건강성의 회복을 위한 판단의 근거를 제공하며, 생물학적 평가를 근거로 해당 수체의 회복과 복원을 위한 목표를 설정할 수 있다.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는 기본적으로 생물학적인 지표와 평가방법을 요구하며, 궁극적으로는 국가적(혹은 지역적) 차원에서의 지속적인 생물모니터링의 과정을 통해 실현된다. 이를 위해서는 해당 지역 혹은 국가의 물환경에 부합하는 표준화된 조사·분석방법이 필요하다.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를 통해 건강한 수체는 그 안에 서식하는 생물들을 건강하고 다양하게 부양하고 유지시킬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는 생태계, 즉 교란되지 않는 환경을 의미한다.
1.2. 생물학적 평가의 필요성
생물학적 평가의 필요성은 해당 수체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건강성의 회복을 위한 판단의 근거를 제공하며, 생물학적 평가를 근거로 해당 수체의 회복과 복원을 위한 목표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는 기본적으로 생물학적인 지표와 평가방법을 요구하며, 궁극적으로는 국가적(혹은 지역적) 차원에서의 지속적인 생물모니터링의 과정을 통해 실현된다. 따라서 그 지역 혹은 국가의 물환경에 부합하는 표준화된 조사·분석방법이 필요하다. 생물학적 평가는 물환경에 대해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영향을 파악할 수 있게 하며, 교란된 환경이 궁극적으로 회복하여야 할 생물학적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즉, 우리가 목표로 하는 최상상태의 물환경은 그 안에 서식하는 생물들을 건강하고 다양하게 부양하고 유지시킬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는 생태계, 즉, 교란되지 않는 환경을 의미하는 것이지 단순히 맑은 물로 채워진 환경은 아니다.
2. 부착돌말류 조사 및 평가
2.1. 부착돌말류 채집 및 분석 방법
부착돌말류 채집 및 분석 방법은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부착돌말류는 하천의 수질과 서식환경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지표생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먼저 부착돌말류 조사를 위해서는 적절한 조사지점 선정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유속이 10~50 cm/sec 정도인 얕은 여울에 있는 자갈을 이용하여 채집을 실시한다. 모래나 진흙 등 불안정한 기질은 피하는 것이 좋다. 채집지점은 하천의 중심부근으로 선정하며, 가능한 그늘진 지역은 피한다. 또한 방수장화를 착용하여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는 장소를 선정해야 한다.
부착돌말류 채집을 위해서는 다양한 도구가 사용된다. 석회암과 같은 부드러운 기질에는 칼날형태의 도구를, 단단한 기질에는 칫솔을 이용하여 부착돌말류를 긁어낸다. 채집한 시료는 현장에서 바로 증류수로 세척하거나 아이스박스에 넣어 실험실로 운반한 후 세척한다. 또한 현장에서 부착돌말류를 긁어내지 않고 기질 자체를 채집하여 실험실로 가져갈 수도 있다.
채집 시 현장조사표에 조사구간의 기본정보, 서식지 유형, 수변 상태, 수질 등의 환경요인을 기록한다. 또한 채집된 시료는 현장에서 루골용액이나 포르말린으로 고정하여 실험실로 운반한다.
실험실에서는 부착돌말류 시료를 산화처리하여 이물질과 유기물을 제거한 뒤 영구 슬라이드를 제작한다. 이를 통해 부착돌말류 종 동정 및 개체수 계수를 실시한다. 종 동정은 현미경 관찰을 통해 수행하며, 부착돌말류 분류 관련 문헌을 참고한다.
이렇게 채집된 부착돌말류의 종 조성과 개체수 정보를 ...
참고 자료
일반생물학 실험교재 편찬위원회, 『일반생물학실험』, 여명사, 2010, p.1.
지니얼러지, 「분류 체계」, http://kr.blog.yahoo.com/livedyks/20, 2006년 7월 22일, 범주의 종류 부분 참조.
캠벨, 생명과학, ??, 200?, p.540.
위키피디아, 「학명」, http://ko.wikipedia.org/wiki/%ED%95%99%EB%AA%85, 2010년 7월 6일, 표기법, 학명의 가치 부분 참조.
청영, 「분류군과 카테고리의 정의」, http://blog.naver.com/skyisqing?Redirect=Log&logNo=20043753705, 2007년 11월 13일, 범주와 분류군의 차이 설명 부분 참조.
Michael G. Simpson, 『식물계통학』, 김영동, 신현철 공역, 월드사이언스, 2007, p. 517.
김현, 『식물 야외실습 및 분류학 실험』, 아카데미서적, 1995, pp.38-39.
이유성, 『현대식물분류학』, 우선문화사, 1991, p.217.